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대상자는 호흡곤란으로 인해 선린병원에 검진을 받은 후 가슴에 물이 찼다는 소견을 듣고 본원에 입원하고 계시며, 얼굴 및 하지의 부종, 호흡곤란 및 병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하고 계십니다. 이러한 심방세동 및 심방조동을 대상으로 케이스를 함으로써 대상자의 임상증상을 사정하여 안위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2. 문헌고찰
2.1. 심장의 구조와 기능
2.1.1. 심장의 위치와 구조
심장은 무게가 약 250~300그램으로 양쪽 폐 사이의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 기관이다. 심장의 2/3가 좌측으로 치우쳐 있으며, 횡경막 위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의 첨단부(Apex)는 좌측 제 5늑간 부위와 중앙 쇄골선이 만나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동맥과 폐동맥의 시작부위이다. 심장의 기저부(Base)는 제 3늑간 부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대 및 하대 정맥이 유입되는 곳이다.
심장조직은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가장 바깥 층은 심외막(epicardium), 중간층은 심근(myocardium), 가장 안쪽 층은 심내막(endocardium)이다. 심장은 이중벽의 심낭(pericardium)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측의 장측심낭과 외측의 벽측심낭 사이에는 20~30mL의 심낭액이 있어 윤활액 역할을 한다.
심장은 중격(septum)에 의해 우심과 좌심으로 구분되며, 다시 위 아래의 심방과 심실로 나뉜다. 우심방은 신체를 돌고 온 정맥혈(상대정맥, 하대정맥, 관상정맥)을 받으며, 우심실은 심장의 가장 앞쪽에 있는 구조로 흉골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좌심방은 4개의 폐정맥으로부터 산화된 혈액(동맥혈)을 받아 좌심실로 보내며, 좌심실은 좌심방으로부터 동맥혈을 받아들여 대동맥을 통해 전신동맥순환계로 방출한다.
심장에는 4개의 판막인 삼첨판, 승모판, 대동맥판, 폐동맥판이 있다. 삼첨판은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승모판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위치한다. 대동맥판은 좌심실과 연결되어 전신으로 피를 보내며, 폐동맥판은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에 위치한다.
2.1.2. 심장의 기능
심장의 기능은 전신에서 환원된 혈액을 정맥계로부터 모아서 폐로 보내며(노폐물 제거), 신선한 혈액을 펌프질하여 신체조직으로 운반(산소와 영양 전달)하는 것이다. 심장은 분당 70-100회 박동하며, 이 기능은 크게 폐순환과 체순환으로 구분된다.
폐순환은 전신순환의 1/5에 해당하는데, 우심방은 상대정맥, 하대정맥, 관상정맥동을 통해 전신순환으로부터 돌아온 정맥혈을 받아 우심실로 보내고, 우심실은 이 혈액을 폐동맥을 통해 폐로 내보내며, 폐에서 산화된 동맥혈은 좌우 두 쌍의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유입된다.
체순환은 전신순환의 4/5에 해당하는데, 좌심실의 펌프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좌심방은 폐순환으로부터 받은 산화된 동맥혈을 좌심실로 보내고, 좌심실은 이 혈액을 대동맥을 통해 전신 동맥계로 박출하여 각 장기와 조직에 혈액을 공급한다.
이러한 혈액 순환의 원동력은 좌우 심실의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혈압으로, 우심실의 수축기 혈압은 25~30mmHg, 좌심실은 120~130mmHg의 높은 압력으로 혈액을 동맥계로 박출하여 순환이 이루어지게 한다.심장의 전기생리학적인 특성은 심장근육의 자율적인 흥분과 전도 능력으로, 이를 통해 심박수와 리듬을 조절하게 된다. 이는 심장의 자장관리 기능이라고 할 수 있으며, 크게 동방결절, 방실결절, 히스속-푸르키니에 속으로 구성된다.
동방결절(SA node)은 우심방의 상부에 위치하는 자동능 중추로서 심박조절자(pacemaker) 역할을 하며, 분당 60-100회의 정상적인 심박수를 유지한다. 방실결절(AV node)은 좌우 심방 중격의 하부와 관상정맥동 앞쪽 우심방 심내막하에 위치하며, 동방결절의 자극이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못할 때 심박동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히스속-푸르키니에 섬유는 심실 수축의 전도 경로로, 심실의 규칙적인 수축을 가능케 한다.
이처럼 심장의 전기생리학적 기능은 심장 박동의 조절과 규칙성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2.2. 심방세동의 정의 및 원인
2.2.1. 정의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이란, 임상에서 접하는 지속성 부정맥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써 69세 이상 노인들에게서는 5%이 발견된다. 심방세동은 심방의 수축이 소실되어 여러 부위가 무질서하게 뛰는데, 이에 대한 심전도 소견은, 매우 빠르고 불규칙적인 세동파가 분당 350~600회의 매우 빠른 파형을 만들고, 이로 인하여 불규칙한 맥박을 형성하는 질환이다. 심장은 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