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호신술 개요
1.1. 호신술의 정의
호신술의 정의는 "상대로부터 느닷없이 공격을 당했을 때 자신의 몸을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기술"이다. 호신술(護身術)은 말 그대로 '몸을 보호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오래전부터 무술, 무도의 "무(武)"도 창을 막는다는 의미로 호신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호신술이란 "완력을 기술화한 것"으로, 상대가 흉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라도 상대와의 간격, 흉기의 길이, 공격 방법 등의 상황에 대응한 기술을 몸에 익히는 것을 말한다. 호신술은 자기방어와 유사한 개념이지만, 법률용어인 정당방위와는 구분되는 개념이다.
1.2. 호신술의 개념
호신술의 개념은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스스로 방어하는 기술이다. 호신술은 상대방의 공격을 예방하고 막아내는 수세(守勢)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적극적으로 상대방에게 위해를 가하지 않고 오직 자신을 지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호신술은 단순히 몸을 사용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주변 물건들을 활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또한 호신술은 자신을 보호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호신술 수련을 통해 자신감, 인내심, 의협심 등의 정신적 자질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즉, 호신술은 단순한 자기 방어 기술을 넘어 심신의 단련과 계발을 도모하는 종합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1.3. 호신술의 역사
호신술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고자 하는 본능이 호신술의 근간을 이루기 때문이다.
고대인들은 자신과 가족, 부족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방위법을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발전시켜 체계적인 형태의 호신술을 만들어냈다. 이렇게 만들어진 호신술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 발전해 왔다.
특히 동양에서는 호신술이 발달하였는데, 이는 동양철학의 음양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유능제강(柔能制剛), 강능단유(剛能斷柔)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호신술은 상대의 힘에 순응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하였다.
한편 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여성 보조 공군(WAAF) 대원의 호신술 훈련이나 북아프리카 전선 영국군의 전투 호신술 훈련 등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호신술은 군사 분야에서도 활용되었다. 이처럼 호신술은 인류의 역사 속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개인의 자기 방어 수단에서 나아가 국가 안보의 일환으로 발전해 왔다고 볼 수 있다.
2. 호신술의 종류와 특성
2.1. 호신술의 종류
호신술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태권도, 주짓수, 킥복싱/무에타이, 권투, 레슬링, 삼보, 크라브마가, 시스테마 등이 대표적인 호신술이다.
태권도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무술로 호신술의 한 종류로 활용될 수 있다. 태권도 호신술은 상대방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고 반격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