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장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신장암
1.1. 정의 및 특징
1.2. 원인 및 위험요인
1.2.1. 환경적 요인
1.2.2. 기존 질병
1.2.3. 유전적 요인
1.3. 병태생리
1.4. 증상 및 징후
1.5. 진단
1.5.1. 임상검사
1.5.2. 영상진단
1.6. 치료
1.6.1. 수술적 치료
1.6.2. 비수술적 치료
1.7. 간호중재
1.7.1. 수술 후 관리
1.7.2. 영양관리
1.7.3. 호흡관리
1.7.4. 통증관리
1.8. 예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신장암
1.1. 정의 및 특징
신장암은 신장에서 소변을 만드는 세포들이 모여 있는 부분인 실질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이다. 신장암은 대부분 신장의 실질에서 발생하는 신장세포 암을 의미하며, 전체 비뇨기암 중 22.8%를 차지하는 흔한 암이다.
신장암은 60~70대의 노년층에서 주로 발생하고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성에서 발생하는 암 중 2.0%로 10위, 여성에서는 1.2%로 15위를 차지하고 있다. 신장에 발생하는 종양은 신실질에서 발생하는 종양과 신우 또는 신배에서 발생하는 종양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신종양이라 함은 신실질의 종양을 의미하며, 그중 대부분은 악성종양인 신세포암을 말한다.
신실질의 종양은 원발성과 전이성으로 구분되며, 대부분(85%)은 악성인 원발성 신세포암이다. 그 밖에 신장암의 5~10%는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모여 요관으로 연결되는 신우암이 차지하고 있다. 소아에게는 윌름종양이라고 하는 신모세포종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소아암의 3~6% 정도를 차지하며 주로 3세경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1.2. 원인 및 위험요인
1.2.1. 환경적 요인
환경적 요인은 신장암 발생의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 중 하나이다. 다양한 역학 연구에 따르면 흡연, 고혈압과 그 치료제, 비만, 특정 직업적 노출 등이 신장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대표적인 환경적 요인은 흡연이다. 여러 연구에서 흡연은 신세포암 발생의 가장 유력한 원인 인자로 확인되었는데,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 2배 이상의 위험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남성에게서 장기간에 걸친 과도한 흡연이 신세포암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흡연량과 기간에 비례하여 위험도가 높아진다.
고혈압과 그 치료제도 신세포암 발생의 위험인자로 지목되고 있다. 여러 연구에서 고혈압이 신세포암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고혈압 환자의 경우 정상혈압 대조군에 비해 1.4-3.2배 높은 위험도를 보인다. 고혈압 치료제, 특히 이뇨제 계통의 약물이 신세포암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도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고혈압 자체가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제시하고 있다.
또한 비만도 신세포암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과도한 비만은 신세포암 발생 위험을 높이며, 특히 여성에게서 그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에 의한 신세포암 발생의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비만이 체내 여성호르몬 수치 상승, 고혈압, 죽상경화증, 대사 이상 등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신세포암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직업적 노출도 신장암 발생의 잠재적 위험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에서 철강 산업, 석유화학 산업, 섬유 산업, 소방관 등 특정 직업군에서 신장암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그 연관성이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다.
이처럼 신장암 발생에는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요인들을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신장암 예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1.2.2. 기존 질병
기존 질병과 관련된 신장암의 발생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장기간의 혈액 투석 환자, 특히 후천성 신낭종 질환이 있는 환자는 암 발생위험이 30배 이상으로 높아지며, 위험도는 투석기간에 비례한다" 신세포암은 전체 후천성 신낭종 환자의 4~9%에서 발견되며 신 이식환자의 사망원인 중 2% 정도를 차지한다"
그 외에 신석, 신종양, 신감염, 다낭종신과 같은 신 기형, 당뇨, 생식호르몬의 이상 및 다산의 경우 신세포암의 발생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3. 유전적 요인
신장암의 유전적 요인은 매우 중요한 발병 원인 중 하나이다. 특히 신장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그 위험도가 4~5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유전적 요인으로는 von Hippel-Lindau 증후군이 있다.
von Hippel-Lindau 증후군은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으로, 이 질환과 관련된 특이 유전자(VHL 유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질환에서는 다발성 장기에 걸친 혈관종, 신장암, 부신암, 뇌종양 등이 발생할 수 있다. von Hippel-Lindau 증후군에 걸린 환자들은 일반 인구에 비해 신세포암 발생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유전적 요인 외에도 환경적 요인과 기존 질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신장암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흡연, 고혈압, 비만, 만성 신부전 등이 신장암 발생의 주요 위험인자로 지목되고 있다.
종합하면, 신장암은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기존 질병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
참고 자료
(사진)국립암센터 홈페이지
차병원 건강칼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08853&cid=51003&categoryId=51024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04956&cid=51003&categoryId=51022#TABLE_OF_CONTENT7
진단적 검사와 간호,수문사, 김정애 외 4명
성인간호학II,, 현문사,, 이향련 현경선 외
성인 내, 외과 간호학II(소화기, 비뇨기, 남성생식기, 유방, 피부), 형설출판사 ,최정신 외 공저
알기쉬운 성인간호학, 미학사, 한혜자
간호사를 위한 영상진단, 의학서원, 정진욱 감수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2, 한언, 이노우에 도모코, 사토 치후미 편집, 엄옥주 감수, 이민자 옮김
[네이버 지식백과] 신장암 [renal cell carcinom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네이버 지식백과] 신장암 [kidney cancer, 腎臟癌]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신장암이란?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세브란스병원)
필요한 검진; 초음파, CT, 신단층조영법(nephrotomography), 방사성 동위원소검사, 동맥조영술, 신생검
삼성서울병원
http://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d07b5&CONT_SRC=CMS&CONT_ID=6787&CONT_CLS_CD=001020001006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628
https://blog.daum.net/hanahaniwon/889
국가암정보센터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708/cancer/view.do?cancer_seq=4373&menu_seq=4389
김금순 외(2016), 성인간호학Ⅱ(수문사)p.1477-1478
국립암정보센터, 의학정보
성미혜외 4명(2015).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p. 226 ~ 241
대한임상병리학회(2001). 진단검사의학 (완전개정 3판). 고려의학 .p. 114 ~ 150
킴스 온라인 (http://www.kimsdonline.co.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www.snuh.org/)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http://health.cdc.go.kr/health/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