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와 프랑스어

  • 1
  • 2
  • 3
  • 4
  • 5
  • 6
  • 7
  • 8
>

상세정보

소개글

"라틴어와 프랑스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프랑스어의 역사와 발전
1.1. 프랑스어의 기원
1.2. 중세와 근대 시기 프랑스어의 변화
1.3. 혁명기 프랑스어의 변화

2. 프랑스 민족성과 정체성
2.1. 다양한 인종·민족 구성
2.2. 골족 신화와 프랑크족 후예론
2.3. 민족성과 국가 정체성에 대한 논쟁

3. 프랑스 언어 정책의 변화
3.1. 문화 통합을 위한 언어 정책
3.2. 혁명기 언어 공포정치
3.3. 근대 이후 프랑스어 보급과 교육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프랑스어의 역사와 발전
1.1. 프랑스어의 기원

프랑스어의 기원은 라틴어, 더 정확히 말해서 문어체 위주인 고전 라틴어와는 대비되는 민중 라틴어(latin vulgaire)이다. 이 민중 라틴어에서 지역적 특성에 따라 분화된 언어들이 로망어(langues romanes)이다. 로마인이 본격적으로 갈리아에 침투하기 시작한 2세기경 이전까지 널리 쓰이던 켈트어는 프랑스어의 기층어(substrat)를 형성한다. 한편 4~5세기 이후 게르만족이 갈리아 지방에 유입되면서 게르만어는 프랑스어의 상층어(superstrat)를 형성하게 된다. 정치 사회적 변화에 따라 민중 라틴어가 변화한 형태인 저속 라틴어는 세분화를 겪게 되며 마침내는 제국이 멸망할 시점에서는, 국민 국가라는 개념이 없는 시대에서는 일종의 크고 작은 모자이크 형태로 수많은 언어로 분리되었다. 갈로-로망어(gallo-roman)어는 이미 민중 라틴어가 기층어와 상층어의 영향을 받아 다른 로망어와는 구별되는 언어로서 그 모습을 드러낸 시기에 해당된다. 갈로-로망어는 아직은 '프랑스어'라고는 할 수 없는 상태로, 고전 라틴어와는 멀어진 상태의 라틴어가 갈리아 지역의 상층어와 기층어의 영향을 받아 심하게 변화하고 있었다.


1.2. 중세와 근대 시기 프랑스어의 변화

중세와 근대 시기 프랑스어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고대 프랑스어(ancien francais)는 9세기에서 13세기까지의 프랑스어를 지칭한다. 이 시기에는 전기와 고전기로 나뉘는데, 전기는 대략 9세기에서 11세기까지이고 11세기에서 13세기가 고전기에 해당한다. 고전기에 접어들면서 프랑스어는 중세의 봉건제도를 반영하듯이 지방별로 많은 방언이 형성된다. 오일어와 오크어가 보르도와 알프스를 잇는 선을 경계로 확연이 구분되어 발전하기 시작한 것도 이 시점이다. 북부의 오일어 중 대표적인 방언이 후의 프랑스어가 되는 일드프랑스 지방의 프랑치아어(francien)이며, 피카르디어(picard) 역시 독자적인 문학을 가진 언어로 유명하다. 남부의 오크어 중에서는 프로방스어(provencal)와 가스코뉴어(gascon)가 대표적이다.

중기 프랑스어(moyen francais)는 백년전쟁이 시작할 즈음인 14세기 초중반에서부터 16세기 초 이탈리아 원정이 이루어질 시기 사이의 프랑스어를 지칭한다. 백년전쟁과 함께 희미하나마 국민국가와 군주제 권력이 자리를 잡기 시작하면서 '국어'와 유사한 개념, 즉 프랑스인들의 언어라는 개념이 등장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파리대학의 융성과 더불어 고대의 저술들과 공문서, 법률문서가 프랑스어로 번역되기 시작한다. 프랑치아어는 왕의 언어(langue du roi)로서 인정받으며, 미남왕 필립 치하에서부터 왕실 대법관에 의해 라틴어와 경쟁하면서 국가어로서 지위를 다지게 된다.

