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동성애 이탈 돌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족관계의 다양화와 가족복지 서비스
1.1. 가족관계의 다양화
1.1.1. 과거와 현재의 가족 형태 변화
1.1.2. 다양한 가족 유형의 출현
1.2. 가족복지 서비스의 변화
1.2.1. 가족복지 서비스의 질적 확대
1.2.2. 가족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과제
1.3. 가족관계 다양화의 장단점
1.3.1. 장점: 가족복지 서비스의 포용성 증대
1.3.2. 단점: 가족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혼란
1.4. 가족 건강성 증진을 위한 과제
2. 가족문제와 가족복지 제도 및 서비스
2.1. 가족문제 사례: 한부모 가족
2.1.1. 한부모 가족의 어려움
2.1.2. 한부모 가족에 대한 사회적 편견
2.2. 가족복지 제도 및 서비스
2.2.1. 심리·정서적 지지 서비스
2.2.2. 경제적 지원 서비스
2.2.3. 자녀 양육 지원 서비스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족관계의 다양화와 가족복지 서비스
1.1. 가족관계의 다양화
1.1.1. 과거와 현재의 가족 형태 변화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3대 이상이 모여 사는 대가족의 형태가 보편적인 것이었으나, 외환위기로 인한 가족해체와 사회적인 변화에 따른 개인주의적 가치의 강조로 인해 부부와 미혼 자녀로 이루어진 핵가족의 형태가 보편적인 가족의 형태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는 산업화의 발달로 말미암아 가족 구성원의 이동이 빈번해지고,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전통적인 가부장적 가족구조가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3대 가족이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현재는 부부와 미혼 자녀의 형태가 가장 보편적인 핵가족 구조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주의적 가치관의 확산, 여성의 사회 참여 증가, 이혼율 상승 등으로 인해 가족의 형태가 더욱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1.1.2. 다양한 가족 유형의 출현
과거 우리나라의 가족형태는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핵가족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들어 다양한 가족 유형이 출현하고 있다"". 먼저 1인 가족의 경우, 이혼율 증가와 만혼 및 비혼 추세로 인해 중장년층과 2·30대에서 1인 가구가 빠르게 늘고 있다"". 또한 한부모 가족은 이혼 증가로 인해 아버지나 어머니 한 명만 자녀를 양육하는 형태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재혼가족, 비혈연가족, 다문화가족 등 새로운 가족 형태들도 등장하고 있다"". 재혼가족은 이혼 후 새로운 배우자와 결혼하여 구성된 가족이며, 비혈연가족은 혈연관계가 없는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가족을 말한다"". 또한 결혼이민자와 내국인 배우자로 이루어진 다문화가족도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산업화와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과거와는 다른 다양한 가족 유형들이 출현하고 있는데, 이는 더 이상 부부 중심의 전통적 가족 개념만으로는 현대 사회를 설명하기 어려워졌음을 보여준다"".
1.2. 가족복지 서비스의 변화
1.2.1. 가족복지 서비스의 질적 확대
가족관계의 다양화에 따라 가족복지 서비스의 질적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에는 부부와 자녀 중심의 전통적인 가족 형태가 보편적이었으나, 최근 들어 핵가족화와 더불어 1인 가족, 한부모 가족, 재혼 가족, 비혈연 가족, 다문화 가족, 동성애 가족 등 다양한 가족의 형태가 출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족의 기능이 약화되고 가족 내에서 해결되던 문제들이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특히 자녀 돌봄, 노인 돌봄, 일·가정 양립 지원, 위기·취약 가족 지원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정부와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개입과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녀 돌봄 서비스의 경우 맞춤형 보육, 돌봄 서비스 개편, 보육 서비스의 공공성 강화, 보육 서비스와 돌봄 서비스의 질 관리 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노인 돌봄 서비스에서는 노인 종합 돌봄 서비스, 노인 돌봄 기본 서비스 등을 통해 독거노인이나 노인 부부에게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가족관계의 다양화에 따라 국가와 지역사회 차원에서 가족의 기능을 보완하고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가족복지 서비스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2. 가족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과제
가족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과제는 가족관계의 다양화로 인한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전달체계의 질적 확대와 양적 확대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가족관계의 다양화로 인해 다양한 가족들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가족복지 서비스 전달체계는 취약한 가족과 위기 가족에 대한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가족복지 서비스의 질적 확대가 필요하다. 즉, 각 가족 유형에 따른 문제와 욕구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적인 서비스를 개발하고 확충해야 한다.
...
참고 자료
이진숙(2017), 가족의 다양화에 따른 가족 서비스 지원 체계 효율화 방안 모색, 보건복지포럼 제252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78~91.
김나민(2017), 가족다양성 관점에서의 중학교 가정교과서 가족단원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이선영(2018), 대학생이 인식하는 가족 다양성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안정희(2007)『한부모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적 지원체계 확대 방안』, 성산효대학원 대학교
오은영(2022.11.02)『아이가 부모의 이혼을 겪을 때』, 동아일보
[네이버 지식백과] 조현병 [schizophreni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부정망상 [delusion of infidelity, 不貞妄想]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망상장애 [delusional disord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인베가 서스티나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XX-INVE150
[네이버 지식백과] 리스펜정3mg [Rispen Tab. 3mg]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58995&cid=51000&categoryId=51000
대한민국 의약품정보의 표준,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total_result.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