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중환자 간호사례 연구
1.1. 대상자 소개
대상자는 72세 남성으로, 2015년 12월 4일 multiple myeloma 진단을 받고 2015년 12월 12일부터 2017년 1월 14일까지 항암치료(VMP)를 받아왔다"" 고혈압, 전립선비대증, 백내장 등의 과거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2017년 2월 24일 외래 검사 결과 creatinine 수치가 증가하여 혈액 투석 및 지지 간호를 위해 2월 27일 입원하게 되었다""
1.2. 진단 및 과거력
대상자의 진단 및 과거력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2015년 12월 4일에 multiple myeloma(다발성 골수종)를 진단받았다"" 2010년부터 고혈압을 앓고 있었으나 치료받지 않고 있었다"" 또한 2016년 4월에 전립선 비대증 수술을, 2016년 8월에 백내장 수술을 받은 과거력이 있다"" 대상자의 가족력으로는 아버지가 대장암을 앓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3. 현병력
2015년 12월 4일 multiple myeloma 진단을 받고 2015년 12월 12일부터 2017년도 1월 14일까지 항암치료(VMP)를 받고 있다가 2017년 2월 24일 외래를 통해 시행한 lab 검사 결과 creatinine 수치가 6점대로 HD 및 지지 간호를 위해 입원하게 되었다.""병원 도착시 mental은 alert 하였으나 3월 9일부터 섬망증상이 나타나고 3월 12일에 stupor이 되었다. 입원 후 5번의 HD를 시행하였고, 3월 9일 HD 중 혈압이 저하(78/48)되고 설사가 있어 투석을 중단하였고, 그 후 V/S이 불안정하여 CRRT를 하기 위해 중환자실로 입실하게 되었다.""
1.4. 치료 및 약물
대상자의 치료 및 약물 사용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multiple myeloma 진단을 받고 2015년 12월 12일부터 2017년도 1월 14일까지 항암치료(VMP)를 받고 있었다. 그 후 2017년 2월 24일 외래를 통해 시행한 검사 결과 creatinine 수치가 6점대로 상승하여 투석 및 지지 간호를 위해 입원하게 되었다.""
입원 후 5번의 혈액투석을 시행하였고, 3월 9일 투석 중 혈압 저하와 설사가 발생하여 투석을 중단하였다. 이후 활력징후가 불안정해져 지속신대체요법(CRRT)을 위해 중환자실로 전실하였다.""
주요 약물 처방은 다음과 같다:""
① Pantoloc vial 40mg(pantoprazole sodium sesquihydrate): 위산억제제""
② Maxipime vial 1G(cefepime HCI): 광범위 항생제""
③ Normal Saline inj 0.9% 100mL(sodium chloride): 생리식염수""
④ vancomycin HCL vial 1g(vancomycin HCL): 항생제""
⑤ smof kabiven peripheral inj 1206mL: 정맥영양제""
⑥ Futhan vial 50mg(Nafamostat mesilate): 혈액응고억제제""
⑦ Heparin Na vial 1000IU/10ML(heparin sodium): 항응고제""
⑧ Denogan vial 1g(propacetamol HCl): 해열진통제""
⑨ smof lipid inj 20% 500mL: 지방유emulsion""
⑩ potassium chloride amp 3g/20mL: 전해질 보충제""
⑪ Hemosol B0 soln 5L(calc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sodium bicarbonate, sodium chloride, sodium lactate): 혈액투석용액""
⑫ albumin inj 20% 100mL(Human serum albumin): 알부민 제제""
⑬ sodium bicarbonate amp 8.4% 20mL: 중탄산 나트륨""
⑭ lasix amp 20mg/2ml(furosemide): 이뇨제""
⑮ calcium gluconate amp 2g/20mL: 칼슘 보충제""
? norpin 40mg/20ml(Norepinephrine bitartrate): 승압제""
? vaseline oint 1% 450g: 연고""
이와 같은 약물들이 대상자의 신장 및 대사 기능 저하, 전해질 불균형, 감염, 출혈 등의 합병증 관리를 위해 처방되었다.""
1.5. 간호진단과 중재
1.5.1. 침습적 처치에 의한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침습적 처치에 의한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은 중환자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합병증 중 하나이다. 이는 중심정맥관, 도뇨관, 기관절개관 등 의료기구 삽입으로 인한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감염에 의한 염증반응으로 체온이 상승하게 되며, 이는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우선, 대상자의 활력징후와 혈액검사 결과를 면밀히 관찰하여 감염 여부와 그 정도를 파악해야 한다. 체온 상승, 백혈구 증가, C-reactive protein(CRP) 증가 등은 감염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이다. 또한 삽입된 의료기구의 삽입 부위를 주기적으로 사정하여 발적, 부종, 삼출물 등의 징후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를 시행한다. 우선 철저한 무균술 준수가 필요하다. 의료기구 삽입 시 철저한 손위생과 멸균 장갑, 가운, 마스크 착용 등 무균술을 지켜야 한다. 또한 삽입부위는 주기적으로 소독하고 드레싱을 해야 한다.
