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학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논문 요약
1.2. 연구의 필요성
1.3. 연구의 목적
1.4. 문헌고찰
2. 고위험 신생아의 저체온증
2.1. 저체온증의 정의
2.2. 저체온증의 원인
2.3. 저체온증의 진단
2.4. 저체온증의 증상
2.5. 저체온증의 치료
3. 간호과정
3.1. 간호진단
3.2. 간호계획 및 수행
3.3. 간호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논문 요약
본 연구는 NICU에 입원한 고위험신생아를 대상으로 저체온증의 양상과 관련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후향적 종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첫째, 고위험신생아의 저체온증 양상을 탐색하고, 둘째, 고위험신생아의 저체온증과 일반적 특성, 환경적 특성, 임상적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며, 셋째, 고위험신생아의 저체온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36.4℃ 미만의 저체온증을 보인 280명 중 132명(47.1%)은 여아였으며, 166건(59.3%)은 제왕절개로 출생하였다. 평균 재태기간은 33.03±3.99주, 평균 출생체중은 1940.09±766.14 gram이었다. 5분 아프가 점수는 평균 7.17±2.03점이었고, 91.4%에서 건강문제가 있었다. 건강문제로는 미숙아(81.4%),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23.6%), 호흡곤란/청색증(15.7%), 자궁 내 성장제한 또는 재태기간에 비해 작은 영아(14.6%) 등이 나타났다. 광선치료를 받은 경우는 2.1%,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은 경우는 25.4%였다. 고위험신생아의 저체온증은 출생체중, 재태기간, 광선요법, 분만형태, 5분 아프가 점수, IUGR/SGA 등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고위험신생아의 경우 저체온증 발생에 대한 중재 이전에 저체온증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예방적 중재가 생후 수 기간 이내에 적극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추후 저체온증의 양상 및 관련 임상 특성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 연구의 필요성
고위험 신생아의 저체온증 발생 정도와 양상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것은 이 연구의 필요성을 잘 보여준다. 특히 저체온증은 환경 온도와 중재에 따라 다양한 발생 변이를 보이는 현상이므로, 국내 환경에서 고위험신생아의 저체온증 발생 및 관련 현상에 대한 연구가 매우 유의미한 탐색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보고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위험신생아의 생후 초기 저체온증 양상 및 일반적 특성, 환경적 특성, 임상적 특성과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1.3.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이다.
첫째, 고위험신생아의 저체온증 양상을 탐색한다. 저체온증은 신생아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이는 신생아의 체온 조절 능력 미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위험신생아의 저체온증 발생 실태와 그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고위험신생아의 저체온증과 일반적 특성, 환경적 특성, 임...
참고 자료
이경혜 외, 『여성건강간호학 Ⅰ,Ⅱ』, 현문사, 2017
김금자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2012
권은진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포널스, 2016
http://www.kimsonline.co.kr
http://www.druginfo.co.kr/
저서: 2018 정성태 제목. 케이스스터디 출판사명,edufirst 46 - 61page.
학위논문: 2017안영미와4명 고위험신생아의 저체온증 현황 및 관련요인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저널: 저자명(년도)공동저자인 경우 모두 작성. 논문제목. 학회지명,권(호), page.
정재임(2005). 간호중재분류. 현문사, 71-80.
이인숙 (2004). 유방암환자의 치료단계에 따른 불확실성과 삶의 질.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서울.
황연자,박연환,박인선,김남이,김정미,김진영 (2004). CD-ROM을 이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단기입원 수술 환자의 수술 전 불안과 수술 후 자가간호 수행 을 위한지식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16(1),8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