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장막염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관계 문헌의 개요
2. 본론
2.1. 심장계 문헌고찰
2.1.1. 구조
2.1.2. 기능
2.1.3. 심장의 전도체계
2.1.4. 심장주기
2.1.5. 심장의 기계적 특성
2.2. 심낭염 문헌고찰
2.2.1. 심낭염 병태생리와 원인
2.2.2. 심낭염 임상증상
2.2.3. 심낭염 진단검사
2.2.4. 심낭염 치료
2.2.5. 심낭염 대상자 간호
2.3. 대상자 질환: 결핵성 심낭염
2.4. 대상자 치료: 심낭천자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낭염(pericarditis)은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심낭의 염증이다. 심낭염은 심장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심장질환 중 하나이다. 심낭염 환자 중 심낭삼출(pericardial effusion)이나 심장 눌림증(cardiac tamponade) 등의 합병증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질병의 초기 단계에 치료를 받고 주기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습병동인 **의 주요 과인 심혈관 환자를 찾아보다가 심낭염 환자를 사례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에 심낭염에 대한 원인, 증상, 치료 등에 대해 학습하고, 임상에서 우선순위가 되어야 할 간호 문제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간호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 위해 심낭염 대상자를 선정하여 조사 및 연구를 하게 되었다.
1.2. 관계 문헌의 개요
심장계 문헌고찰에서는 심장의 구조와 기능, 심장의 전도체계, 심장주기, 심장의 기계적 특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심장은 무게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길이 12.5cm, 폭 7.5cm 정도이며, 보통 성인의 주먹 크기만 하다""심장은 심낭(pericardium)에 둘러싸여 있으며, 심낭은 심장이 제 위치에 있도록 돕고 심장에 혈액이 과하게 차지 않도록 도우며 흉부 감염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심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심장은 좌우 중격으로 분리되어 각각 심방과 심실로 구성된 4개의 방이 있으며, 1분간 72회 정도로 박동하고, 1회 70mL 정도의 혈액을 내보내 1분당 5L 정도, 하루에 약 7,000L 이상의 혈액을 분출한다""신체 활동을 할 때 말초조직의 산소요구가 증가하면 심박출량이 평소보다 두 배 정도 많아진다""
심장의 전기생리학적 특성인 자발성, 흥분성, 전도성, 수축성, 불응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심근세포 내·외에 분포되어 있는 전해질의 활동으로 심근이 전기적으로 자극받아 활동한다고 밝히고 있다""
심장의 전도체계에 대해서는 동방결절, 방실결절, 히스속, 푸르킨예섬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동방결절은 정상 환경에서 분당 60~100회의 전기자극을 일으키는 심장박동조율기이며, 방실결절은 이차적 심장박동조율기가 될 수 있고 심방에서 심실로 자극을 전도하는 유일한 경로라고 한다""
심장주기에 대해서는 수축기와 이완기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심실의 활동과 혈액 유출입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심장의 기계적 특성으로는 심박출량과 심장지수, 박동량에 영향을 주는 전부하와 후부하, 심근수축력, 그리고 혈압의 유지와 조절 기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심낭염 문헌고찰에서는 심낭염의 병태생리와 원인, 임상증상, 진단검사, 치료, 대상자 간호에 대해 다루고 있다""
심낭염은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심낭의 염증으로, 염증으로 생긴 심낭 내의 삼출물이 심장을 압박하여 심박출량을 감소시키고 심부전을 초래한다고 설명하고 있다""심낭염의 원인은 감염성, 비감염성, 과민반응 또는 자가면역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결핵은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원인 질환이라고 한다""
심낭염의 임상증상으로는 흉통, 심낭마찰음, ST분절 상승 등이 있으며, 급성 심낭압전은 심낭염의 대표적인 합병증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심낭염의 진단을 위해 단순 흉부 촬영, 심전도, 심장초음파 검사를 시행하고, 필요 시 심낭천자를 통해 삼출액을 채취하여 분석한다고 설명했다""
심낭염의 치료는 급성기에는 충분한 휴식, 항염증제, 진통제 등의 보존적 치료를 하며, 만성 수축성 심낭염의 경우 외과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심낭염 대상자 간호로는 통증 조절, 심박출량 증진, 불안 완화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2. 본론
2.1. 심장계 문헌고찰
2.1.1. 구조
심장(heart)은 무게 300g 정도의 근육기관으로 길이 12.5cm, 폭 7.5cm 정도이며 보통 성인의 주먹 크기만 하다. 심장의 위치는 종격동(mediastinum)의 중앙과 흉곽의 왼쪽에 있으며, 아래쪽에는 횡격막(diaphragm)이 있고, 횡격막 위에 심첨(apex)이 앞쪽을 향하고 있다. 심장의 기저부(base)는 약 3번째 갈비뼈 정도에 위치한다. 심장은 좌우 중격으로 분리되어 각각 심방(atrium)과 심실(ventricle)로 구성된 4개의 방이 있으며, 1분간 72회 정도로 박동하고, 1회 70mL 정도의 혈액을 내보내 1분당 5L 정도, 하루에 약 7,000L 이상의 혈액을 분출한다. 신체 활동을 할 때 말초조직의 산소요구가 증가하면 심박출량이 평소보다 두 배 정도 많아진다. 심장은 심낭(pericardium)에 둘러싸여 있다. 심장을 둘러싼 탄력적인 이중막 주머니인 심낭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심낭질환이다. 심낭은 심장이 제 위치에 있도록 돕고, 심장에 혈액이 과하게 차지 않도록 도우며, 흉부 감염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심장을 보호하는 ...
참고 자료
김남순, 김영숙, 최경옥 외. 2012. 성인간호학 Ⅰ 7판. 수문사
전시자 외(2000). 성인간호학. 서울 : 현문사
근로복지공단 태백병원 전자의무기록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5281&cid=40942&categoryId=32799
약학 정보원 http://www.health.kr/
질병관리본부 http://www.cdc.go.kr/CDC/main.jsp
서울아산병원건강정보(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in/healthInfoMain.do)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황옥남 외 공저, 「성인간호학 상권 제7판」, 현문사, 2019
약학정보원, 「의약품 검색」,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2023.05.10.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검사/시술/정보, 「심장막천자(pericardialcentesis」,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544, 2023.05.10.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질환백과, 「심낭염(pericarditis)」,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68, 2023.05.10.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심낭염(급성 심낭염)」,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2023.05.11.
Cleveland Clinic, 건강 도서관, 치료 및 절차, 「Pericardiocentesis」, https://my.clevelandclinic.org/health/treatments/22613-pericardiocentesis, 2023.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