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아교육 직무스트레스 심리적소진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만 5세 유아의 학습행동이 놀이 유능성을 매개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1.1.2. 연구의 목적
1.1.3. 연구문제
1.1.4. 연구의 제한점
1.2. 이론적 배경
1.2.1. 유아학습행동
1.2.2. 놀이중심교육과정
1.2.3. 자기주도학습
1.3. 연구방법
1.3.1. 연구대상
1.3.2. 연구도구
1.3.3. 연구절차
1.3.4. 자료분석
1.4. 기대효과
1.5. 참고문헌
2. 영·유아 보육 및 교육기관 원장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1. 서론
2.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1.2. 연구문제
2.2. 이론적 배경
2.2.1. 직무스트레스
2.2.2. 심리적 소진
2.2.3. 대인관계능력
2.3. 연구방법
2.3.1. 연구대상
2.3.2. 연구도구
2.3.3. 자료분석
2.4. 예상결론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만 5세 유아의 학습행동이 놀이 유능성을 매개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1.1. 서론
1.1.1. 연구의 필요성
현재 개정된 공통의 유아교육과정은 유아주도 놀이중심으로의 변화와 실천을 통한 전인 교육을 목표로 한다. 즉, 놀이를 통한 배움을 실천함으로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문제해결 능력, 더 나아가 상위교육과정과 연계에 필요한 내재된 능력과 창의적 사고력, 공동체 생활에 필요한 사회적 기술과 협응 능력 등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유아기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요인들 중 유아의 놀이성과 또래 유능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개정 유아교육과정 운영이 유아들의 놀이성의 발현과 그에 따른 다양한 사례 중심의 현장연구를 통해 교육과정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고, 2015개정교육과정 또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을 기조로 지기주도학습 역량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유아교육의 놀이 중심의 배움의 방향성은 초 중등 교육기관과의 목표와 그 지향점을 같이 하고 있으므로 교육과정의 연계성 및 효과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1.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주도 학습행동에 관한 연구는 하위영역과 개별적인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계속되고 있으며 선행연구들을 종합하면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은 학업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적 유능감은 또래놀이행동의 영향을 받는 동시에 학업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적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자기주도 학습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는 물론이고 학습태도나 학습동기 부여 그리고 적극적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능력에도 효과가 있음을 밝히고 있기에, 유아의 학습행동의 하위영역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의 매개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1.1.3. 연구문제
본 연구에서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만5세 유아의 놀이유능성이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학습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유아의 놀이 유능성은 신체적자발성, 사회적자발성, 인지적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 등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놀이성은 유아의 학습동기, 주의/지속, 학습태도 등의 학습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2.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학습행동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매개하는가?
유아의 놀이 유능성은 학습행동을 향상시키고 이는 다시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된다. 유아의 놀이유능성이 직접적으로 학습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도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1.1.4.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와 행동양식을 규명하고 이를 자기주도 학습에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요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 유아의 놀이가 학습에 발현되는 접점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발현되는 시점과 공간의 연결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놀이실행 사례 중심을 분석함으로 유아의 학습행동의 변인인 놀이행동의 실행기간과 참여 유아집단의 다양한 사례제공의 제한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 유아의 기관 및 가정적 환경 및 개인적 특성으로 유아의 학습능력을 사유하는데 한계가 있고, 일반적인 개념화에 거리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유아가 학습자로서 상위교육기관과의 연계에서 드러나는 학습적 능력을 규명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시간적 물리적 한계가 있다.
