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혈압 산모 CPD 제왕절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호사례 선정 이유
1.2. 대상자 질환 요약
2. 문헌 고찰
2.1. 아두골반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
2.1.1. 병태생리
2.1.2. 증상 및 징후
2.1.3. 진단적 검사
2.1.4. 치료 및 간호
2.2. 제왕절개(Cesarean Section, C/Sec)
2.2.1. 정의
2.2.2. 적응증
2.2.3. 유형
2.2.4. 제왕절개 산모 간호
3. 간호사례
3.1. 간호력
3.2. 신체검진
3.3. 진단검사의 정상범위 및 대상자의 진단검사 결과에 대한 통합적 견해, 투약 견해
3.4. 병의 경과
3.5. 간호 과정 적용
4. 결론
4.1. 간호사례 대상자에게 간호 과정 적용하면서 느낀 점
4.2.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소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간호사례 선정 이유
2021년 9월 기준 발표된 통계청 정보에 따르면 제왕절개 분만의 비율은 2018년 47%, 2019년 50.5%로 자연분만 비율을 앞질렀으며 2020년 54%, 2021년 58%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이다. 산모의 고령화가 제왕절개가 늘어나는 가장 큰 원인이며, 고령 산모들이 인공수정이나 시험관 시술을 통해 다태아를 임신하는 경우가 많다. 제왕절개가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불확실성의 연속인 자연분만이 부담스러워 산모가 의료진에게 요청하는 경우가 증가한 것도 하나의 원인이 된다"이다. 실제 분만실에서 실습 중에 본 산모의 약 70%가 35세 이상 고령 산모였으며, 제왕절개를 하고 싶다고 직접 요청하는 산모도 여럿 볼 수 있었다"이다. 여러 환자 중 아두골반 불균형으로 인한 제왕절개를 선택한 이유는 선택이 아닌 필수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제왕절개의 5대 적응증 중 가장 대표적이므로 선정하였다"이다.
1.2. 대상자 질환 요약
상기 환자는 35세의 초임부로 G2-T0-P0-A1(AA0, SA1)-L0의 산과력을 가지고 있으며 2023.05.21 CPD(Cephalopelvic disproportion, 아두골반불균형) 제왕절개 수술을 위해 입원하였다. 내진 시 narrow pelvis로 진단 나왔으며, 부 진단명은 supervision of pregnancy elderly primigravida(고령 초임부의 임신관리)이다. 마지막 월경일은 2022.8.29.이며 분만예정일은 2023.06.02.이다. 2023.05.21. 기준 임신 주수는 38+2wks 이며 태아심음은 150 bpm으로 정상이다. 2020년 고혈압 과거력으로 자가약인 Adalat 30mg 복용 중이며, 23+6wks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았다.
2. 문헌 고찰
2.1. 아두골반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
2.1.1. 병태생리
아두골반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아두골반불균형은 산도, 즉 골반 입구, 골반강과 출구가 협소한 협골반으로 아두의 크기가 골반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 발생한다. 골반 입구의 협골반은 전후경이 10.0cm, 횡경선이 12.0cm 이하인 상태이며, 골반강의 크기가 양쪽 좌골극 사이의 횡경이 10.5cm, 전후경이 11.5cm, 후종경이 5cm 정도로 협소한 경우를 말한다. 또한 골반 출구 협소는 좌골결절 사이의 거리가 8cm 이하인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아두골반불균형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선천적인 협골반, 종양, 영양실조, 척추나 하지 이상, 골반골절, 구루병 및 골연화증과 같은 질병 등이 있다. 태아가 너무 크거나 산모의 골반이 그에 비해 좁거나 좌골가시(ischial spine)가 돌출되었을 때에도 아두골반불균형이 초래된다.
