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척수증 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경추척수증 질환에 대한 문헌 고찰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
2.4. 진단적 검사
2.5. 치료 및 간호
2.6. 합병증 및 예후
3. 경추척수증 사례 연구
3.1. 대상자 사정
3.2.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4. 결론 및 고찰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경추척수증은 경추부 척수가 압박을 받아 손과 다리의 근력이 약해지고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초기 증상이 비슷한 목디스크에 비해 대중들에게 많이 알려지지는 않은 질환이다. 그래서 정확한 질환 감별이 되지 않아 목디스크, 뇌졸중으로 오진되어 엉뚱한 방향으로 치료를 받다가 돌이킬 수 없는 상태까지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경추척수증은 생소한 질환이지만 평균 수명의 증가로 노인 인구와 함께 환자 수가 점점 많아지고 있는 질환이다. 따라서 현재 고령화 사회에 따라 발생률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보고, 쉽게 오진되기 쉬운 질병이므로 본 연구의 필요성을 깨달았다. 그래서 경추척수증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아보고자 경추척수증을 앓는 환자를 대상으로 case study를 진행하여 사례연구를 하였다.
2. 경추척수증 질환에 대한 문헌 고찰
2.1. 정의
경추척수증이란 경추부 척수가 압박을 받아 손과 다리의 근력이 약해지고 움직임이 부자연스러워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 경추척수증은 제 5, 6번 경추부에 주로 잘 발생하며, 목디스크, 뇌졸중으로 오진되기 쉽기 때문에 감별진단 하는 것이 중요하다"".
2.2. 원인
경추척수증은 척수를 압박하는 병변이 있을 때 생긴다"" 척수를 압박하는 원인으로는 목뼈의 퇴행성 변화가 심한 경추증에 의한 경추증성 척수증, 목디스크에 의한 척수증, 목뼈에 있는 후종인대가 골화되어 두꺼워지며 척수를 압박하는 후종인대 골화증, 황색인대가 골화되어 두꺼워지며 척수를 압박하는 황색인대 골화증 등이 있다""
경추증성 척수증은 경추의 변성변화에 의한 신경 압박으로 일어나는 경추부 척수의 기능장애를 말한다""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추간판의 변성으로 추간판 간격이 감소되고, 후관절낭 및 인대의 이완으로 불안정성이 생기고, 이에 대한 조직 반응으로 추간판 변연부의 골극형성과 황색인대 비후 등이 경추부 척수를 압박하여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추간판탈출증은 추간판을 구성하고 있는 연골판, 수핵, 섬유륜에서 수핵이 섬유륜을 뚫고 탈출하여 신경근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 척추원반에서 단백질이 누출되면 신체는 그것을 이물질로 인식하여 통증과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증상이 나타나게 한다""
후종인대 골화증은 척추체의 뒤쪽에서 지지하는 후종인대가 뼈처럼 단단하게 굳어지며 두꺼워지는 변화를 일으켜 척추관을 지나는 신경을 압박함으로써 척추신경근증 혹은 척수증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황색인대 골화증은 척추를 세우고, 탄력이 있어 척추를 굽혔다가 다시 펴질 때 돕는 기능을 하는 황색인대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탄력성이 감소하고 두꺼워지며 딱딱하게 뼈처럼 변화되어 척수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후종인대 골화증과 달리 흉추 아래, 요추 위에 많이 발생한다""
2.3. 증상
경추척수증의 가장 흔한 초기 증상은 손의 근력 약화, 부자연스러운 손놀림과 감각 이상, 하지의 근력 약화로 인한 보행 장애이며 수개월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손의 세밀한 운동에 장애가 생겨서 종종 젓가락질하기가 힘들고 잘 떨어뜨리며, 와이셔츠 단추 채우기가 힘들다고 호소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하지의 근력 약화와 강직성으로 보행 장애가 심하고 대소변 장애가 동반될 때는 더욱 심한 만성 척수증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경추척수증은 목디스크, 뇌졸중과 증상이 비슷하기 때문에 감별진단이 중요한데, 경추척수증의 경우 양쪽 팔다리가 저리거나 마비되고 서서히 발생하며 손의 섬세한 운동이 어려운 증상을 보이는 반면, 목디스크는 한쪽 손·팔이 저리거나 마비되고 통증이 동반되며 급작스럽게 발...
참고 자료
박순옥 외(2019), 성인간호학 Ⅰ, Ⅱ, 퍼시픽북스
NANDA(2021~2023) 간호진단 목록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2020년, 240-300p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2020년
서울대학교 병원, “경추척수증”,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48
드러그 인포 https://www.druginfo.co.kr/detail/product.aspx?pid=21600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index.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