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호모루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놀이의 개념과 역사
1.1. 놀이의 정의
1.2. 호모루덴스 개념
1.3. 귀족들의 전통놀이
1.3.1. 투호
1.3.2. 격구
1.3.3. 승경도 놀이
1.4. 서민들의 전통놀이
1.4.1. 고누놀이
1.4.2. 답교놀이
1.4.3. 석전(돌싸움)
1.4.4. 씨름
1.4.5. 강강수월래
1.4.6. 줄다리기
1.5. 비석치기의 어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놀이의 개념과 역사
1.1. 놀이의 정의
놀이는 신체적 ·정신적 활동 중에서 식사 ·수면 ·호흡 등 직접 생존에 관계되는 활동을 제외하고 '일'과 대립하는 개념을 가진 활동이다. 일은 어떤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이므로 일 자체는 고통이 따르게 되고 강제성도 있다. 그와 반대로, 놀이는 활동 자체가 즐거움과 만족을 주고 어떠한 강제성이 없이 자발적으로 행해지므로 일반적인 어떤 목적이나 목표와 독립된다. 아이들의 활동에는 일과 놀이의 구분이 없다. 놀이 활동을 통해서 새로운 기능을 얻으며 사회의 습관을 익혀서 일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아이들에게 있어서 놀이는 심신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지만, 성인에게는 일상생활이나 일에서 생기는 강박감(stress)을 해소하고 기분을 전환하며, 피로를 풀고 새로운 생활의욕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효용이 있다."
1.2. 호모루덴스 개념
호모루덴스(Homo ludens)는 '유희하는 인간'이라는 뜻으로, 네덜란드 문화사학자 J. 호이징아가 제창한 개념이다. 호이징아는 인간의 본질을 유희의 측면에서 파악하려고 했는데, 이는 기존에 유희가 문화 속에서 발생한다고 생각되었던 것과는 반대되는 관점이다.
호이징아는 문화가 원초부터 유희되는 것이며, 유희 속에서 유희로서 발달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유희는 다른 개념으로 환원되지 않는 자립적 범주로서 인간에게 있어 하나의 근원적인 활동형식이라고 보았다.
유희는 생존에 직결된 실생활 밖에 있고, 자유로우며 목적을 갖지 않는 비생산적 행위이지만, 점차 생활 전체의 보완이 되고 생활기능·사회기능, 즉 문화기능을 갖는 필수적인 것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호이징아는 유희가 갖는 대립적 성격에 주목하고 유희와 경기(競技)와의 근원적인 관계를 인정하였다.
이처럼 호모루덴스는 인간의 본질을 유희의 측면에서 파악함으로써, 기존에 문화 중심으로 이해되었던 관점을 전환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1.3. 귀족들의 전통놀이
1.3.1. 투호
옛날 궁중이나 양반집에서 항아리에 화살을 던져 넣던 놀이가 바로 투호이다. 당대(唐代)부터 의식적(儀式的)으로 손님을 접대하는 재예(才藝)로서 행하였으며, 한국에서는 고려 때부터 조선시대까지 행하였다. 잔디밭·대청 등에 귀가 달린 청동 항아리를 놓고 여러 사람이 동·서로 편을 갈라 10걸음쯤 떨어진 곳에서 화살을 던져 항아리 속에 넣는다. 화살을 많이 넣은 편이 이기고, 무희들이 춤을 추어 흥을 돋우었다. 궁중에서 왕족들이 투호를 할 때는 임금이 상을 내리기도 하였다.
투호는 본래 중국의 놀이로서 당대(唐代)에는 성행되었던 것인데, 우리나라에도 일찍부터 이 놀이가 들어와 행하여졌음을 알 수 있다. 『북사(北史)』의 백제전(百濟傳)에 의하면 백제에는 투호와 저포(**蒲)와 농주(弄珠)와 악삭(握**) 등 잡희(雜戱)가 있다 하였고, 『신당서(新唐書)』 고구려전에도 바둑과 투호놀이를 좋아한다 하였음을 보아 알 수 있다.
1.3.2. 격구
격구는 고려 ·조선시대에 무신들이 무예를 익히는 방법으로 하던 놀이이다. 타구(打毬) 또는 포구(抛毬)라고도 한다. 오늘날의 골프 또는 하키와 같이 막대기로 공을 치는 경기이다. 원래 페르시아에서 비롯된 폴로 경기가 당(唐)나라에 전래되어 격구로 불리면서 고구려 ·신라에 전해졌으며, 고려시대에 성행하였다. 조선시대에도 1425년(세조 7)에 무관의 습무(習武)로 재흥되어 전기까지는 무과(武科)의 시취(試取) 과목이 되었으며, 정조 때에 이십사반(二十四般)무예의 하나로 정해져 격구보(擊毬譜)...
참고 자료
생각의 탄생, 로버트루트번스타인, 미셸루트번스타인, 박종성옮김, 에코의서재,321p.
호모루덴스, 요한 하위징아 저, 이종인 역, 연암서가, 2010.
한국경제신문 한경포럼, 호모루덴스, 허원순 논설위원, 2010 01 29.
http://blog.naver.com/sing_a_sky?Redirect=Log&logNo=90077837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