다음으로 해열제 투여와 체온 관리가 중요하다. 해열제 투여로 체온을 정상 범위로 낮추고, 추가적인 열 발생을 막기 위해 체위 변경, 냉찜질 등의 간호중재를 시행한다. 또한 항생제 투여로 감염을 치료하고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감염 및 고체온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해야 한다. 감염이 지속되면 신기능 저하, 전해질 불균형, 패혈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종합적으로 침습적 처치에 의한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감염 예방, 체온 관리, 항생제 치료, 합병증 예방 등 다각도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5.2. 기도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기도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은 대상자의 호흡기계 기능 저하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으로, 이는 신속한 간호중재가 필요한 중요한 간호진단이다"".
대상자에게서 발견된 주요 증상으로는 그르렁거리는 소리, 빠른 호흡수, 보조근 사용, 객담량 증가, 객담의 변화(색, 점도 증가) 등이 있었다"". 이러한 증상은 대상자의 기도가 분비물로 폐쇄되어 호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간호목표는 대상자가 보조근을 사용하지 않고 호흡할 수 있도록 하며, 산소포화도가 정상 범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 측정, 객담 양상 관찰, 흉부 X선 검사 결과 확인, 호흡음 청진, 의식 수준 사정 등의 진단적 중재와 함께 체위 변경, 흉부 물리요법, 흡인, 산소 공급, 기침 및 심호흡 교육 등의 치료적 중재가 포함된다"".
특히 대상자의 의식 수준이 저하되어 기침 및 호흡운동이 어려운 경우, 효과적인 기도 관리를 위해 흡인과 같은 간호중재가 필수적이다"". 또한 상체를 높이는 체위 변경을 통해 호흡 근육의 활동을 돕고, 산소 공급으로 저산소증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간호중재를 통해 대상자의 호흡 양상이 정상화되고 산소포화도가 목표 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간호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대상자의 호흡기능 개선과 전반적인 건강 상태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1.5.3. 신장의 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액불균형의 위험성
신장의 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액불균형의 위험성은 만성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CKD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체액불균형은 신장 기능의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병리생리학적 변화에 기인한다.
신장 기능의 저하는 노폐물 축적, 전해질 불균형, 체액 저류 등을 유발한다. 먼저, 크레아티닌과 요소질소(BUN)와 같은 노폐물이 신장에서 충분히 배설되지 못하여 혈중 농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는 신장 기능의 감소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이다.
또한 신장의 전해질 조절 기능이 저하되어 고칼륨혈증, 저칼슘혈증, 고인산혈증 등의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한다. 특히 고칼륨혈증은 심각한 부정맥의 위험을 동반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체액 저류 역시 신장 기능 저하의 대표적인 결과이다. 신장이 체액을 적절히 배설하지 못하여 체내에 체액이 저류되면 말초부종과 폐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호흡곤란, 고혈압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신장 기능의 저하는 다양한 대사 및 전해질 불균형, 체액 저류 등을 초래하여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CKD 환자의 경우 이러한 체액불균형의 위험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1.6. 간호중재 및 평가
침습적 처치에 의한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에 대한 간호중재 및 평가이다. 매 2시간마다 V/S을 측정하여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사정하였다. 체온의 정상범위는 36.5~37.0°C이며, 방법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CBC와 CRP 검사 결과를 확인하여 급성감염이나 염증 여부를 파악하였다. 또한 매 duty마다 피부와 입술의 열감을 사정하였다.
발열 시 ice pack을 적용하고 처방에 따라 해열제인 denogan 1g을 IV 투여하여 체온을 하강시켰다. 또한 미온수로 대상자의 몸을 닦아 열 소실을 돕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안정을 취하도록 하였다. 항생제인 vancomycin HCL과 Maxipime을 투여하여 감염을 치료하고자 하였다. CRRT 적용 중에는 warmer기의 온도를 낮추어 체온이 하락하도록 관리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는 4시간 이내에 체온이 정상으로 돌아왔고, 피부의 열감도 느껴지지 않아 목표를 달성하였다. 이를 통해 발열에 대한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감염 관리에 성공하였음을 알 수 있다.
기도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에 대한 간호중재 및 평가이다. 매 2시간마다 V/S과 SpO₂를 측정하여 대상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하였다. 객담의 색, 양, 점도 등을 2시간마다 관찰하였고, Chest X-ray 결과를 확인하여 호흡기계 변화를 파악하였다. 또한 매 2시간마다 호흡음을 청진하고, 의식 상태를 매 duty마다 사정하였다.
2시간마다 position change를 시행하고 흉부물리요법과 suction을 실시하여 객담 배출을 용이하게 하였다. 상체를 30~45° 상승시켰고, 처방된 산소를 reservoir bag mask로 공급하여 저산소증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대상자에게 기침과 심호흡을 교육하여 효과적인 배출을 돕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는 3시간 후 SPO2가 100%로 안정화되었고, 호흡양상도 정상으로 돌아와 목표를 달성하였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