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지역사회 간호학은 지역사회 구성원의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의 특성과 자원을 체계적으로 사정하고 분석하는 학문이다. 본 레포트에서는 부산광역시 영도구와 인천광역시 중구라는 두 지역을 선정하여 지역적 특성, 건강실태, 지역사회 자원 및 환경 등을 체계적으로 사정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영도구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부에 위치한 구로, 섬으로만 구성된 자치구이다. 특히 영도구는 10년간 인구감소율이 전국 6대 광역시 중 두 번째로 높은 상황이며, 출산율 하락과 고령화 등의 문제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영도구의 지역적 특성과 주요 건강 문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지역사회 간호 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인천광역시 중구는 영도구와 유사한 지리적 특성을 가지며, 인구 규모에 있어서도 큰 차이가 없어 비교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두 지역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보다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문제 도출이 가능할 것이다.
본 레포트에서는 인구학적 특성, 건강 상태, 건강 행태, 지역사회 자원 및 환경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영도구와 중구의 주요 건강 문제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간호 계획 수립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영도구의 지역적 특성
2.1. 지리적 특성
영도구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부 영도에 위치해 있는 구로, 대한민국의 자치구 중 유일하게 섬으로만 구성된 곳이다. 면적은 14.20㎢로, 행정 구역은 11개동 219개통 1,184개반이다. 영도구의 원래 이름은 절영도였으나 해방 후 행정구역을 정비하면서 옛 이름 "절영도"를 줄여서 현재의 영도구가 되었다. 구의 중심으로 봉래산(해발 394.7m)이 위치해 있으며 대개 봉래산을 둘러싸면서 주거지역이 위치해 있다. 사면이 해안과 접하고 있어 해양 경관이 수려한 지역이다. 기존 도심권(중앙동, 남포동)과 인접해있고 구의 동쪽으로는 부산광역시 남구가 부산항대교로 연결되었으며, 서쪽으로는 부산광역시 서구가 남항대교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북쪽으로는 부산광역시 중구가 영도대교와 부산대교로 연결되어 있어 접근성이 향상되었으며, 영도구 내 태종로, 절영로는 전체 교통 체계의 주요축이다. 따라서 영도구는 대한민국의 자치구 중 유일하게 섬으로 구성된 지역으로, 해양 경관이 수려하고 접근성이 향상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2.2. 경제적 특성
영도구는 제조업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부문의 고용이 증가하여 부울경 지역 내에서 양호한 고용 현황을 보이고 있다"" 영도구의 제조업 종사자 수는 전체의 22.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전국적인 자동차, 조선업 경기 불황에도 2017년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35명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부산시 전체에서 3,000여명이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처럼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 영도구 고용 현황이 부울경 지역 내에서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또한, 부산항의 관문이자 남·북항대교 건설로 동북아시아 물류중심지로 도약하고 있는 영도구는 해양수산연구기관, 해양대학교, 해양박물관 등 다양한 해양문화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해양 문화와 관광 등 해양 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2.3. 사회적 특성
영도구는 올해 9월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주민의 29.9%를 차지해 부산에서 가장 고령자 비율이 높은 자치구이다. 연령 기준을 60세 이상으로 5세만 낮추면 고령자 인구 비율은 무려 40.6%까지 올라간다. 이처럼 영도구는 가장 심각한 고령화를 겪고 있는 지역이다.
또한 영도구는 자매도시로 다양한 나라의 다양한 지역이 존재한다. 지역&국가 도시로는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 경상남도 거창군, 서울특별시 강남구, 전라남도 장흥군,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즈주 맨리시, 일본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중국 상하이시 황푸구, 베트남 빈즈엉성 벤껫현, 필리핀 마닐라 마리키나시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영도구가 다양한 문화교류와 교류협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영도구와 인천 중구의 건강실태 분석
3.1. 인구학적 특성
3.1.1. 가구 및 인구 현황
부산시 영도구와 인천시 중구의 가구 및 인구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부산시 영도구의 경우, 2017년 가구 수는 51,416가구이었으나 2021년에는 50,857가구로 감소 추세에 있다. 반면 인천시 중구의 가구 수는 2017년 47,262가구에서 2021년 63,984가구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인구 수 측면에서도, 부산시 영도구는 2018년 121,039명에서 2022년 9월 기준 108,699명으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인천시 중구는 2018년 120,362명에서 2022년 9월 150,353명으로 증가하는 모습이다.
부산시 영도구의 인구증가율은 2017년 -2.28%에서 2021년 -2.92%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인천시 중구는 2017년 2.01%에서 2021년 2.7%로 증가하고 있다.
즉, 부산시 영도구는 가구와 인구 모두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는 반면, 인천시 중구는 가구 수와 인구 수가 모두 증가하는 상반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1.2. 연령별 인구 구조
연령별 인구 구조를 살펴보면, 부산시 영도구는 유소년 인구(0~14세)와 생산연령 인구(15~64세)의 비율이 점차 감소하는 반면 고령 인구(65세 이상)의 비율은 2018년 22.5%에서 2022년 29.9%로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