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경반사 아주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신경 반사
1.1. 실험 목적
1.2. 실험 원리
1.2.1. 중추신경계(CNS)
1.2.1.1. 뇌
1.2.1.2. 척수
1.2.2. 말초 신경계(PNS)
1.2.2.1. 체성신경계
1.2.2.2. 자율신경계
1.2.3. 신경세포(뉴런)
1.3. 수의적 반응
1.4. 불수의적 반응(반사)
1.4.1. 척수 반사
1.4.2. 연수 반사
1.4.3. 중뇌 반사
1.5. EKG센서
1.6. 가속도계
1.7. 실험 방법 및 절차
1.8. 실험 결과
1.9. 고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신경 반사
1.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수의적 반응과 불수의적 반응의 비교를 통해 자극에 대한 반응 차이를 이해하고, 무릎 반사 현상을 이용하여 반사활동이 일어나는 방식을 이해하며, 신경반사속도를 산출하는 것이다.
수의적 반응은 대뇌피질의 판단과 명령에 따라 일어나는 반응으로, 본인의 의지로 이루어지는 반응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불수의적 반응 또는 반사는 대뇌가 관여하지 않고 척수, 연수, 중뇌 등 기타 중추신경에 의해 즉각적이고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반응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무릎 반사 현상을 이용하여 수의적 반응과 불수의적 반응의 속도 차이를 측정하고 비교함으로써, 자극에 대한 두 가지 다른 반응 경로와 그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1.2. 실험 원리
1.2.1. 중추신경계(CNS)
1.2.1.1. 뇌
척추동물의 무엇보다 중요한 필수 기관인 뇌는 중추신경계의 일부분이다. 뇌는 척추동물의 인지, 기억, 학습, 정서, 운동 등 복잡한 생물학적 기능을 담당하는 핵심 기관이다. 뇌의 주요 구조인 대뇌, 소뇌, 간뇌, 중뇌, 교뇌, 연수는 각각 고유한 기능을 수행한다. 대뇌는 정신 활동의 중추로 감각, 연합, 운동 영역으로 구분되며 학습, 판단, 기억 등의 고등 정신 기능을 담당한다. 소뇌는 운동 조절과 자세 유지를 담당하고, 간뇌는 내분비샘 활동과 체온 조절을 관장한다. 중뇌는 시각과 청각 반사를, 교뇌는 호흡 및 순환 조절을, 연수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을 조절한다. 뇌 내부는 회색질과 백질로 구성되는데, 회색질은 신경 세포체가 밀집된 영역이며 백질은 신경 섬유가 모여 있는 부분이다. 이처럼 뇌는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는 중추신경계의 핵심기관이다.
1.2.1.2. 척수
척수는 뇌와 연결되어 있고 감각과 운동 신호를 모두 전달하는 중추신경계의 일부분이다. 척수는 척추골 안에 위치하며, 뇌와 연속되어 있어 뇌의 뒤쪽에 위치한다. 척수는 두개골 밑부터 시작하여 대략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요추에서 끝난다.
척수는 말초신경계의 일부인 척추신경을 통해 신체의 다른 부분과 연결된다. 이 신경들은 척수와 피부, 관절, 근육 등을 연결하고, 운동 및 감각 신호를 전달한다. 이를 통해 근육의 자발적 및 비자발적 움직임과 감각을 느낄 수 있다. 척추신경은 감각과 운동 신호를 모두 전달하지만, 신경은 척수의 다른 부위에서 시냅스를 형성한다.
척수는 반사활동의 중추 역할을 한다. 상부 부분은 호흡과 팔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중간과 하부 부분은 몸통과 다리의 움직임을 조절한다. 반사 활동이 일어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감각 수용기로부터 자극이 전달되면, 이 자극은 구심성 뉴런으로 이어진다. 구심성 뉴런은 원심성 뉴런과 연결되어 있는 연합뉴런을 자극해 골격근을 이완 혹은 수축하게 되고, 반사의 과정이 종료된다.
따라서 척수는 감각 신호를 받아 중추신경계로 전달하고, 운동 신호를 보내어 신체 반응을 조절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1.2.2. 말초 신경계(PNS)
1.2.2.1. 체성신경계
체성신경계는 우리가 의식적으로 움직이는 반응을 담당하는 말초신경계의 신경계통이다. 체성신경계는 대뇌의 지배를 받아 사람이 본인의 의지대로 움직이는 반응에 관여한다. 이때 중추신경계와 연결된 하나의 뉴런이 반응기와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사람은 12쌍의 뇌신경과 31쌍의 척수 신경이 있으며, 이들 신경은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각신경은 몸의 여러 부위에 분포하는 감각수용기에서 감지된 자극을 중추신경계로 전달하고, 운동신경은 중추신경계의 명령을 받아 골격근을 움직이게 하여 수의적인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체성신경계는 대뇌피질에서 내린 명령을 전달받아 우리가 의식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즉, 체성신경계는 대뇌와 운동기관을 연결하여 우리가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
참고 자료
Wikipedia, Daphnia, https://en.wikipedia.org/wiki/Daphnia
Wikipedia, Central nervous system, https://en.wikipedia.org/wiki/Central_nervous_system
위키백과, 중추신경계, 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C%B6%94%EC%8B%A0%EA%B2%BD%EA%B3%84
Wikipedia, Peripheral nervous system, https://en.wikipedia.org/wiki/Peripheral_nervous_system
위키백과, 말초신경계, https://ko.wikipedia.org/wiki/%EB%A7%90%EC%B4%88%EC%8B%A0%EA%B2%BD%EA%B3%84
Wikipedia, Neuron, https://en.wikipedia.org/wiki/Neuron
한국뇌발달연구소, 뉴런, http://kbrain.co.kr/board_FXki69/890
한국뇌발달연구소, 뉴런의 유형, http://kbrain.co.kr/board_FXki69/900
동아사이언스, 우리는 어떻게 행동을 할 수 있을까,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44833
위키백과, 중간뇌, https://ko.wikipedia.org/wiki/%EC%A4%91%EA%B0%84%EB%87%8C
위키백과, 반사(생리학), https://ko.wikipedia.org/wiki/%EB%B0%98%EC%82%AC_(%EC%83%9D%EB%A6%AC%ED%95%99)
위키백과, 심전도, https://ko.wikipedia.org/wiki/%EC%8B%AC%EC%A0%84%EB%8F%84
네이버 지식백과, 가속도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36878&cid=60217&categoryId=60217
두산백과, 반사궁[reflex arc,反射弓],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4166
캠벨 생명과학 개념과 현상의 이해/Taylor저/라이프 사이언스/pg570~579
11주차 신경반사 실험 강의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3aCEvTlZ_DA
서울교통공사 자료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53
[그림 1]
9. 신경반사.pp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