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병동 내 환자와 보호자의 의료폐기물 분리배출 관리 개선 활동
1.1. QI활동 주제 선정 평가
QI활동 주제 선정 평가는 병원의 미션/비전, 전략과의 연관성, 환자안전 관련 내·외부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 다빈도 외부평가 관련 개선 실효성 등의 기준에 따라 점수를 매겨 평가하는 것이다. 제시된 QI활동 주제 3가지 중 '병동 내 환자와 보호자의 의료폐기물 분리배출 관리 개선 활동'이 총점 42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는 병원의 미션/비전, 전략과의 연관성, 환자안전 관련 내·외부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 다빈도 외부평가 관련 개선 실효성이 모두 높게 평가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병동 내 환자와 보호자의 의료폐기물 분리배출 관리 개선 활동'이 가장 적합한 QI활동 주제라고 볼 수 있다.
1.2. 주제선정 배경
새로운 질환 발생과 고령화로 인한 병원 내 환자 수와 재원일 수는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면서 의료폐기물의 배출량 또한 동시에 상승하고 있다. 의료폐기물이란 보건·의료기관 등에서 감염 위해를 끼칠 수 있는 우려가 있는 폐기물을 의미하며, 건강과 환경 문제를 대두시켜 법률상으로 철저한 관리 지침을 두어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올바른 의료폐기물 관리는 감염과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지만, 관련 기관 내 혹은 직업을 종사하는 사람이 아니고서야 모든 사람이 의료폐기물을 구분하여 분리하고 폐기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병동 내 중환자 수와 고령화로 교육과 분리·배출의 중요성 인식에 관한 어려움도 존재한다. 본 보고서의 질 향상 활동이 적용된 000병동은 혈액종양내과 병동으로 암 환자의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정맥주사 및 간호, 암 환자 검사·수술·시술·검사의 치료와 간호가 이루어진다. 직접 관찰한 결과 의료폐기물로 분리 배출되어야 할 흔히 사용하는 소독솜, 기저귀와 같은 의료폐기물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으며, 정확한 분리배출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입원관리 수행할 때 의료폐기물 분리배출 교육은 실시하지 않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입원 안내문에 의료폐기물 분리배출에 관리 내용이 작은 글씨로 기재되어 있고 자세한 정보가 없어 눈에 띄지 않았다. 또한, 혈당 측정 후 환자에게 주어진 지혈에 사용되는 소독솜은 침상 주위에 떨어져 있었다. 관찰기간 동안 8개 병실을 순회했을 때 6개의 병실에서 의료폐기물 함에 휴지나, 포장지 등 일반폐기물이 버려져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급종합병원의 암 병동 특성상 고령과 감염에 취약한 환자가 다수 분포해 있어 더욱이 분리배출 교육성 필요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병원 내 감염을 원천에 쉽고 빠르게 예방하는 방법의 하나로 올바른 의료폐기물 배출이 제시되어진다. 정확한 분리배출은 시간상으로 효율적이며, 경제적으로도 큰 긍정적 효과를 창출해낸다.
1.3. 활동목표
활동목표는 병동 내 환자와 보호자의 의료폐기물 분리배출에 관한 교육을 실천하여 의료폐기물 관리 지식을 함양하고 병원 환경 내 의료 감염 위해를 감소시켜 안전한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병동 내 환자와 보호자의 의료폐기물 분리배출과 관련된 교육을 통해 의료폐기물의 위험성과 분리배출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근본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써 병원 내 감염 및 오염을 예방하여 안전한 의료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1.4. 팀 구성
팀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팀 구성: 박00, 김00, 이00, 최00
2) 팀 접근 여부: 00대학교 00반 실습00조
이는 병동 내 환자와 보호자의 의료폐기물 분리배출 관리 개선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팀 구성이다. 팀은 총 4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00대학교 00반 실습00조의 일원으로서 이 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1.5. 핵심지표
본 QI 활동의 핵심지표는 병동 내 환자와 보호자의 의료폐기물 분리배출과 관련된 지식도, 병동 내 병실에 비치된 일반폐기물 용기 및 의료폐기물 용기 내 실제 폐기물의 혼합 정도 비교, 그리고 병동 내 환자와 보호자의 의료폐기물 분리배출과 관련된 교육자료 참여도이다.
첫째, 병동 내 환자와 보호자의 의료폐기물 분리배출과 관련된 지식도는 의료폐기물 분류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는 의료폐기물의 위험성과 분리배출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는 본 QI 활동의 목표를 평가하기 위한 핵심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병동 내 병실에 비치된 일반폐기물 용기 및 의료폐기물 용기 내 실제 폐기물의 혼합 정도 비교는 의료폐기물과 일반폐기물의 잘못된 분리배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감염 및 환경 오염의 위험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의료폐기물 분리배출이 실제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셋째, 병동 내 환자와 보호자의 의료폐기물 분리배출과 관련된 교육자료 참여도는 교육 활동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다. 교육에 대한 참여도가 높을수록 의료폐기물 분리배출에 대한 실천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이와 같은 핵심지표를 통해 본 QI 활동이 병동 내 환자와 보호자의 의료폐기물 분리배출 관리를 개선하는 데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1.6. 문제분석
새로운 질환 발생과 고령화로 인한 병원 내 환자 수와 재원일 수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의료폐기물의 배출량 또한 동시에 상승하고 있다. 의료폐기물이란 보건·의료기관 등에서 감염 위해를 끼칠 수 있는 우려가 있는 폐기물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건강과 환경 문제가 대두되어 법률상으로 철저한 관리 지침을 두어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올바른 의료폐기물 관리는 감염과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지만, 관련 기관 내 혹은 직업을 종사하는 사람이 아니고서야 모든 사람이 의료폐기물을 구분하여 분리하고 폐기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