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애개념 국제분류 변화과정 및 한국 장애유형 특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장애의 개념과 국제 분류 체계
1.1. 국제장애분류(ICIDH)의 장애 개념
1.1.1. 손상(impairment)
1.1.2. 장애(disability)
1.1.3. 핸디캡(handicap)
1.2. 기능, 장애, 건강에 대한 새로운 개념(ICF)
1.2.1. 신체기능과 구조
1.2.2. 활동과 참여
1.2.3. 환경요인과 개인요인
1.3. 장애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
1.3.1. 의학적 모델에서 사회적 모델로의 변화
1.3.2. 통합모델로서의 ICF
2. 우리나라의 장애 범주 변화
2.1. 1981년 '심신장애자복지법' 제정
2.2. 장애범주의 단계적 확대
2.2.1. 1단계 확대(2000년)
2.2.2. 2단계 확대(2003년)
2.3. 장애범주 확대에 대한 전문가 의견
3. 장애범주 확대 방안 모색
3.1. 심각한 정신질환의 장애범주 포함 필요성
3.2. 정신질환의 특성을 고려한 장애 판정 기준 마련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장애의 개념과 국제 분류 체계
1.1. 국제장애분류(ICIDH)의 장애 개념
1.1.1. 손상(impairment)
손상(impairment)은 질병, 상해, 선천적 기형 등으로 인해 만성적 또는 영구적으로 나타나는 심리적, 생리적 또는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의 손실을 의미한다. 손상은 장기(organ) 수준에서 평가되며, 신체구조학적·해부학적 기능 및 심리적 구조나 기능 일부가 상실한 상태를 말한다. 미국의학협회에 따르면 손상은 증후·증상, 검사 시 소견 또는 심리적 검사에 입각해 평가된 해부학적이나 기능적 이상 및 의미 있는 행동상의 변화로 정의된다. 손상의 개념에서 볼 때 장애인은 시각·청각·언어·지체의 장애, 정신지체, 정서장애 등 외부로 현저하게 나타나는 특성을 가진 사람을 의미하며, WHO에서 손상에 포함되는 장애분류 내용에는 지적 손상 및 정신적인 손상, 언어손상, 귀 손상, 시각 손상, 내장 손상, 골격 손상, 기형 손상 등이 포함된다.
1.1.2. 장애(disability)
장애(disability)는 장기간 지속이 되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기능장애로 손상의 결과로 인해 정상적인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의 제한이나 결여를 가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손상(impairment)의 결과로 발생한 일상생활동작 장애, 운동 장애, 가사활동 장애 등 개인(person) 전체의 기능 수준의 장애를 말한다""
장애(disability)는 정신적·신체적 손상의 직접적·간접적인 영향으로 발생한 의식장애가 신체장애와 합해진 것으로, 기능장애나 능력장애로 인해 사회적 역할 수행이 제한되거나 불가능해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장애(disability)는 손상(impairment)의 결과로 나타나는 개인적인 차원의 활동 제약 및 사회적 참여 제한을 포괄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1.1.3. 핸디캡(handicap)
핸디캡(handicap)은 기능장애나 능력장애로 인해 사회적 역할 수행이 제한되거나 불가능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즉, 핸디캡은 장애인과 그 장애인을 둘러싼 주변 환경과의 관계에서 발생되는 문제로서, 장애인이 이용할 수 없는 여러 사회제도에 대한 문화적·물리적·사회적 장벽을 의미한다. 따라서 핸디캡은 장애인이 다른 사람과 평등하게 사회생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거나 제약하는 것을 말한다. ICIDH에서 핸디캡에 포함되는 장애군에는 오리엔테이션 불리, 신체적 자립성 불리, 이동성 불리, 직업적 불리, 사회통합 불리, 경제적 자족 불리 등이 있다.
1.2. 기능, 장애, 건강에 대한 새로운 개념(ICF)
1.2.1. 신체기능과 구조
ICF에서 신체기능과 구조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신체기능이란 신체의 생리적·심리적 기능을 말하며, 신체구조란 장기, 사지 및 구성요소와 신체의 해부학적인 측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신체기능과 구조에 이상이 생기면 이를 손상(장해)이라고 한다.
ICF에서는 신체기능과 구조를 두 가지 분류로 구성하고 있다. 첫째, 신체계통의 기능으로 감각기능 및 통증, 신경계통의 기능, 음성 및 언어의 기능 등이 포함된다. 둘째, 신체 구조로는 신경계통, 눈·귀 및 관련 구조, 발성 및 말하기...
참고 자료
황수경 2004 노동정책연구 제 4권 제 2호 ‘WHO의 새로운 국제장애분류에 대한 이해와 기능적 장애 개념의 필요성
최희정 기자 2004.01 함께걸음 ‘특집 – 장애범주 확대, 그 본질을 찾아서
http://m.cowalk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98
이선우, 이수경 저, 장애인복지론, 공동체, 2021
임종호 저, 장애인복지론, 학지사, 2020
최윤영, 이경준 저, 최신 장애인복지론, 학지사, 2020
황수경 저, WHO의 새로운 국제장애분류(ICF)에 대한 이해와 기능적 장애 개념의 필요성, 한국노동연구원, 2004
신은경 저, 국제 기능장애 건강분류(ICF)의 국내 활용방안, 장애인고용, 2004
이준우, 최희철 저, 장애인복지론, 양서원, 2019
윤상용, 이승기, 서동명 외 1명 저, 장애인복지론, 신정, 2019
김진우 저, 장애인복지론, 공동체,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