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코로나19의 영향이 장기화되면서 우리사회의 가장 큰 정신건강문제는 무엇이고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와 치료적 개입방법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코로나19 팬데믹의 발생과 확산
1.2. 코로나19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2. 코로나19로 인한 정신건강 문제
2.1.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 증가
2.2. 우울증과 불안장애 증가
2.3. 스트레스 증가와 대처 능력 저하
2.4. 정신건강 서비스 접근성 저하
2.5. 가족 및 대인관계 변화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3.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치료적 개입 방안
3.1. 정신건강 서비스 접근성 향상
3.2. 사회적 지원 체계 강화
3.3. 온라인 치료 및 상담 프로그램 제공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코로나19 팬데믹의 발생과 확산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약칭 코로나19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비말 감염 경로를 통해 전 세계로 급격히 확산되었다. 이 바이러스의 빠른 전파로 인해 2020년 3월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를 팬데믹, 즉 전 세계적인 감염병 유행으로 선언하였다.
2022년 5월까지 코로나19 팬데믹은 전 세계적으로 약 5억 천만 명 이상의 확진자와 약 6백만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켜 인류에게 엄청난 피해를 주었다. 이 바이러스의 확산은 단순히 생명의 손실에만 그치지 않고 사회, 경제, 정치, 교육, 문화 등 여러 영역에 심각한 영향을 끼쳤다.
한국에서도 2020년 1월 20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대구를 중심으로 한 1차 대유행과 8월의 2차 대유행 등을 겪으며 코로나19의 전국적 확산이 이루어졌다. 이에 대응하여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와 영업장 운영 제한 등의 강화된 방역 지침을 도입하였고, 2021년 2월부터는 체계적인 백신 접종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바이러스의 확산과 중증화율을 낮추고자 노력하였다.
1.2. 코로나19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하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격리 조치로 많은 이들이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외로움을 겪고 있다. 이는 우울증과 불안장애의 위험을 높이는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코로나19 기간 동안 우울 경험률과 우울 증상이 증가했다. 2019년 5.5%였던 우울 경험률이 2021년 6.7%로 상승했고, 우울 증상 역시 2.7%에서 3.1%로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가 국민의 정신건강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통계적 증거이다.
또한 코로나19 관련 경제적 상황에 대한 염려도 우울증과 불안장애 발병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했다. 실업, 소득 감소, 고용 불안정 등의 경제적 어려움은 정신건강 문제를 야기했다.
더불어 코로나19로 인한 의료 서비스 접근성 저하도 정신건강 악화의 원인이 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대면 상담과 치료가 어려워지고, 의료 자원이 코로나19 대응에 집중되면서 정신건강 관리가 어려워졌다.
이처럼 코로나19 팬데믹은 사회적 고립, 경제적 불안, 의료 서비스 제한 등 다양한 요인을 통해 우울증, 불안장애 등 국민의 정신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역사회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2. 코로나19로 인한 정신건강 문제
2.1.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 증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격리 조치는 많은 사람들에게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을 초래했다.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정부가 내린 강력한 사회적 제한 조치로 인해 사람들은 가족, 친구, 이웃 등 사회적 관계 유지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특히 독거노인, 장애인, 1인 가구 등 취약계층의 경우 이러한 사회적 연결고리가 더욱 약화되면서 고립감과 외로움을 크게 경험하고 있다. 미국 정신건강협회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성인의 약 36%가 외로움과 고립감을 느꼈다고 한다.
이처럼 장기화된 사회적 고립은 사람들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외로움은 우울증, 불안장애, 수면장애 등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사회적 관계와 상호작용의 부재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정서적 안녕을 위협하고 정신적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 문제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지역사회 기반의 프...
참고 자료
Shah, S., Mohammad, D., Qureshi, M., Abbas, M. Z., & Aleem, S. (2021). morbitidy, Psychological Responses and Associated Correlates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n a Global Population,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57(1), 101–110.
Brown, S. M., Doom, J. R., Lechuga-Pena, S., Watamura, S. E., & Koppels, T. (2020). Stress and parenting during the global COVID-19 pandemic. Child Abuse & Neglect, 104699.
Zhang, Y., Wang, C., Pan, W., Zheng, J., Gao, J., Huang, X., Cai, S., Zhai, Y., Latour, J. M., & Zhu, C. (2020). Stress, Burnout, and Coping Strategies of Frontline Nurses During the COVID-19 Epidemic in Wuhan and Shanghai, China. Frontiers in psychiatry, 11, 565520.
신선화, 이은혜. (2022). 자가격리자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피로의 관계에서 건강염려와 우울의 매개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3(1), 43-52.
정신건강론, 저자 최송식, 최말옥 외 3명, 출판 학지사, 2024.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