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원예산업의 개요
1.1. 원예산업의 정의
'원예'의 문자적 의미를 살펴보면 한자로는 동산 '원(園)'과 재주, 심을 '예(藝)'가 결합한 단어로 '식물을 심기 위해서는 재능이 필요하다'라는 풀이로 나타낼 수 있으며, 영어로는 horticulture(hortus: 에워싸다, 정원, culture: 가꾸다)로 '울타리 친 밭 안에서 작물을 재배한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즉, 원포·온실·프레임 등에 주로 과수, 채소, 화훼를 생산하여 유통시키는 농업의 일부분이며, 집약적인 생산기술로 재배하는 농업생산활동을 의미한다. 현대에는 이러한 전통원예의 형태에서 나아가 식물, 인간, 환경과의 관계를 엮는 모든 활동을 '원예'라고 칭한다.
1.2. 원예산업의 구분과 가치
원예산업은 전통원예, 생활원예, 사회원예로 구분되며, 이는 각각 생산, 소비, 복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전통원예는 채소원예, 과수원예, 화훼원예, 시설원예 등의 종류를 가지며, 식품적·관상적·경제적 가치를 지닌다. 식품적 측면에서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며 알칼리성 식품이며, 보건·기호·기능성 식품의 가치를 지닌다. 관상적 측면에서는 취미와 여가, 환경 유지 및 개선, 정서 함양 및 질병 예방과 치료의 기능이 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농업의 중심에 있으며 농가 소득원과 성장 잠재력, 국제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생활원예는 식물가꾸기, 정원, 화단, 용기원예, 절화장식 등의 종류를 포함한다. 사회원예는 도시원예, 환경원예, 원예치료, 웰빙원예 등의 종류를 가진다.
이처럼 원예산업은 다양한 기능과 가치를 보유하고 있어, 이를 발전시키고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
1.3. 국내 원예산업 동향
국내 원예산업은 최근 COVID-19 확산에 따른 외식 수요 감소, 학교 급식 수요 감소 등으로 전반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채소, 과수, 화훼 등 3대 분과 모두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과수 분과의 재배면적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채소 부문은 197,238핵타르로 전체 원예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과수 부문이 142,466핵타르로 두 번째, 화훼 부문이 4,217핵타르로 가장 작은 비중을 나타냈다. 2022년에는 COVID-19 관련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원예산업 이외의 피해 산업들도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며, 친환경 소비 증가와 탄소중립시대에 맞는 원예산업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품종과 기술 개발, 생력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 신품종 육성과 고기능성 품질 고급화, 유통구조 개선과 국내외 경쟁력 강화, 친환경 유기원예 등이 원예산업 발전을 위한 주요 과제가 될 것이다. 또한 탄소중립 시대에 맞춰 에너지 이용 효율화, 친환경에너지 전환 등 적극적인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국내 원예산업 현황 및 전망
2.1. 생산액 및 성장률
원예산업의 생산액은 2010년에 11.0조원으로 농업의 28.6%를 차지했으며, 2000~2010년간 농업성장의 27%를 기여하였다. 각 부문별 생산액은 채소, 과수, 화훼 순으로 나타나는데, 채소의 경우 2010년 생산액 규모가 8.4조원이며 이중 과채류 4.2조원, 엽·근채류 2.0조원, 양념채소류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