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GERD CASE 문헌고찰 간호과정 3"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문헌고찰
2.1. 위식도 역류질환(GERD)의 정의
2.2. GERD의 원인
2.3. GERD의 병태생리
2.4. GERD의 증상
2.5. GERD의 진단검사
2.6. GERD의 치료 및 간호중재
3. 간호사정
3.1. 일반적 사항
3.2. 대상자의 약물치료 현황
3.3. 대상자의 진단 검사 현황
4. 간호과정
4.1. 역류로 인한 식도 점막 손상과 관련한 급성 통증
4.2. 불규칙한 생활습관과 관련된 위험성 있는 건강행동
4.3. 신체, 정신상의 변화로 인한 비효과적 대처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위장관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이고 국내에서도 12~15% 정도로 서양에 비해서는 적지만 생활양식의 서구화와 비만의 증가로 인해 과거에 비해 꾸준히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내 보고에 의하면 GERD의 특징적인 증상인 가슴쓰림(heartburn)이나 역류(regurgitation)를 호소하는 환자보다 만성적인 후두증상, 흉통, 인후이물감, 연하곤란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정확한 발생빈도를 추정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위식도 역류질환의 증상을 경험하고 있음에도 자신이 어떤 질환인지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도 많다.
1.2. 연구의 목적
위식도 역류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쌓고, 나타날 수 있는 간호문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의 효과적인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문헌고찰
2.1. 위식도 역류질환(GERD)의 정의
위식도 역류질환(GERD)은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되거나 식도점막의 손상이 발생한 경우를 의미한다. 즉, 위 내용물이 식도로 거꾸로 올라와 식도 점막을 자극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러한 상태를 역류성 식도염(reflux esophagitis)이라고 한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위와 식도의 연결부위에 문제가 있거나 하부식도괄약근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만성적인 역류로 인해 식도 점막에 염증이 생길 수 있다.
2.2. GERD의 원인
GERD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와 식도의 연결각도 이상으로 인해 GERD가 발생할 수 있다.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에서 위와 식도의 연결각도가 둔각을 이루고 있으나, 이 각도가 변형되면 위 내용물의 역류가 일어날 수 있다.
둘째, 위 부피 증가로 인해 GERD가 발생할 수 있다. 임신, 비만 등으로 인해 위 부피가 증가하면 복강 내압이 상승하여 역류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 하부식도괄약근(Lower Esophageal Sphincter, LES)의 이완으로 인해 GERD가 발생할 수 있다. 알코올, 카페인, 초콜릿, 고지방 식품, 산성 과일, 베타 차단제, 칼슘 통로 차단제, 테오필린,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 니코틴 등의 약물과 물질들이 LES의 이완을 유발하여 역류 발생 위험을 높인다.
넷째, 복강 내압 상승으로 인해 GERD가 발생할 수 있다. 비만, 임신, 과식, 복수, 꽉 조이는 옷이나 벨트 착용,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릴 때 복압이 상승하여 역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위 내용물이 위·식도 연접부에 있을 때 횡와위나 허리를 굽힐 경우 역류가 발생할 수 있다.
다섯째, 위·십이지장 궤양, 식도열공탈장이나 위수술, 장기간의 구토, 장기간의 위장관 삽관 후 GERD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압 상승과 함께 위산이나 소화액의 역류로 인한 식도 손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GERD의 주요 원인은 해부학적 구조 변형, 위 부피 증가, LES 기능 저하, 복강 내...
참고 자료
김금순 외 (2017), 『여덟째 판 수정판 성인간호학』, 수문사, p404
박지원 외 (2015), 『제 8판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515~520
김금순 외 (2015), 『핵심 건강사정 임상증상별 접근』, 수문사, p394~399
성미혜 외 (2015),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p250, 293, 319
안의수 외 (2015), 「제2판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운동과 건강」, 현문사, p77~78
조경숙 외 (2014), 「제 6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364
전시자 외 (2010), 「제5판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서울), pp.350~353
최정신 외 (2002), 「성인 내·외과 간호학 Ⅱ」, 형설출판사, p44~p51
성인간호학Ⅰ, 2012, 김금순, 김영숙, 수문사
성인간호학 하권, 2014, 조경숙 외, 현문사
임상간호와 영양, 2013, 번영순 외, 정담미디어
일반응급처치 굿라이프, 2014, 김재호, 이담북스
수문사 성인간호학Ⅱ p402 ~ 406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임상병리 검사(임상적 의의):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