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건강문제 분석
1.1. 자료수집
1.1.1. 지리적 특성
남양주시의 지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남양주시의 면적은 458.1㎢로 경기도 전체면적 10,185㎢의 4.5%를 차지한다. 남양주시는 맑고 깨끗한 자연경관을 지닌 청정 환경의 녹색도시이다.
남양주시는 서쪽으로 서울과 인접하고 있어 시민의 다양한 서비스 요구도가 높은 편이다. 또한 급속한 도시팽창으로 인해 사회적 불안요인이 증가하고 있다. 반면 농촌지역은 도시지역에 비해 인프라가 취약한 편이다.
1.1.2. 인구 특성
남양주시 인구 특성은 다음과 같다.
남양주시의 노인인구는 2017년 기준 12.3%로 경기도 평균 11.4%보다 0.9% 높으며, 전국 평균 14.2%보다 1.9%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노인인구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연령구조를 살펴보면, 50~59세 연령층이 가장 넓게 분포되어 있어 향후 노인인구로 편입될 집단으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건강증진과 질병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남양주시의 기초생활수급자 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취약계층의 의료접근성 제고와 건강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별내동 신도시 개발 등 급속한 도시팽창으로 인한 인구유입이 지속되면서 지역주민의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다양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1.3. 주요 건강문제
주요 건강문제는 다음과 같다.
삼척시의 경우 현재 흡연율은 19.1%로 전국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현재 흡연자의 1개월 내 금연계획률은 전국 19.3%, 강원도 8.2%, 삼척시 5.9%로 금연과 관련된 의욕이 매우 낮아 적극적인 홍보와 금연유도 환경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즉, 삼척시 주민의 금연의지가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간 음주율은 2017년 전체 56.9%로, 전년 대비 2.2% 증가하였다. 이는 삼척시 주민의 음주문제가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준다.
비만율은 31.0%로 강원도 31.4%대비 0.4%p 낮고, 전국 28.3%보다 2.7%p 높게 나타남에 따라 점차 증가추세인 비만에 대한 관리 사업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이는 삼척시 주민의 비만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걷기 실천율은 39.0%로 강원도 32.4% 대비 6.6%p 높고, 전국 39.5%보다 0.5%p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그간의 운동 실천 사업이 실효를 보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삼척시 주민의 걷기 실천율이 강원도 및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신체활동 실천율은 2017년 전체 13.3%로, 전년 16.3% 대비 3.0% 감소하였으며, 강원도 14.56% 대비 낮다. 즉, 삼척시 주민의 신체활동 실천율이 전국 및 강원도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삼척시의 주요 건강문제는 흡연과 음주, 비만 등 생활습관 관련 건강행태의 악화, 그리고 신체활동 실천 저하 등인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삼척시 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금연과 절주, 비만 예방, 신체활동 증진 등을 위한 적극적인 보건사업 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2. 자료분석
1.2.1. SWOT 분석
내부 환경 분석인 SWOT 분석은 다음과 같다.
강점(Strength)은 지역주민의 건강지식이 향상되어 있고, 지역사회 내 대학과 연계된 다양한 전문지식과 자원이 풍부하며, 보건소 직원들의 지속적인 인력개발과 교육을 통해 보건사업 관리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각 읍면지역에 보건소 출장소와 지소, 진료소가 적절히 분포되어 있어 보건사업 추진이 원활하고, 보건사업에 대한 관리자들의 관심도가 높은 것도 강점이다.
약점(Weakness)으로는 보건소 이용자가 노인과 영유아 예방접종 대상에 한정되어 있고, 주민의 자가 건강관리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또한 지역사회 내 연계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