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실습 뇌수막종 케이스스터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성인간호실습 뇌수막종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문헌고찰
1.1.1. 뇌수막종의 정의 및 병태생리
1.1.2. 뇌수막종의 증상 및 진단
1.1.3. 뇌수막종의 치료와 간호

2. 간호대상자 사정
2.1. 일반적 사항
2.2. 간호력
2.3. 신체사정
2.4. 투약
2.5. 진단적 검사

3. 간호과정
3.1. 간호진단
3.1.1. 질병과 관련된 통증
3.1.2. 수술에 대한 정보제공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3.2. 간호계획 및 중재
3.2.1. 정상 뇌압 유지
3.2.2. 최대한의 신경학적 기능 유지
3.2.3. 통증과 불편감 조절
3.2.4. 인지적·신체적 기능과 관련하여 장기적인 영향 인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문헌고찰
1.1.1. 뇌수막종의 정의 및 병태생리

뇌수막종(Meningioma)은 뇌막(수막)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대부분이 양성 종양이다. 뇌수막종은 뇌종양 중에서 가장 흔한 종양 중 하나이며, 전체 원발성 뇌종양의 약 15-25%를 차지한다. 뇌수막종은 서서히 자라는 특징이 있어 증상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므로, 대부분의 경우 진단 시점에는 이미 상당한 크기로 자라있는 경우가 많다.

뇌수막종의 정확한 발생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호르몬 요인, 방사선 조사 등이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뇌수막종의 약 40-80%에서 22번 염색체의 이상이 발견되는데, 이는 종양 억제 유전자의 변이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여성 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과 에스트로겐이 수막종 발생에 관여할 수 있으며, 과거에 방사선 치료를 받은 경우에도 수막종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수막종은 대부분 지주막에서 발생하며, 경막과 유착되어 단단한 종양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종양은 주변 뇌조직을 압박하여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종양이 자라면서 뇌척수액의 순환을 막아 수두증을 유발하거나, 뇌부종을 초래하여 두개내압 상승을 일으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두통, 구토,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1.1.2. 뇌수막종의 증상 및 진단

뇌수막종의 증상 및 진단은 다음과 같다.

뇌수막종의 증상은 종양이 생기는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수막종이 서서히 자라면서 주변 뇌 조직을 압박하게 되므로, 점진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가장 흔한 초기 증상은 두통, 간질발작, 시력저하 등이다. 두통은 뇌압 상승으로 인해 새벽에 악화되며 구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간질발작은 전두엽이나 두정엽에 발생한 수막종에서 흔히 나타난다. 시력저하는 시신경이나 시각로를 압박하는 수막종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인지기능 저하, 성격변화, 언어장애, 근력저하 및 감각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신경학적 증상을 바탕으로 초기 진단을 내리지만, 확진을 위해서는 영상검사가 필요하다. 뇌수막종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우선 단순 두개부 X-ray 촬영을 통해 석회화 소견 및 골 병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CT 스캔은 뇌종양과 그로 인한 뇌조직의 변화를 잘 보여줄 수 있다. MRI는 연부 조직에 대한 해상도가 뛰어나 종양의 위치, 크기, 성상 등을 잘 파악할 수 있어 수술 전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된다. 또한 MRA(자기공명혈관촬영)을 통해 종양의 혈액 공급원을 확인할 수 있다. PET 스캔은 종양의 대사 활성도를 측정하여 양성 및 악성의 감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영상검사 소견을 바탕으로 수술 전 종양의 위치와 침범 범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을 내릴 수 있다. 수술 중 동결절편 검사를 시행하여 종양의 조직학적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치료 방향을 결정한다.

따라서 뇌수막종의 진단은 임상증상 확인, 영상검사, 조직검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종양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1.1.3. 뇌수막종의 치료와 간호

뇌수막종의 치료와 간호는 다음과 같다.

치료는 크게 외과적 치료, 방사선 치료, 약물 치료로 나뉜다. 외과적 치료는 뇌수막종의 가장 확실한 치료 방법이다. 완전 제거가 가능한 수막종은 개두술을 통해 종양을 제거한다. 개두술은 두개골을 개방하여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또한, 최근에는 미세 뇌수술을 통해 뇌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정상 뇌 조직을 보존하는 방법도 사용된다. 한편, 완전 제거가 어려운 경우에는 부분 절제술을 시행하고 방사선 치료를 병행한다.

방사선 치료는 수술 후 보조적으로 시행되거나,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일차적으로 사용된다. 감마나이프 등의 방사선 수술도 활용된다. 이 경우 정상 뇌 조직에는 방사선 손상이 최소화되면서 종양에 집중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다.

약물 치료는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수술 및 방사선 치료 후 잔여 종양의 관리, 악성 종양의 치료, 증상 완화 등을 위해 사용된다. 주로 니트로소우레아계 약물이나 테모졸로마이드와 같은 구강 투여 항암제가 사용된다. 그 외에도 항경련제, 스테로이드 등이 활용된다.

간호사는 뇌수막종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먼저, 환자의 신경학적 증상을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관리한다. 두통, 구토, 경련, 감각 및 운동 장애 등의 증상을 파악하여 적절한 중재를 제공한다. 또한 수술 후 합병증 예방을 위해 감염, 출혈, 뇌부종 등을 모니터링한다.

환자 및 가족 교육도 중요한데, 환자의 상태 변화, 수술 계획, 약물 치료, 재활 등에 대해 설명하여 환자와 가족이 치료 과정을 이해하고 협조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전두엽 병변으로 인한 행동 변화는 가족들이 이해하기 어려우므로, 이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재활 간호를 제공한다. 운동 및 감각 기능 장애, 언어 장애, 영양 섭취 장애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한 간호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


2. 간호대상자 사정
2.1. 일반적 사항

대상자는 여성으로 62세의 나이이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며, 가사도우미로 근무하고 있다. 교육 정도는 고졸이고, 종교는 기독교이다. 가족 구성원은 남편과 1남 1녀가 있다.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다.


