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신생아 패혈증(Neonatal Sepsis)의 정의
신생아 패혈증(Neonatal Sepsis)은 생후 1개월(길게는 3개월) 미만의 신생아에서 발열이나 저체온, 빈맥, 빈호흡 등의 이상이 있고 혈액균 배양 검사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 진균 등이 자라는 상태를 말한다. 신생아는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세균의 감염의 위험성이 높으며, 특히 미숙아의 경우에는 만삭아보다 3~4배 더 많이 발생한다. 패혈증에 걸렸을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를 받게 되는데, 대부분 잘 치료되지만, 치료에도 불구하고 사망하는 경우도 있으며, 뇌막염이 합병되는 경우에는 영구적인 신경학적인 후유증이 발생하는 수도 있다.
1.2. 신생아 패혈증(Neonatal Sepsis)의 병태생리
신생아 패혈증(Neonatal Sepsis)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미숙아들은 태반의 보호로부터 일찍 분리되어 각종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 및 기생충 감염에 이환되기 쉽다. 만삭아는 재태 기간 후반기에 어머니로부터 면역 물질인 IgG를 전달받아 병원균에 수동적인 면역 방어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미숙아들은 이러한 면역체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조기에 태어나기 때문에 소량의 IgG만 갖게 된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항하는 IgA와 그람 음성균에 대항하는 lgM의 함유량도 매우 낮아서 병원균에 쉽게 감염된다.
또한 신생아의 면역체계는 보체 양이 작고, 백혈구의 식균작용이 감소되며, 백혈구가 비효율적이고 양이 적어 일시적으로 취약하다. 보체는 항원이 들어오면 작용하는 것으로 항체 기능을 도울 뿐만 아니라 보체 스스로 세포분해, 식균작용 증진, 염증반응 활성화 및 면역복합체의 제거 등과 같은 작용을 하는데, 이러한 기능이 미숙아에게서 감소되어 있다.
따라서 미숙아는 균혈증 및 전신성 감염에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이처럼 면역체계의 미성숙으로 인해 미숙아들이 쉽게 감염되는 것이 신생아 패혈증의 주된 병태생리라고 할 수 있다.
1.3. 신생아 패혈증(Neonatal Sepsis)의 원인
신생아 패혈증(Neonatal Sepsis)의 원인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 드물게 원충 등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저체중 출생아, 양막파수 18시간 이상, 산모의 발열 및 융모양막염, 선천성 면역 결핍, 선천성 기형 등이 있는 경우 패혈증이 발병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세균 중에서는 특히 사슬알균 B군, 대장균, 리스테리아균이 주된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조기 발현 패혈증의 경우 주산기에 감염은 모체의 위장관계와 비뇨생식기계의 병원체에 직접 접촉으로 발생하며 가장 흔한 감염 병원체는 대장균이다"" 후기 발현 패혈증의 경우 일차적으로 병원 내 균이 감염원이고 주로 단순성포진 바이러스, 장관계 바이러스, 대장균, 포도상구균, klebsiella, 장내구균, pseudomonas 등이 원인이 된다"" 특히 미숙아의 경우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처치로 인해 후기 발현 신생아 패혈증에 걸릴 빈도가 높다"".
1.4. 신생아 패혈증(Neonatal Sepsis)의 증상
신생아 패혈증(Neonatal Sepsis)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신체의 여러 기관을 침범하고 심폐 증상이 심한 경우 패혈증을 의심할 수 있다" 패혈증의 첫 증상은 무호흡, 흉부 함몰, 빠른 호흡 등이 나타나지만 감염된 신생아의 대부분에서는 심각한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일반 증상으로는 증상 자체가 미미하고 애매하며 비특이적으로 특징적인 국소 염증 반응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체온 조절이 불안정하여 열이 날 수도 있고 오히려 체온이 저하될 수 있다" 초기 증상으로는 호흡수가 빨라지고, 지남력의 상실이나 정신 착란 등의 신경학적 장애가 나타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