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발생기준회계와 현금기준회계 수익 비용인식 학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현금주의와 발생주의
2.1. 현금주의
2.2. 발생주의
3. 현금주의 회계의 문제점
3.1. 재무제표 작성의 한계
3.2. 수익과 비용의 왜곡
3.3. 정보 이용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4. 발생주의 회계의 필요성
4.1. 기업 실적에 대한 정확한 반영
4.2. 정보 이용자의 합리적 의사결정 지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금기준회계와 발생기준회계는 수익과 비용을 인식하는 시점에 따른 회계 방식의 구분이다. 회계실무에서 수익과 비용을 어느 시점에 인식하느냐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파악하는 데 핵심적인 문제이다. 이는 곧 회계정보의 유용성과 직결되므로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본 보고서에서는 현금기준회계와 발생기준회계의 개념을 이해하고, 현금기준회계를 적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회계정보 이용자가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발생기준회계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2. 현금주의와 발생주의
2.1. 현금주의
현금주의는 현금이 오가는 시점에 수익과 비용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현금주의에서는 현금을 수입하였을 때 수익을 인식하고, 현금을 지출하였을 때 비용을 인식한다.
따라서 기록 시점이 명확하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수익과 비용의 실제 발생 시점과 현금의 수입·지출 시점이 일치하지 않아 기업의 경영성과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임대료 수입의 경우 실제 임대 서비스가 제공되는 시점에 수익이 발생하지만 현금주의에서는 현금을 수취한 시점에 수익을 인식하므로 기간별 성과 파악이 어렵다.
이처럼 현금주의는 기업의 실질적인 경영성과를 제대로 나타내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2.2. 발생주의
발생주의는 수익과 비용이 실현된 시점에 인식한다" 즉, 발생주의는 현금의 흐름보다 수익과 비용을 발생시키는 사건 및 거래를 더 중요시한다" 발생주의에서는 수익을 수익인식기준에 따라 인식하고, 비용을 수익·비용대응원칙에 따라 인식한다" 수익·비용대응원칙이란 비용을 수익창출에 기여했을 때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발생주의는 과거에 경제적 사건이 있었고, 기업이 통제할 수 있으며, 미래에 경제적효익이 유입될 것이 예상되는 경우 자산으로 인식하고 그에 따른...
참고 자료
반선섭 외8명, IFRS 회계원리, 제3판, 2018.
CHARM, 현금주의와 발생주의 회계, 2018.8.8. (https://www.charmacc.com/works/%ED%98%84%EA%B8%88%EC%A3%BC%EC%9D%98%EC%99%80-%EB%B0%9C%EC%83%9D%EC%A3%BC%EC%9D%98-%ED%9A%8C%EA%B3%84/)
온돌뉴스, [회계이야기] 현금주의와 발생주의 : 수익 비용의 인식, 201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