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계화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세계화와 초국적기업
1.2. 한국 내 초국적기업의 현황
2. 한국에서 활동하는 주요 초국적기업
2.1. 구글
2.2. 쿠팡
2.3. 페이스북
2.4. 코카콜라
2.5. 맥도날드
3. 초국적기업의 활동이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3.1. 세금 회피
3.2. 노동에 미치는 영향
3.3. 한국 기업과의 경쟁
4. 초국적기업의 현지화 전략
4.1. 제품 및 서비스의 현지화
4.2. 인력 채용 및 관리
4.3. 사회공헌 활동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세계화와 초국적기업
세계화(Globalization)란 국가 및 지역 간에 존재하던 상품, 서비스, 자본, 노동, 정보 등에 대한 인위적 장벽이 제거되어 세계가 일종의 거대한 단일시장으로 통합되어 나가는 추세를 말한다. 세계화는 상품, 자본, 서비스 등의 이동을 촉진시키고 정보의 확대를 촉진시키는 정보통신과 그 인프라가 발달됨에 따라 급진적으로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그리하여 지구상에 장벽이 없어지고 하나의 생활권을 형성하여 지구촌이라는 용어로 쓰여 지기도 한다.
초국적기업(Transnational Corporation, TNC)은 특정 국가의 경계를 넘어 생산 활동을 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초국적기업은 거대한 규모를 가지고 본국의 기반을 바탕으로 자본 축적을 세계적 규모에서 수행하며, 이러한 축적을 가능하게 하는 전략과 조직을 갖고 있다. 역사적으로 초국적기업의 원류는 17, 18세기 네덜란드와 영국의 동인도 회사로 대표되는 제국주의자들의 활동에서 찾을 수 있다. 제국주의와 맞물려 자원 확보에 치중했던 20세기 전반, 경쟁의 격화에 따른 생산비 절감을 위해 저임금과 낮은 환경 기준을 찾아 기업들이 자국 밖으로 활발히 진출했던 1960~1970년대, 그리고 더 넓은 시장과 더 나은 기업 환경을 찾아 초국적 기업들이 뻗어나가고 있는 현재까지 초국적 기업의 영향력은 꾸준히 행사하고 있다.
1.2. 한국 내 초국적기업의 현황
한국 내 초국적기업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구글은 웹 검색, 포털 사이트, 광고 등을 사업 영역으로 하는 미국의 대표적인 IT 초국적기업이다. 전 세계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는 검색 엔진으로, 1998년 설립 이후 10년도 채 지나지 않아 세계 최대 포털 사이트가 되었다. 구글은 2015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기업 Alphabet이 새로 설립되었고, 본사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있는 구글플렉스 건물이다. 구글은 한국 시장을 위해 '이시간 인기토픽', '화제의 인물', '인기블로그' 등이 초기화면에 포함되는 등 국내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현지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 특히 모바일 인터넷 시장에서의 강세를 바탕으로 새로운 매출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쿠팡은 한국의 대표적인 온라인 쇼핑몰로, 미국에 있는 모기업 쿠팡 엘엘씨(Coupang, LLC)가 100% 지분을 보유한 한국 자회사이다. 쿠팡은 한국 온라인 쇼핑몰 거래액에서 네이버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대 주주인 일본 소프트뱅크 비전펀드의 자금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국내 온라인 시장의 30%를 장악하게 되었다. 쿠팡은 물류 투자를 확대하고 음식 배달, 간편 결제 등 다양한 사업 영역으로 진출하는 등 전방위적 성장을 보이고 있다.
페이스북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기업이다. 페이스북은 이용자의 사적 정보와 활동을 공개함으로써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었고, 현재 전세계 유저가 30억 명을 넘어서는 초국적 공룡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한국인들의 아이디어에 착안해 만들어진 페이스북은 한국에서도 많은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체 디지털 화폐 '리브라'를 출시하여 유저 간 결제에도 활용되고 있다.
2. 한국에서 활동하는 주요 초국적기업
2.1. 구글
구글(Google)은 웹 검색, 포털 사이트, 관련 사이트를 운영하고 광고를 주 사업 영역으로 하는 미국의 다국적 IT 기업이다. 전 세계에서 압도적 1위를 차지하는 검색 엔진으로, 2018년 기준 20주년을 맞이한 초국적 기업이자 현존하는 가장 큰 인터넷 기업 중 하나이다. 2015년 8월 구글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새로운 지주회사 알파벳(Alphabet)이 세워졌고, 구글은 알파벳의 자회사가 되었다. 구글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본사 건물을 구글플렉스(Googleplex)라 부르며, 창립자인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구글 주식을 보유하며 재벌이 되었다.
구글은 탄생 이후 10년도 ...
참고 자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세계의정치와경제」, 2011.
현지용, 「맥도날드 ‘내 맘대로 근로시간’ 비판에도 노동부 “법 위반 아냐”」, 시사주간, 2020.02.20.
편집국, 「패스트푸드 스태프 노동과정과 실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13.
박혜리, 「초국적기업 광고의 신뢰도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2007.
전범수, 「초국적 미디어 기업의 대두와 한국의 대응」,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국민일보 [다국적 기업의 교묘한 ‘세금 회피’…국세청 수천억 원대 추징]
뉴스핌 [애플코리아, 상생기금 1000억 조성…아이폰 수리비 1년간 10% 할인]
공용, 2012, 기업경영, 세계화 시대의 국내 기업경영환경개선과 나아갈 길
김중태 , 월간말 2006년 12월호(통권 246호), 『구글과 네이버는 어떻게 다른가?』
김치호 외 2008, 다국적기업의 효과적 유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노택환, 2004, 다국적기업의 해외직접투자이론, 학문사
박성준, 2000, 시사저널, 북한 벽 뚫은 코카콜라의 새 전략
장시복, 책세상, 2004, 『세계화 시대 초국적기업의 실체』
정의철,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인터넷 규제와 정치공론장 - 구글의 중국 진출 케이스를 중심으로,
황금부엉이, 2006. 『구글, 성공 신화의 비밀』, Vise, David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