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 섭취량 배설량 측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소아청소년병동 실습내용
1.1. 아동의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1.2. 체온유지 간호 - 상승된 체온의 조절
1.3. 아동의 체위 배액 및 흉부물리요법
1.4. 검체 수집 - 소변검체
1.5. 요추천자
1.6. 참고문헌
2. 급성 위장염(Gastroenteritis) 사례연구
2.1. 서론
2.1.1. 케이스 선정이유
2.1.2. 연구 진행 계획 및 사회적 의의
2.2. 본론
2.2.1. 환아의 일반적 사항
2.2.2.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
2.2.2.1. 급성 위장염
2.2.2.2. 설사
2.2.2.3. 구토
2.2.3. 간호사정
2.2.4.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2.2.5. 간호과정
2.3. 결론
2.3.1. 제언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소아청소년병동 실습내용
1.1. 아동의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아동의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은 체액균형을 사정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체액균형의 사정에는 체액의 섭취량과 소실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위장관 섭취와 비경구적 투여를 포함한 모든 자료를 고려해야 하며,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평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섭취량에는 경구 섭취, 장관 튜브를 통한 섭취, 비경구 영양으로 섭취하는 액체류가 포함되며, 배설량에는 소변, 설사, 구토, 위 흡인, 상처 배액물이 포함된다. 정맥치료 중인 아동, 큰 수술을 받은 아동, 이뇨제 또는 코르코스테로이드 요법을 받는 아동, 심한 열화상 또는 상해를 입은 아동, 신장 질환 또는 손상을 입은 아동, 변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소아 또는 아동 등과 같이 주의가 필요한 환자의 경우 간호사의 책임이 필요하다.
기저귀를 사용하는 영아의 경우, 소변과 대변이 섞여 있어 각각의 소실량을 구별할 수 없고, 소변이나 묽은 변이 새거나 증발해서 소실되는 것, 기저귀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수분량이 첨가되는 경우 등 단점이 있다. 경구 섭취가 불가능할 때에는 침대나 아동의 윗도리에 경구 섭취가 금지되었다는 표시를 해두고, 음료를 남겨두지 않아야 한다.
이처럼 정확한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는 것은 대상자의 체액균형을 사정하고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1.2. 체온유지 간호 - 상승된 체온의 조절
체온유지 간호 - 상승된 체온의 조절은 신체 대사에 의해 생산된 열의 양과, 외부로 손실된 열의 양의 차이를 나타내는 건강 지표이다. 체온 상승은 흔히 발열로 나타나거나 간혹 고체온증으로 원인이 되어 나타난다.
체온은 시상하부 내 온도조절장치에 의해 조절된다. 조절기전은 말초와 중심에 위치한 수용기에서 열에 대한 정보를 받는다. 체온변화가 일어나면 말초와 중앙에 위치한 수용기가 조절기로 정보를 전달하고, 지속적인 기준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열 발생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시상하부는 심부체온이 새로운 발열점에 도달할 때까지 열생산을 증가시킨다.
열이 나는 동안, 혈관이 축소되면서 오한이 나고 오한이 나는 동안 새로운 발열점까지 심부체온이 증가하면서 열을 보유한다. 체온이 더 높은 범위에서 안정화되면 정체기가 된다. 체온이 발열점보다 더 높거나 발열인자가 없어지면 열이 내린다.
열은 백혈구의 활동, 인터페론의 생산과 효과, 항체의 생산, 항균 효과를 증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열의 치료는 열에 의한 것인지 고체온증에 의한 것인지에 따라 다르다.
열 일반적으로 불편감을 없애는 것이 기본 원칙이다. 해열제를 사용하여 발열점을 낮추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아세트아미노펜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해열제로, 절대 초과 복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환경요인을 중재하여 열 해소를 돕는다.
고체온증은 발열점이 정상으로 돌아왔기 때문에 해열제로는 조절이 되지 않는다. 이때는 체온을 경감시키기 위해 냉요법을 적용해야 한다. 전통적인 냉찜질이 가장 효과적이며, 오한이 나타나면 냉찜질이 적절하지 않다.