1539년, 프랑스와 1세는 빌레르-코트레 칙령(Ordonnance de Villers-Cotterets)을 서명하여 모든 공문서를 오직 프랑스어로만 작성할 수 있도록 정하여 선포했다. 빌레르-코트레 칙령은 프랑스어를 장려하려는 프랑스와1세의 문예적 성향의 일환으로 볼 수도 있지만, 사실 프랑스어가 아니라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 일차적 목적이었을 것이다.

17세기는 바로 그 유명한 아카데미 프랑세즈가 출현하게 되는데, 이는 프랑스어의 성격이 17세기 들어서면서 확연하게 바뀌는 것을 보여주는 일이다. 17세기 초부터 변호사이자 시인이었던 말레르브(Malherbe)가 프랑스어 순수주의(purisme)를 주장하면서 명료함과 간결함을 언어사용 최고의 미덕으로 꼽았는데, 이는 화려한 바로크적 전통의 문학이 지나치게 일반인들의 언어에서 벗어나 지식인층 내에서만 소비되었다는 점에 근거하고 있었다.

18세기에 들어서면서는 계몽주의가 꽃을 피우고 프랑스, 특히 파리는 모든 예술과 학문의 중심지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17세기부터 있었던 살롱문화는 엘리트를 가장 빛나게 하는 것은 교양이라는 의식을 전유럽에 퍼트렸고, 점차로 프랑스어는 프랑스 내에서뿐만 아니라 유럽 전체에서 엘리트의 언어로서 지위를 굳히기 시작했다.


1.3. 혁명기 프랑스어의 변화

프랑스 혁명이 갖는 '단절성'의 정도가 얼마나 되느냐에 관해서는 개인마다 이견이 있을 수 있겠으나, 적어도 혁명이 구체제를 타파하고 새로운 사상과 제도에 기반한 신질서를 건설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격동의 시기에 프랑스어는 군주의 통치 도구에서 인민의 손으로 옮겨오는 획기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무엇보다도 언어가 혁명의 이념을 전파하기 위한 매체로 인식되면서 혁명 정부는 교육 정책의 정립을 통해 지방어를 근절하려는 일련의 움직임을...


참고 자료

Jean-Benoit Nadeau/Julie Barlow, The Story of French, St. Martin's Press, 2006
Anne Judge, Linguistic Policies and the Survival of Regional Languages in France and Britain, Palgrave MacMillan, 2007
Louis Althusser,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translated from the French by Ben Brewster, New York : Monthly Review Press, 1971
송기형, 「불란서 대혁명기의 언어정책」,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89
송기형, 「그레구아르 설문서의 종합적인 분석(1)」, 『한국프랑스학논집 제22집』, 1997
조홍식, 「민족국가와 언어의 정치」, 『국제지역연구』 제17권 3호, 2008
이창순, 『프랑스어사 개요』, 신아사, 2000
M. Cohen 저, 김동섭 역, 『佛語史 : 언어 발달과 사회 변천사』, 어문학사, 1996
A. Giusti 저, 최재호 역, 『프랑스어』, 영림카디널, 2004
D. Rivière 저, 최갑수 역, 『프랑스의 역사』, 까치, 1998
라틴어 수업 (지적이고 아름다운 삶을 위한)
저자
한동일
출판
흐름출판
2019.04.29.
김현권, 프랑스어와 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4
김문환, 프랑스 문화 따라잡기, 다인미디어, 2002
박찬인, 프랑스어 역사형태론, 충남대학교출판부, 2007
선영아, 프랑스의 역사, ????오늘날의 프랑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
홍재성, 프랑스어학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6
뉴스페파민트, 2016, 갈리아, 클로비스, 잔다르크 : 프랑스는 자신에 어울리는 역사를 발명해야 합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