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양파세포분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체세포 분열 관찰
1.1. 목적
1.2. 실험 재료
1.3. 실험 방법
1.3.1. 양파 뿌리의 고정, 해리, 염색
1.3.2. 슬라이드 제작 및 현미경 관찰
1.4. 실험 결과
1.4.1. 배율별 관찰 결과
1.4.2. 각 단계의 세포 특징
1.5. 고찰 및 논의
1.5.1. 실험 진행상의 어려움
1.5.2. 염색 및 압착 과정의 중요성
1.5.3.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체세포 분열 차이
1.6. 심화 학습
1.6.1. 체세포 분열 단계 설명
1.6.2. 체세포 분열과 감수 분열의 차이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체세포 분열 관찰
1.1.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세포는 세포로부터 만들어진다는 세포설을 이해하고 생명의 생장이 세포분열에 의해 이뤄지고 있음을 이해하는 것이다. 체세포 분열과정을 관찰하여 각 단계의 특징을 확인하는 것이다.""
1.2. 실험 재료
실험 재료는 현미경, 슬라이드글라스, 커버글라스, 핀셋, 면도날, 해부침, 페트리접시, 스포이트, 비커, 알코올램프, 삼발이, 석면망, 온도계, 스탠드, 고무달린 연필 (없어도 됨)이다.
이 중 현미경은 관찰을 위해 필요하고, 슬라이드글라스와 커버글라스는 시료를 올려놓고 덮는데 사용된다. 핀셋과 면도날은 시료를 준비하는데 필요하며, 해부침은 시료를 잘게 찢는데 사용된다. 페트리접시, 스포이트, 비커 등은 시료 준비 및 염색 과정에 필요한 기구들이다. 알코올램프와 삼발이, 석면망 등은 시료를 가열하는데 사용되며, 온도계와 스탠드는 온도 조절과 현미경 고정을 위해 필요하다. 고무달린 연필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1.3. 실험 방법
1.3.1. 양파 뿌리의 고정, 해리, 염색
양파 뿌리의 고정, 해리, 염색이다. 우선 양파의 뿌리 끝을 물로 씻어 고정액(에탄올 : 아세트산=3:1)으로 고정한다. 이는 세포를 살아 있을 때와 똑같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다음으로 고정된 뿌리를 60℃의 묽은 염산(1N HCl)에 10분 정도 담그는데, 이 해리 과정은 조직을 연하게 하여 차후 과정인 분리 과정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자른 뿌리 끝 부분에 아세트산 카민 한 방울을 떨어뜨린 후 잘게 찢는데, 이는 염색 과정으로 음전하를 띠는 DNA분자와 색상을 띠고 있는 염색약 속 양이온을 반응하게 하여 핵물질로 하여금 그 색상을 띠게 하는 원리이다. 이때 너무 많은 염색약을 사용하면 해부침으로 시료를 잘게 찢는 분리 과정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적당량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1.3.2. 슬라이드 제작 및 현미경 관찰
슬라이드 제작 및 현미경 관찰은 체세포 분열 관찰의 핵심 과정이다. 먼저 양파 뿌리 끝에서 2mm 되는 부위를 잘라내 슬라이드 위에 놓고, 아세트산 카민 용액을 한 방울 떨어뜨린다. 그 후 해부침을 이용하여 이 부분을 잘게 찢어 세포를 분리시킨다. 이렇게 하면 세포가 한 겹으로 펴지게 된다.
약 1분 후 핀셋을 이용하여 커버글라스를 덮는다. 이때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기포가 있으면 해부침의 뒤쪽으로 가볍게 두드려 제거한다.
그 다음 거름종이를 프레파라트 위에 얹고 커버글라스의 한쪽 끝을 왼손 검지손가락으로 눌러 고정시킨다.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커버글라스 가운데를 꼭 눌러주어 세포가 한 층으로 펴지게 한다.
이렇게 준비된 슬라이드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다. 먼저 저배율(40배 또는 100배)로 초점을 맞춘 뒤, 고배율(400배)로 ...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중기 [metaphase, 中期] (생명과학대사전, 2008.2.5, 아카데미서적)
[네이버 지식백과] 세포의 고정과 염색 (Basic 고교생을 위한 생물 용어사전, 2002.2.5, (주)신원문화사)
과학용어사전 / 뉴턴편집부 / 뉴턴코리아 / 2010
plant physiology(4th ed) / Taiz L, Zeiger E /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 2006 /16-
plant vacuole / Marty F / Plant cell / 1999 / 11:587-599
세포생물학/김준철, 이성행, 이창진, 전성호, 차현철, 허정훈/ 범문에듀케이션/2014/240p-245p
중심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69167&cid=61233&categoryId=61233
동원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69138&cid=61233&categoryId=61233
세포질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13358&cid=40942&categoryId=32323
상동염색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41770&cid=47339&categoryId=47339
염색분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26947&cid=40942&categoryId=32317
생명과학대사전 / 강영희 / 도서출판 여초 / 2014
Basic 중학생을 위한 과학 용어사전 / 이수종 / ㈜신원문화사 / 2007
Life, The Science of Biology / Sadava, Hillis, Heller, Berenbaum / Sinauer&freeman / 2012 / 190-207
사진출처- 비상학습백과 중학교 과학 (http://www.visang.com/)
김희수, 실험탐구수업을 이용한 감수분열 과정의 이해, 현장과학교육, 2007
문경원, MLB장치를 이용한 광합성 실험: 체세포 분열 & 생식세포 분열관찰, 서울대학교
양파 뿌리의 체세포 분열 관찰, 생물 닷컴, 2012 http://biolabkorea.com/data/index.htm?ptype=view&code=data&idx=5166
데이빗 사다바, 생명 생물의 과학(개정판 9판),강해묵, 라이프사이언스(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