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문해를 문자 해득을 넘어서는 ‘문화이해’로 파악할 때 문해교육은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 논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해와 문해교육
1.1. 문해의 개념
1.2. 문해교육의 개념
2. 문해를 문자해득을 넘어서는 문화이해로 파악할 때 문해교육의 방향
2.1. 문해의 확장: 문자해득에서 문화이해로
2.2. 미디어 문해와 디지털 시대
2.3. 다문화적 이해와 세계관의 확장
2.4. 비판적 사고 능력 강화
2.5. 다양한 매체 활용
2.6. 문화적 이해와 다문화 교육
2.7. 사회적 맥락과 역사적 배경 교육
2.8. 학생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
2.9. 협력적 학습 환경 조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해와 문해교육
1.1. 문해의 개념
문해는 전통적으로 문자를 이해하고 해독하는 능력으로 정의되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문자 해득 능력은 기초적인 문해의 한 부분일 뿐이며, 더 넓게 보면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능력까지 포함되어야 한다"" 즉, 문해의 의미는 단순한 한글 읽기 차원을 넘어서 한 사회의 시민으로서 마땅히 누려야 할 기본적인 인권인 동시에 사회와 국가가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성장 잠재력의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1.2. 문해교육의 개념
문해교육의 개념은 "평생교육법에 따르면 '문자해득교육(이하 "문해교육"이라 한다)이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문자해득(文字解得)능력을 포함한 사회적·문화적으로 요청되는 기초생활능력 등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조직화된 교육프로그램'을 말한다." 즉, 문해교육은 단순히 문자를 읽고 쓰는 능력을 넘어 일상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기초생활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UNESCO에서는 문해교육의 개념을 더 확장하여, 아동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대를 위한 형식적·비형식적 교육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문해교육은 '알기 위한 학습', '행하기 위한 학습', '함께 살기 위한 학습', '존재하기 위한 학습'의 개념을 포함한다.
또한 OECD는 국제성인문해조사(IALS)를 통해 문해를 단순히 읽고 쓰는 능력 이상의 복합적인 기술로 정의하였다. 즉, 가정, 일상활동, 일터 및 지역사회에서 문서 형식의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과 지식, 그리고 잠재력을 넓힐 수 있는 능력을 '문해' 능력으로 보고 있다.
EU에서도 평생학습사회 실현을 위해 문자를 읽고, 쓰고, 셈하는 능력 외에도 외국어 능력, IT 능력, 사회적 기술, 기술문화에 대한 이해력 및 기업가 정신 등을 문해교육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다.
이처럼 문해교육의 개념은 단순한 문자 해득을 넘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능력을 기르는 것으로 확장되고 있다....
참고 자료
윤여각 외(2024). 문해교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종서 외(2009). 평생교육개론. 교육과학사.
안해정 외(2021).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달성을 위한 교육개발협력 연구(Ⅴ): 문해교육 실천 전략. 한국교육개발원.
최운규,김수지(2019). 전라북도 성인문해교육 정책방향 연구. 전북연구원, 정책연구 2019-13.
평생교육진흥원(2011). 성인문해교육의 방향과 과제. 평생교육진흥원.
한상길(2017). 문해의 개념과 문해교육 실천 방향. 한국성인교육학회, Andragogy Today 제20권 제2호.
김한별 저, 평생교육론, 학지사, 2014
서보준 저, 평생교육론, 공동체, 2015
양흥권 저, 평생교육론 (학습세기의 교육론), 신정,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