2.1.2. 증상 및 징후
아두골반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의 증상 및 징후는 다음과 같다""
산모에게 나타나는 증상 및 징후는 분만 전 빈맥, 얕고 빠른 과다 호흡, 요통이나 복부의 심한 통증, 비정상적으로 강도가 높은 자궁의 수축, 자궁 경부의 개대가 일어나지 않고 분만 진행이 되지 않는 문제(2~3cm 미만에서 수 시간 동안 진통이 지속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태아에게 나타나는 증상 및 징후는 심박동 수 감소, 태동 감소, 전자 태아 감시상의 이상 소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1.3. 진단적 검사
아두골반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CPD)의 진단적 검사는 다음과 같다""
내진을 통해 아두골반불균형을 진단할 수 있다. 산모의 자궁을 내진하여 산모 골반의 형태나 크기, 골반의 산도 좌골가시(ischial spine)의 돌출 여부 등을 확인한다. 골반 입구의 전후경선이 10.0cm, 횡경선이 12.0cm 이하이거나 대각결합선의 길이가 11.5cm 이하일 경우 골반 입구 협소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좌골극 사이의 거리가 8cm 이하일 경우 골반 출구 협소로 볼 수 있다.
산전 초음파 검사 또한 아두골반불균형 진단에 도움이 된다. 산전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의 두위를 측정하여 진단할 수 있다. 산전 초음파 검사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현재 태아 이상의 발견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여러 산전 진단법 중 가장 중요한 검사다. 따라서 임신 중이나 분만을 앞둔 산부에게 필수적으로 실시된다"".
2.1.4. 치료 및 간호
아두골반불균형(CPD)은 산모의 골반이 좁거나 태아의 두위가 큰 경우 발생하므로, 대부분의 경...
참고 자료
정소미, 이진우, 이창훈, 황덕상, 장준복. 제왕절개술 후 발생한 위장관 기능장애에 대한 최신 RCT 연구 동향 분석통계.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Vol.33, No.1
임신육아종합포털아이사랑. 제왕절개술[인터넷]. (2022.10.01.)
삼성서울병원. 여성질환 아두골반불균형[인터넷]. (2022.10.01.)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건강진단에서 시행하는 혈액검사들에 대한 안내[인터넷]. (2022.10.02.)
약학정보원[인터넷]. (2022.10.02.)
이은희, 김유정, 안지원, 최예숙, 고영지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서울: 고문사; 2019. p.217-222
최소영. 모유수유지식에 따른 수유형태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8, No.1
강남미, 이운형, 주현경, 현태선. 모유수유관련 지식 및 교육정보 평가.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Vol.39, No.0
안숙희, 김명희, 조인숙, 강현욱, 김금중, 김희숙 외.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Ⅰ. 서울 : 현문사; 202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여성건강간호학II」, 수문사, 2020
「PACIFIC TANK MANUAL- 모성간호학」, 퍼시픽북스, 2020
Meg Gulanick , Juith L. myers 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7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KCDC-종합건강정보-건강/질병정보 https://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510
삼성서울병원-질환정보-여성질환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cancer/info/disease/view.do?CONT_ID=1641&CONT_SRC_ID=09a4727a8000f2b6&CONT_SRC=CMS&CONT_CLS_CD=00102000
서울 아산병원-건강정보-의료정보-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36
대한진단검사의학회-
https://labtestsonline.kr/tests/woundculture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20).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47~604
송경애 외, 2021, 기본간호학2, 수문사, 16 피부통합성-22 배설 p385~575
송경애 외, 2021, 기본간호학1, 수문사, 12 활력 징후-13 진단검사
송경애 외, 2021, 기본간호학 중재와 술기, 수문사, 제6장-제15장
이은희 외, 2022,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 과정, 별책, 고문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가족과출산조사」, 2021, 2023.05.23, 기혼여성(19~49세)의 분만방법(2018.9.2. 이후 출생아 기준),
https://kostat.go.kr/unifSearch/search.es
약학정보원, www.health.kr, 23.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