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반파 및 전파 정류회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반파 및 전파 정류회로
1.1. 반파 정류회로
1.2. 전파 정류회로
1.3. 평활회로
1.4. 리플전압
1.5. 시뮬레이션
1.5.1. 반파 정류 회로
1.5.2. 전파 정류 회로
1.5.3. 평활 회로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반파 및 전파 정류회로
1.1. 반파 정류회로
반파 정류회로는 교류전압의 파형 중 음의 값을 갖는 부분을 제거해주는 회로이다. 다이오드에 순방향 전압이 가해지면 전류가 흐르고 역방향 전압이 가해지면 다이오드가 차단해 전류가 흐르지 못한다. 즉, 교류의 반쪽(1/2)만 통과시키기 때문에 반파 정류회로라고 부른다. 그 결과 출력 파형은 교류의 양의 반주기만 남게 된다.
반파 정류회로는 정류회로 중 가장 간단한 회로이지만, 전파 정류회로에 비해 효율이 반으로 떨어진다. 정류기 중에서 입력신호의 반주기만 전류가 흐르게 하고, 나머지 반주기 동안은 전류를 차단한다. 따라서 전력 효율이 낮고 리플 전압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실험 결과 보고서에서는 반파 정류회로를 구성하고 DC결합과 AC결합으로 나누어 출력 파형을 측정하였다. DC결합의 경우 최대 4.18V, 최소 -3.78V를 보였고 AC결합의 경우 최대 3.86V, 최소 -4.10V를 보였다. 또한 다이오드를 역방향으로 연결하였을 때 최대 4.26V, 최소 -3.70V의 출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반파 정류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C결합의 경우 직류 성분이 포함되어 최대최소가 더 크게 나타나며, 다이오드를 역방향으로 연결하면 출력 파형이 반대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 전파 정류회로
전파 정류회로는 교류의 양쪽 전압을 모두 한쪽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회로이다. 전파 정류회로는 반파 정류회로에 비해 효율이 높다. 단, 단점으로 2차 변압기의 권선 길이가 반파 정류회로의 2배이고 다이오드의 역전압이 교류 전압 최댓값의 2배가 될 수도 있다.
전파 정류 실험에서는 먼저 전파 브리지 정류기 회로를 구성하고 함수발생기의 신호를 변압기 1차에 공급하였다. 입력 신호의 최대값은 Vs=2cos(2000t)V로 구성하였다. 다이오드 D1과 D2가 만나는 곳을 CH1이나 CH2로 하고 D3와 D4가 만나는 곳을 접지로 연결하였다. 이를 통해 변압기를...
참고 자료
http://3388jung.blog.me/141087882
http://blog.naver.com/ponneuf?Redirect=Log&logNo=120069968425
http://blog.naver.com/kgsshow1994?Redirect=Log&logNo=140172898461
http://terms.naver.com/entry.nhn?cid=367&docId=597013&mobile&categoryId=367
http://www.scienceall.com/dictionary/dictionary.sca?todo=scienceTermsView&classid=&articleid=256817&bbsid=619&pop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