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착한 사마리아인 법 찬반 토론
1.1. 반대 측 의견
1.1.1. 착한 사마리아인법은 법의 개인에 관한 월권행위
착한 사마리아인법은 법의 개인에 관한 월권행위이다. 도와주는 행동은 강제로 되서는 안 되며, 자신의 의지에 따라 그러한 행동을 해야 한다. 이는 인간의 도덕까지 법으로 규제하려는 성격을 가지는데, 이 과정에서 도덕적 행위를 강제하는 것이 되어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며, 형벌의 보충성 원칙에 반한다는 문제가 있다. 단순히 구조를 요하는 자에 대하여 구조를 하지 않았다고 하여 처벌한다는 것은, 행위자가 어떠한 행위를 하지 않았는데도 그러한 상황이 존재한다는 이유만으로 처벌하는 것이 되어 정당한 범위를 넘어선 부당한 제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이 문제된다.
1.1.2. 불분명한 기준으로 악용의 소지가 크다
불분명한 기준으로 악용의 소지가 크다"이다. 착한 사마리아인법의 기준이 모호하여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공공장소에서 폭행이 일어나고 있을 때 말려드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선의로 행동했지만, 말리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폭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사람은 처벌을 받게 되는 모순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술에 취한 사람을 구조하려다 자유를 침해당하는 일도 생길 수 있다. 이처럼 착한 사마리아인법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오히려 많은 사람들이 범죄자가 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1.1.3. 개인의 도덕적 자유를 침해한다
착한 사마리아인 법은 개인의 도덕적 자유를 침해한다. 자기 자신이 위험한 상황에서도 의무적으로 도와줘야 할 필요가 없으며, 굳이 사마리아인 법이 아니더라도 인간 자체의 도덕으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법은 개인의 자유가 크게 제약될 것이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의 형법은 양심과 자율의 영역인 도덕의 문제에 법적인 규제가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