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폐암 수술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전립선비대증
1.1. 정의
1.2. 원인
1.3. 증상
1.4. 검사
1.5. 수술요법
2. 폐암
2.1. 정의
2.2. 현황
2.3. 병태생리
2.4. 진단적 검사 및 병기
2.5. 증상
2.6. 치료
2.7. 간호
3. 위암
3.1. 정의
3.2. 원인
3.3. 증상
3.4. 진단
3.5. 수술요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전립선비대증
1.1. 정의
전립선비대증은 전립선의 크기가 증가하는 질환으로, 나이가 들수록 요도 옆의 이행대 부위가 집중적으로 비대해져 방광 하부로 소변이 나오는 길을 막아 요도를 통한 소변의 흐름이 감소하거나 막힐 수 있는 질환이다. 장기가 소변 배출에 문제가 생기면 방광 벽이 두꺼워지고 수축력이 손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전립선비대증을 '50세 이상의 남성에서 하루 8회 이상 소변을 보는 빈뇨, 야간 빈뇨, 강하고 갑작스런 요의(오줌이 마려운 느낌)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절박뇨 등의 방광 저장 증상과 지연뇨(소변을 볼 때 뜸을 들여야 소변이 나오는 현상), 단절뇨(소변의 흐름이 끊기는 현상), 배뇨 시 힘을 주어야 하는 현상 등 방광의 배출 장애를 나타내는 증상'으로 정의하고 있다.
1.2. 원인
전립선비대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고, 다른 만성 질환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인정되는 발병 원인은 정상 기능의 고환의 노화에 의한 것이다. 전립선은 남성 호르몬 의존 기관이므로 성장과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남성호르몬이 필요하며, 거세로 인해 남성호르몬이 생성되지 않으면 전립선은 위축된다.
1.3. 증상
전립선비대증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첫째, 소변이 자주 마려운 증상(빈뇨)이 있다. 둘째, 뜸을 들여야 소변이 나오는 증상(지연뇨, 요주저)이 있다. 셋째, 아랫배에 힘을 주어야 소변이 가능한 증상(복압배뇨)이 있다. 넷째, 소변줄기가 가는 증상(세뇨, 약뇨)이 있다. 다섯째, 소변이 중간에 끊기는 증상(단축뇨)이 있다. 여섯째, 소변을 봐도 개운치 않고 또 보고 싶은 증상(잔뇨감)이 있다. 일곱째, 소변을 다 보고 난 후 방울방울 떨어지는 증상(배뇨 후 요점적)이 있다. 여덟째, 소변이 마려우면 참지 못하는 증상(요절박)이 있다. 아홉째, 소변을 참지 못해 옷에 누는 증상(절박성 요실금)이 있다. 열째, 자다가 일어나 소변을 보는 증상(야간빈뇨)이 있다.
이처럼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한 하부요로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증상들은 전립선의 비대로 인해 방광 출구 폐색이 유발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1.4. 검사
전립선 비대증의 검사는 다음과 같다"
(1) 전립선 특이항원 검사 PSA(prostatespecificantigen)라고 알려진 혈청검사이며, 정상치는 3~4ng/ml 이하이지만, 전립선 크기, 인종과 연령에 따라 정상 기준치가 달라질 수 있다. 남은 생존 기간이 10년 이상으로 예측되는 환자에게 시행하며, 정상치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에는 전립선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전립선암 여부를 판별해야 한다.
(2) 요류 및 잔뇨량 검사 요류 검사와 잔뇨량 검사는 전립선비대증과 관련된 폐색의 평가와 추적 관찰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비침습적 검사이다. 요류검사는 측정 기계에 소변을 볼 때 소변의 유속과 시간이 계산되어 결과가 그래프로 나오는 검사이며, 최대 요속이 15ml/s 미만인 경우 폐색을 의심할 수 있다. 잔뇨량 측정은 소변을 본 후에 방광에 소변이 얼마만큼 남아 있는지를 확인하는 검사이며, 잔뇨량은 전립선에 의하여 폐색이 되었거나 방광수축력이 저하되었을 때 방광에 남게 되는 소변량을 의미한다.
1.5. 수술요법
수술요법은 전립선비대증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방법이다. 전립선비대증 수술을 받는 주된 적응증은 급성요폐가 재발된 경우, 상부요로계의 확장 소견, 방광 결석 또는 게실, 반복적인 요로감염, 전립선부위의 출혈, 매우 심한 하부요로 자극증상, 일정 기간의 약물요법에 반응을 하지 않은 경우 등이다.
전립선비대증 수술의 대표적인 방법은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이다.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은 요도를 통해 내시경을 넣어서 수술하기 때문에 흉터가 남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90% 이상의 환자가 수술 후 결과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작용으로는 출혈...
참고 자료
박정숙 외, 성인간호학 1, 엘스비어 코리아, 2014.
박정숙 외, 성인간호학 2, 엘스비어 코리아, 2014.
임경춘 외, 건강사정, 엘스비어 코리아, 2014.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3.
성인간호학 Ⅰ,Ⅱ (2021)「윤은자 외」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2017).
박광옥 외, 「수술간호의 실제」, 현문사(2008).
박서현 외, 「기본간호학 실습지침서」, 계축문화사(2017).
소향숙, 「암환자 간호」, 포널스출판사(2017).
윤혜상, 「수술실 환자간호」, 청구문화사(2008).
Patricia A. 외, 「기본간호학Ⅱ」, 엘스비어코리아(2015).
국가암정보센터, www.cancer.go.kr, 2019.03.18.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2019.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