영아와 어린 아동은 몸 피부에 비해 체표면적이 넓어 외부 환경으로 더 많은 열을 잃을 수 있다. 중증의 질환을 가진 아동들은 피부 관류가 좋지 않아 높은 심부 체온에도 불구하고 피부가 차가울 수 있다. 생후 3개월 미만의 영아에게 발열은 임상적으로 매우 심각한 징후이므로 직장 체온 측정이 우선시된다.
1.3. 아동의 체위 배액 및 흉부물리요법
아동의 체위 배액 및 흉부물리요법은 기도 내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 유지를 돕는 간호중재이다" 체위 배액은 중력을 이용하여 기관지 내 분비물을 배출시키는 방법이며, 흉부물리요법은 기도 내 점액을 제거하기 위해 타진, 진동, 기침 등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체위 배액은 구토를 예방하기 위해 식사 전이나 식사 1-1.5시간 후에 시행하며, 20-30분 정도 실시한다" 영아의 경우 머리위치를 낮추는 Trendelenburg 자세를 취하지 않는데, 이는 영아는 자동조절 능력이 미발달하여 혈액이 머리로 몰리면 뇌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흉부물리요법은 체위 배액과 함께 실시하여 기도 내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직접 흉벽을 두드리는 법은 흉곽 위에서만 시행하며 아프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기계적 기침 보조 장치와 복부 밀어내기 기술, 심호흡 등을 활용하여 기도 내 분비물 배출을 돕는다" 이때 자극이 있든 없든 기침을 격려하며, 효과적인 기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처럼 체위 배액과 흉부물리요법은 기도 내 분비물 제거를 통해 호흡기능을 증진시키는 간호중재로, 아동의 상태와 연령을 고려하여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1.4. 검체 수집 - 소변검체
소변검체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소변검체를 통해 요당, 케톤, 요단백, 요잠혈, 산성도 및 요비중을 파악할 수 있다. 심리적 지지를 위해 타인의 시선에 민감한 청소년은 수치심을 느낄 수 있으므로 종이 백을...
참고 자료
아동의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 아동건강간호학Ⅱ Chaper 23, page 182~
체온유지 간호 – 상승된 체온의 조절 : 아동건강간호학Ⅱ Chaper 23, page 150~
아동의 체위 배액 및 흉부물리요법 : 아동건강간호학Ⅱ Chaper 27, page 408~
검체수집 – 소변검체 : 아동건강간호학Ⅱ Chaper 23, page 161~
요추천자 : 아동건강간호학Ⅱ Chaper 23, page 160~
「아동간호학 각론」, 김혜영 외 12명, 현문사, 2022
「인체 생리학」 김국성 외 14명, 메디컬사이언스, 2021
아동간호학 각론, 김영혜외, 2018, 현문사
아동간호학 총론, 김영혜외, 2018, 현문사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1, 수문사, 2019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1, 현문사, 2020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2, 현문사, 2020
이강이 외, 건강사정, 현문사, 2018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제10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I, 수문사, 2020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제10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II, 수문사, 2020
[MSD 매뉴얼 일반인용] 위장염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C%86%8C%ED%99%94-%EC%9E%A5%EC%95%A0/%EC%9C%84%EC%9E%A5%EC%97%BC/%EC%9C%84%EC%9E%A5%EC%97%BC
[네이버 지식백과] 설사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07311&cid=51004&categoryId=51004
[네이버 지식백과] 구토 [vomiting]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7421&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지식백과] 엔테로바이러스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2107&cid=43667&categoryId=43667
[네이버 지식백과]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 (감염병포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95597&cid=63064&categoryId=63064
[네이버 지식백과] 우리나라 봄~여름철 유행병: 엔테로바이러스 감염 (중앙대학교병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09294&cid=63166&categoryId=51023[네이버 지식백과]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감염병포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95606&cid=63064&categoryId=63064
[네이버 지식백과] cryptosporidiosis (이우주 의학사전, 2012. 1. 20., 이우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64545&cid=60408&categoryId=58529
[네이버 지식백과] 작은와포자충, 사람와포자충 (임상 기생충학, 2011. 1. 25., 채종일, 홍성태, 최민호, 신은희, 유재란, 고원규, 박윤규, 한은택)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424579&cid=51324&categoryId=51324
박호란 외 공저(2019).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하권. 현문사.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210A0002
https://j.kafn.or.kr/journal/view.php?number=839
http://khna.or.kr/bbs/linkfile/resource/khna_Pcare.pdf
약물 정보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2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