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나의 원가족 가계도와 자아분화 성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모델
2.1. 주요개념
2.1.1. 자아분화
2.1.2. 삼각관계
2.1.3. 핵가족의 정서
2.1.4. 가족투사
2.1.5. 다세대 전수
2.2. 가계도를 통한 필자의 분석
2.2.1. 가계도의 개요
2.2.2. 자아분화의 개념을 통한 스스로에 대한 성찰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전통적인 개인치료 방식과 다르게 가족치료에서는 문제를 겪고 있는 대상에 대해 진단할 때, 그를 둘러싼 가족 및 환경적 요인을 모두 고려한다. 특히 보웬은 그가 제안한 다세대 가족치료모델에서 자아분화의 개념을 강조하였다. 자아분화는 아동이 그의 부모와의 연결에서 벗어나 심리적, 정서적인 자주성을 확립해가는 과정이다. 자아분화를 적절히 이룬 개인은 건강한 성장이나 발달을 이룰 수 있는 반면에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사회부적응과 같은 문제를 보일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이하 본론에서는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모델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필자의 가족에 적용하여 성찰해보도록 한다.
2.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모델
2.1. 주요개념
2.1.1. 자아분화
보웬이 제시한 가족치료모델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인 자아분화는 정신의 내적인 측면과 대인관계에 연관된 개념이며, 감정과 사고를 얼마나 분리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척도라고 볼 수 있다"
자아분화가 잘 이루어질 경우에는 감정과 사고 간의 분화가 잘 이루어져 균형이 잡히고 자제력과 함께 객관적인 판단력을 갖추게 된다. 그러나 자아분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자율성이 저하되고 타인의 감정에 쉽게 융화되어 반응이 커진다. 이로 인해 확고한 신념 체계가 사라지고 사고의 중심이 이성에서 감성으로 옮겨가는 등의 증상을 볼 수 있다"
즉, 자아분화의 수준에 따라 감정과 사고의 균형, 자제력, 객관적 판단력 등이 달라지며, 자아분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타인 의존성이 높아지고 이성적 사고가 약화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2.1.2. 삼각관계
가족치료관점에서 삼자 간의 관계는 이자 간의 관계보다 더욱 안정적인 것으...
참고 자료
류현수, 김주아 저, 가족상담 및 치료, 동문사, 2014
Daniel V. Papero 저, 남순현 역, 보웬가족치료를 위한 짧은 이론서, 시그마프레스, 2012
김영근,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에 근거한 신학대학원생의 가족배경 분석 및 상담,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복음과 상담, Vol. 16, No. 1, pp. 173-202(30쪽), 2011
송정아 외,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하우출판사, 2007.
정문자 외, 「가족치료의 이해」, 학지사, 2018.
최규련, 「가족상담 및 치료」, 공동체, 2019.
김지원 외, 「부자유친성정과 대학생의 자아분화의관계: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아시아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pp.97-120,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