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장염은 아동에게서 호흡기감염 다음으로 흔히 발병하는 질병으로, 계절에 상관없이 나타난다. 특히 더운 날씨에 세균에 오염된 음식을 섭취하거나 늦겨울에서 초봄에 바이러스에 감염 되면서 급성장염을 앓게 되는 환아가 많다. 또한 설사의 빈도가 높은 질환으로서, 어린 아동일수록 체액손실이나, 전해질 불균형 등으로 오는 신체적인 증상들이 심하기 때문에 잘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AGE는 흔히 발생하는 질병이며, 특히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감염 예방을 위해 위생의 중요성에 대해 알려주고, 대상자의 빠른 회복을 위해 바람직한 간호를 제공하도록 한다.
2. 장염(Entritis)의 문헌고찰
2.1. 정의와 원인
장염은 장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급성장염(acute enteritis)와 만성장염(chronic enterocolitis)으로 구분된다. 급성장염은 장관의 급성 염증성 변화를 말하며, 감염성과 비감염성으로 나눌 수 있다. 감염성은 이질균, 장염 비브리오, 살모넬라, 콜레라 등의 세균과 바이러스 등이 원인이고, 비감염성은 폭식, 폭음, 식중독, 불소화성 음식물을 다량 섭취한 경우, 약물이나 음식물 알레르기 등이 원인이다. 장 점막의 염증성 변화로 소화 흡수에 장애가 일어나 설사, 복통, 구토, 발열 등이 일어나고 1일 10회 이상의 설사 때문에 탈수증을 일으켜 전신 쇠약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만성장염은 만성적인 염증성 변화를 나타내는 카타르성 단순성장염을 말하며, 일반적으로는 원인이 뚜렷하지 않고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설사 또는 변통 이상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증후군이다. 만성 소장염의 경우는 설사, 복통, 소화흡수장애를 주요 증상으로 하고, 만성 대장염으로는 설사, 복통, 복부팽만감 등을 주요 증상으로 한다. 증상은 급성장염보다 가볍지만 자주 재발되어 만성장염으로 악화된다.
2.2. 증상
장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설사는 적게는 2-3회 정도에서 많게는 20여 회가 넘는 경우까지 그 빈도가 다양하다. 소장이 감염된 경우에는 변에 점액이 별로 섞여 나오지 않는 반면 대장이 감염된 경우 변에 점액이 많이 섞여 나오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복통은 정확히 위치를 알 수 없는 묵직한 통증이 가장 흔하며 이러한 묵직한 통증으로 시작하여 뒤틀리는 듯이 심하게 아픈 통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흔하다.
구토와 발열도 동반되기도 한다.
식욕이 떨어지고 힘이 없어 앉아 있기만 해도 허리가 아프고 하루종일 잠만 자는 경우도 있으며, 영유아의 경우 발병 초기에 감기 증세와 2~3일 구토 후 3~5일간 설사를 동반하며 성인은 1~3일 지나 구토, 설사, 복통을 동반하나 1~3일 지속 후 저절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6~72시가 잠복기를 거쳐 구토, 설사, 고열을 동반하며 3~7일 후 저절로 호전되는 경우도 있으며 해산물 섭취 후 2~48시간 동안 물 설사를 하다가 대부분 치료 없이 호전되기도 한다.
장독성 식중독에 걸려 1~3일 잠복기 후 물 같은 설사와 대부분 미열을 동반하며 3~7일 경과 후 호전되기도 하며 세균성 이질로 인해 1~7일 잠복기 후 혈액 및 점액이 섞인 설사, 발열, 구토, 복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로타바이러스가 가장 흔한 원인 바이러스인데, 대개 처음에는 구토만 하다가 구토가 점차 줄어들며 물설사를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분이 소실되어 탈수를 일으키기도 한다. 특히 어린 아이일수록 탈수의 정도가 심하기 때문에 탈수가 발생한 경우엔 이에 대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2.3. 진단 및 검사
장염의 진단 및 검사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몇몇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증상이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단순히 증상만 가지고는 그 원인균을 알 수 없다. 따라서 검사 및 잠복기간을 통해 원인을 알아낼 수 있다. 로타 바이러스에 의한 장염은 다른 병원체에 의한 위장관염의 증상과 유사하여 임상 증상만을 통해 다른 위장관염과 구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실험실 검사를 통한 병원체 확인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검사법으로는 대변 검체에서 바이러스 항원이 존재하는지를 직접 확인하는 면역효소법(EIA)이 있다. 이는 항체에 효소를 결합시켜 발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항원 항체 반응을 측정하고 혈청이나 조직에서 특이 항원을 측정하는 데 이용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전자 현미경과 면역전자 현미경을 사용하는 방법, 분자생물학적 진단법인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검사법(RT-PCR)을 통해 로타 바이러스의 특이 유전자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수소호흡 검사(Hydrogen Breath test)를 통해서도 갈락토스혈증을 간접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갈락토스혈증 환자에서는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은 젖당이 대장에 도달하여 대장 내 세균에 의해 발효 과정을 거쳐 지방산과 H2(수소), CO2 (이산화탄소) 등으로 분해된다. 이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