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 담낭염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방법
2. 문헌고찰
2.1. 정의
2.2. 병태생리
2.3. 원인
2.4. 증상
2.5. 치료
2.6. 간호
3. 간호사정
3.1. 간호력
3.2. 입원상태 및 병력
4. 간호과정적용
4.1. 염증과 관련된 급성 통증
4.2. 침습적 처치로 인한 지식 부족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담낭염은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으로 구분되며, 대부분의 급성 담낭염은 담석이 담도를 막아 발생한다. 담낭이 팽만되면서 통증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비결석 담낭염은 큰 수술, 심한 손상, 화상 등을 겪은 후 발생한다. 일반적인 감염원은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장내세균 등이며 림프관이나 혈류를 통해 침입한다. 담낭염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조직은 괴사와 괴저로 탈락하고 담낭벽에 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천공 부위가 적고 국소적인 경우는 농양이 형성되지만 천공이 크면 복막염까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치료가 요구된다. 이에 담낭염 진단을 받고 입원한 사람을 사정함으로써 담낭염 환자가 겪을 수 있는 간호문제를 발견하고 간호진단을 내려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고 환자에게 도움을 주고자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1.2. 연구방법
OO대학교병원에서 2022년 5월 8일에 입원한 김○○(F, 83)를 대상환자로 하였고 2022년 5월 9일 ~ 5월 12일까지 의료인들의 정보와 차트 그리고 본인과 가족과의 대화를 통해 연구해 보았다.""
2. 문헌고찰
2.1. 정의
급성 담낭염은 담석, 종양 혹은 담낭의 기능 이상 등으로 인해 담낭관이 부분적이거나 완전히 좁아지면서 담낭 내에 기계적, 화학적 또는 세균성 염증이 발생한 질환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경우 담낭 내 담석이 그 원인이 되며, 담석이 없이도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로 화상, 외상, 수술, 장기간의 경정맥 영양, 혈관염 등의 중증 질환과 관련되어 발생한다.
2.2. 병태생리
담낭의 염증으로 인한 부종과 담석이 통과할 때의 경련으로 담관이 폐쇄될 수 있다. 담관의 폐쇄로 염증과 허혈(ischemia)이 유발되면 염증이 생긴 벽은 관강(lumen)으로부터 담즙염(bile salt)을 흡수하여 염증을 더욱 악화시킨다. 혈액, 림프 또는 담도를 통해 담낭에 여러 가지 병원체가 들어가 이차적 감염이 생길 수 있다. 급성 담낭염 시는 담낭이 커지고 단단해진다. 담낭벽은 약해지고 괴사되어 천공을 일으켜 복막염이 되며, 담낭은 조직 주위에 유착된다. 담낭염은 몇 번의 급성 발병 후에 만성으로 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만성 담낭염은 담석이 기계적이거나 화학적인 손상을 유발하여 반흔화되고, 두꺼워지며 담낭벽에 궤양을 초래하여 발생한다. 만성 담낭염에서는 이차적으로 세균성 감염이 생긴다. 담낭은 하얗게 보이고 혼탁한 담즙과 찌꺼기가 포함된다. 치료되지 않은 급성 담낭염의 흔한 합병증으로 패혈증이 나타나며, 또한 담낭의 허혈, 염증, 유착, 괴사, 천공, 담낭 주위의 농양, 누공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2.3. 원인
급성 담낭염의 원인은 대부분 담석이나 담도 침전물에 의한 폐쇄로 인해 발생한다. 급성 담낭염의 원인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담낭 내 담석으로, 약 72~93% 정도이다. 이...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상) 황옥남, 유약숙, 조경숙 외 2명 저 현문사
성인간호학 I 김금순 외 공저(2017) 수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원종순, 김남초, 박수현, 송민선 외 현문사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2006) 김강미자 외 현문사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main.do
네이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50533&cid=51004&categoryId=51004
0000병원 EMR 기록
김옥수 외 공저,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2021
서울아산병원, 급성 담낭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91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약학정보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91
서울대학교병원, 담낭염,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00
윤은자 외(2022), 9판 개정. 「성인간호학」. 수문사
신태선외 1인(1983). 「인류해부학」. 신광출판사
김진복(1995). 「개고신판 최신외과학」. 일조각
2018~2020 NANDA의 간호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