소개글
"치매노인가정파워포인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치매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
1.1. 치매에 대한 이해
1.1.1. 치매의 정의와 심각성
1.1.2. 치매의 원인과 위험요인
1.1.3. 치매의 증상과 진단기준
1.2. 치매의 치료 및 관리
1.2.1. 치매의 치료방법
1.2.2. 치매 환자와 보호자에 대한 지원
1.3. 치매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1.3.1. 운동 및 식이요법
1.3.2. 정신적 활동과 사회적 교류
1.4. 치매 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1.4.1. 교육대상 및 내용 구성
1.4.2. 교육방법 및 매체 선정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치매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
1.1. 치매에 대한 이해
1.1.1. 치매의 정의와 심각성
치매는 후천적으로 기억, 언어, 판단력 등의 여러 영역의 인지 기능이 감소하여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치매는 진행성 질환으로 점차 악화되어 결국 환자가 완전히 의존적인 상태가 되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7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약 9%인 74만 명 가량이 치매 환자이며, 이는 전년 대비 약 8만 명이 늘어난 것이다. 특히 연령이 높아질수록 치매 유병률이 크게 증가하여 80세 이상 노인의 경우 약 20%가 치매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에는 약 100만 명, 2039년에는 약 200만 명, 2050년에는 약 300만 명 수준까지 치매 환자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처럼 치매는 우리 사회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치매 환자의 가족들은 환자 돌봄으로 인한 심리적, 경제적 부담을 크게 겪고 있으며, 치매 관련 의료비 지출도 날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치매 증상으로 인한 타인과의 의사소통 장애와 행동 문제는 환자와 가족들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킨다. 따라서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1.1.2. 치매의 원인과 위험요인
치매의 원인과 위험요인은 다양하다. 치매의 대표적인 원인은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이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이상 단백질이 뇌 속에 쌓이면서 서서히 뇌 신경세포가 죽어가는 퇴행성 신경질환이다. 혈관성 치매는 뇌 혈액순환의 문제가 발생하여 나타나는 치매이다. 이 외에도 두부 외상, 파킨슨병, 내분비 질환 등 뇌 기능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질병들이 치매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치매의 위험요인으로는 나이, 유전, 뇌손상, 건강요인 등이 알려져 있다. 나이가 들수록 치매 발병률이 증가하며, 알츠하이머 치매의 경우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의식을 잃을 정도의 심각한 뇌손상을 경험한 경우에도 치매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심혈관계 질환과 비만, 흡연 등도 치매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치매는 다양한 원인과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매우 복잡한 질환이다. 따라서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이러한 원인과 위험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1.1.3. 치매의 증상과 진단기준
치매의 증상은 단계별로 분류되는데, 먼저 초기 치매의 경우 예전에는 잘 했던 "최근 기억의 감퇴"로 시작하며, 음식 조리하다가 불을 끄는 것을 잊거나, 조금 전 말을 반복하거나 질문을 되풀이하는 등의 모습이 나타난다. 또한 대화 중에 정확한 단어 대신 "그것", "저것"으로 표현하거나 머뭇거리는 모습을 보이며, 관심과 의욕이 없고 매사에 귀찮아하는 모습을 보인다.
중기 치매에 들어서면 돈 계산이 서투르고, 가전제품 조작을 못하며, 며칠인지, 몇 시인지, 어디인지를 파악하지 못한다. 평소 잘 알던 사람을 혼동하지만 가족은 알아보며, 대답을 못하고 ...
참고 자료
중앙치매센터 ‘대한민국 치매 현황 2017 보고서
치매안심센터 대한민국 치매현황(Korean Dementia observatory) 2018
https://ansim.nid.or.kr/community/pds_view.aspx?page=&BID=194
2013. 서울시치매관리사업 시민 요구도 조사
http://www.seouldementia.or.kr/common/e-book_2013/dementia_paper/pdf/paper_test9.pdf
박선남,임희수. (2020). 성인의 치매지식, 태도, 예방교육 요구도. 디지털융복합연구, 18(4), 347-356.
2015년 서울시민 치매인식도 조사
file:///C:/Users/dbtnd/Downloads/NID_%EB%8C%80%ED%95%9C%EB%AF%BC%EA%B5%AD%EC%B9%98%EB%A7%A4%ED%98%84%ED%99%A92018_0329.pdf
통영시 보건소 치매자가진단 http://www.tongyeong.go.kr/health/01635/01898/01901.web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5
대한노인정신의학회
http://www.kagp.or.kr/ko/
파주보건소(치매 바로 알기)
https://clinic.paju.go.kr/clinic/clinic_03/clinic_03_14/clinic_03_14_02.jsp
디멘시아뉴스(DementiaNews)(http://www.dementianews.co.kr)
중앙치매센터 2018 대한민국 치매 현황
https://ansim.nid.or.kr/community/pds_view.aspx?page=&BID=194
치매예방수칙 3.3.3 / 보건복지부 & 중앙치매센터
중앙치매센터모바일
https://m.nid.or.kr/info/diction_list8.aspx?gubun=0801
종로구 치매지원센터
가정간호사를 위한 노인 간호학(현문사)
수문사 2013년 지역사회간호학
노인간호학(정담미디어, 박명화 외)
치매예방운동 ‘이영돈 PD 논리로 풀다’
http://tvcast.naver.com/v/101996
노인교육론. 송선희,최명숙,이상매,서경조,이화식. 신정. 2011년 12월
서울 성북구 상월곡동, 석관동 실버문화센터 교육대상자 자체조사. 2013년 9월
고령화 사회의 노인복지학. 최성재, 장인철,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년 08월
노인 컴퓨터 교육 PPT. 북부직업전문학교 수업자료, 이찬서작성자
노인교육의 이해. 한정란. 학지사. 2008년 0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