2.2. 간호력

대상자의 현재력을 살펴보면, 2011년부터 간헐적으로 두통이 발생하였으며 1년 전부터 두통 발생 시 경미한 구역감(nausea sense)이 동반되었다고 한다. 이에 따라 타원에서 brain MR 검사를 받은 결과 소뇌에서 종양이 관찰되어 본원에 내원하게 되었다. 2016년 3월 17일에는 수술(resection of brain tumor)을 진행했으며, 수술 후 집중관찰을 위해 NSICU에 입원하게 되었다.

입원경로는 외래를 통해 방문하였으며, 입원방법은 보행(w...


참고 자료

김옥수 외(2021),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1331-1335p
네이버 지식백과-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수막종”,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0406&docId=5646447&categoryId=60406
네이버 지식백과-고려대학교의료원 건강칼럼, “두통과 함께 시력 흐릿·손발 둔해진다면, 뇌수막종 의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99012&cid=63166&categoryId=59314
서울대학교병원, “뇌수막종”,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41
서울아산병원, “수막종”,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75
이기수 기자, “[글로벌 명의 명 클리닉] 새벽 두통·구토 뇌종양 경고음… 환자 인지못하는 경우 많아_아주대병원 신경외과 김세혁 교수”,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46484&code=14130000&cp=nv
Bergstrom. N., Demuth, P. Jl, & Braden, B. J.(1987). A Clinical Trial of the Braden Sacal for Predicting Pressure Sore Risk. Th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n, 22, 416-428.
가톨릭대학교 가톨릭혈액병원, “혈액검사”, https://www.chh.or.kr/page/bld/cntnts/12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혈액응고검사’, http://anam.kumc.or.kr/dept/main/index.do?DP_CODE=GRCP&MENU_ID=003036054054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일반혈액검사’, http://anam.kumc.or.kr/dept/main/index.do?DP_CODE=GRCP&MENU_ID=003036054053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건강진단에서 시행하는 혈액검사들에 대한 안내”, https://www.kslm.org/sub01/sub05_4.html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일반혈액 검사”, https://health.amc.seoul.kr/health/personal/checkInformation.do?checkno=520
송파구 보건소, “일반소변검사”, https://www.songpa.go.kr/ehealth/contents.do?key=4504
송파구 보건소, “일반혈액검사”, https://www.songpa.go.kr/ehealth/contents.do?key=4503
송파구 보건소, “생화학검사”, https://www.songpa.go.kr/ehealth/contents.do?key=4502
의료법인 한국필의료재단 한국임상의학연구소, “검사종류안내”, http://www.kcllab.com/pc/info/info03.php
종로구 보건소 임상병리검사, “소변검사”, https://www.jongno.go.kr/Health.do?menuId=4205&menuNo=4205
종로구 보건소 임상병리검사, “혈액검사”, https://www.jongno.go.kr/Health.do?menuId=4204&menuNo=4204
천안시 동남구보건소, “일반혈액검사”, https://www.cheonan.go.kr/dhealth/sub01_06_06.do
천안시 동남구보건소, “생화학(간기능)”, https://www.cheonan.go.kr/dhealth/sub01_06_02.do
Hematology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김옥수 외, 479-481
Urinalysis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김옥수 외, 1009-1010
Blood Chemistry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김옥수 외, 569-570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김옥수 외, 482-484
기타 혈액 검사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김옥수외, 482-484
김옥수 외(2021),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1305-1306p
네이버 지식백과-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뇌 전산화 단층촬영”,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611&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지식백과-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흉부 X선 촬영”,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648&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지식백과-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뇌혈관 조영검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651&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지식백과-신경학, “뇌혈관조영촬영”,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6394&cid=55562&categoryId=55562
서울아산병원, “색전술”,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175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뇌종양센터, “뇌수막종”,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DCD4&MENU_ID=004007008
소화기계용
약학정보원, Magnesium Oxide,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840A0137
약학정보원, Gaster Tab.,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150B0001
약학정보원, Polybutine SR Tab.,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500A0229
약학정보원, Meckool Injection,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490B0002
진해거담제
약학정보원, Muteran Granule,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1530A0107
네이버 약학용어사전, 아세틸시스테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70113&cid=59913&categoryId=59913
약학정보원, Atrovent-UDV Nebulizer Solution,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1384
네이버 약학용어사전, 이프라트로피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74450&cid=59913&categoryId=59913
약학정보원, Mucomyst Solution,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0373
항경련제 ;
약학정보원, Kepiram Tab,,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2103100027
중추신경계용
약학정보원, Gliatirin Soft Cap.,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PPPPP1870
진통제
약학정보원, Mypol Cap.,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1290
해열진통소염제
약학정보원, Denogan Inj.,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690A0608
영양제
약학정보원, Mvh Inj.,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HHHHH0253
약학정보원, Glamin Inj.,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MMMMM2026
약학정보원, SMOFlipid 20% Inj.,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PPPPP0155
당류제
약학정보원, D-Mannitol Injection(15%),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2783
지역사회간호학실습Ⅰ 지침서
윤은자 외, (2021), 성인간호학Ⅰ, 제9판, 수문사.
정인호, (2003), 악성 뇌수막종의 임상 및 병리학적 특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오점숙, 김경민, (2000), 정맥 주사 시 멸균 드레싱이 정맥염 감소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7권 제2호
KMLE 의학검색엔진, http://www.kmle.co.kr/,
MEG GULANICK 외 1명,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36명,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한국기초간호학회 편역(2021), 임상 약리학의 이해(기초), 수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