1.2. 이론적 배경
1.2.1. 유아학습행동
유아학습행동은 학습에 대한 태도, 창의적/협동적 과제 수행능력, 토의 및 토론 학습 등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학습관련 기술을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유아의 학습행동과 관련된 연구는 그 수도 많지 않고, 학습행동을 단순히 기술이나 능력이 아닌 호기심, 창의성, 독립심, 협동능력, 문제해결능력, 학습에의 태도 등과 관련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유아의 학습행동을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문제행동,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관련지어 살펴본 연구, 보육시설에 다니는 저소득층 유아의 학습행동과 또래 놀이행동과의 상관성을 살펴본 연구, 유아의 학습행동과 문제행동 간의 상관성을 살펴본 연구가 있으나 이들 연구 역시 학습행동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이나 상호관계를 제시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유아의 학습행동은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변인으로 간주되어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실제로 교육과정운영과 관련하여 유아들이 놀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유아들의 놀이 유능성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그들의 잠재능력과 소질 그리고 개인차 등에 따른 적절한 지원과 환경구성방안이 강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유아가 놀이에 대한 유능감을 함양하여 발달과업의 성취수준에 도달한다면 상위 교육기관과의 연계는 당연하며 그 지속성의 강화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1.2.2. 놀이중심교육과정
유아교육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은 아직 그 실행체계가 정확하게 정의되지 않고 있으며, 그에 따른 많은 연구의 담론은 영역이 모호하며 정확한 정의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교육에서 순환하는 주체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는 만큼 유아교사의 지원과 유아가 주도함으로서 놀이를 통한 배움이 발현되는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계속 될 수밖에 없다.
Pinar, Dewey, 후기 구성주의자들의 교육과정 담론들 속에서 경험중심의 배움이 일어나는 과정과 의미를 살펴볼 수 있다. Pinar는 전통적인 교육과정이 지나치게 개발과 설계, 계열화, 교수, 목표 중심의 공 식적이고 가시적인 것에만 집중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유아들의 삶과 경험에는 소홀했음을 지적하며, 교육의 비인간화를 초래했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Pinar는 유아의 경험이 가지는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강조하며, '쿠레레(Currere)'의 개념을 설명한다. 쿠레레는 교육과정을 '경주로(race the course)'가 아니라 '경주를 달리는 행위(running of the race)'로 해석한다. 즉, 정해진 교육...
참고 자료
곽아정 (2006).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척도의 타당화 및 학습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곽아정, 이기숙 (2007).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 척도의 타당화 및 학습능력과의관계. 유아교육연구, 27(3), 61-92.
곽효경 (2009). 유아의 기본학습능력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교육연구논총, 28(2), 1-26.
김경숙 (2015). 유아의 학습행동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문제행동간 관련성 연구. 생애학회지, 5(2), 41-56.
김경철, 김은옥, 이고은 (2016).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을 위한 만 5세 학부모의 인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12), 117-132.
김남희 (2008). 유아의 사회적, 인지적, 창의적 능력과 유아의 기초학습능력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185-203.
김덕임, 김영실 (2011). 유아의 학습관련 기본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구조분석. 유아교육연구, 31(3), 203-226.
김민아, 이재신 (2004). 어머니 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연구. 유아교육연구, 24(5), 145-166.
김민정, 엄정애 (2005). 유아의 혼자놀이와 기질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6(5),
김은영, 최효미, 최지은, 장미경 (2016). 영유아 사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II -2세와 5세를중심으로(연구보고 2016-13). 육아정책연구소.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커뮤니케이션스북스.
남궁연경 (2006).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경자 (2009). 유아의 학습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변인과 어머니 변인.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경화 (2016). 3-5세 누리과정의 한계와 유아교육자의 과제. 생태유아교육연구, 15(4),1-23.
정성아 (2006). 쿠레레(Currere) 방법에서의 교육의 원리. 교육사상연구, 20, 171-197.
정정희 (2014). 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의사소통 능력이 교사의 직무만족 및 조 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언희 (2006).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법에 관한 실태조 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진례 (2013). 어린이집원장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나미경 (2012).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인관계능력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유진 (2010). 놀이치료자의 자아탄력성 및 대인관계 성향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 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진화 (200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석류 (2014).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영호 (2006). 한국적 부모-자녀관계가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부자유친성정, 애착, 우리의식, 자아분화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