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기업전략의 유형
1.1. 성장전략
1.1.1. 집결전략(집중전략)
1.1.1.1. 사례: 맥도날드, 이디야
맥도날드는 기업의 핵심 가치인 제품의 품질, 즉, 햄버거의 맛에 집중하여 기존의 햄버거 번을 브리오슈 번으로 바꾸고 기존의 서비스와 기업의 강점인 맥드라이브와 맥딜리버리 서비스를 확대하는 등 기업의 강점에 집중하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즉, 맥도날드는 외적 내적으로 모두 경쟁력이 있어 기존의 강점을 더욱 강화하는 집결전략(집중전략)을 사용하여 성공을 거두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중저가 커피 전문점 이디야는 젊은 층을 타깃으로 하여 특정 고객에 집중하고 가성비에 집중하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즉, 이디야는 내적으로 강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지만 외부적으로는 매력적인 산업이라고 보기 어려워 집결전략(집중전략)을 사용한 것이다.
1.1.1.2. 장단점
집결전략(집중전략)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장점으로는 첫째, 규모의 경제가 이루어져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경쟁력의 강도에 따라 수직적 통합이나 수평적 통합을 통해 집결전략을 사용하는 기업은 대량생산시스템을 갖추게 되어 규모의 경제가 실현된다. 이에 따라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시장비용도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다. 특정 고객이나 제품, 지역 등에 경영자원을 집중함으로써 기업은 시장을 장악할 수 있게 되고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첫째, 경쟁사의 등장이나 고객 수요 감소로 인해 생산량이 줄어들 경우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경쟁사가 없거나 고객으로부터의 수요가 줄어들어 생산량이 감소하게 되면 규모의 경제를 이루기 어려워져 원가상의 불이익을 초래하거나 관리비용이 증폭될 수 있다. 둘째, 기업의 의사결정 범위가 제한적이다. 특정 고객이나 제품, 지역 등에 경영자원을 집중하는 집결전략을 사용하는 기업은 의사결정을 위한 선택의 폭이 좁아지게 되어 기업 운영의 유연성이 떨어질 수 있다.
1.1.2. 다각화전략
1.1.2.1. 관련다각화 사례: 코카콜라, 농심
관련다각화전략의 사례로는 코카콜라와 농심을 들 수 있다.
코카콜라는 주 제품인 탄산음료(콜라)에 더하여 이온 음료나 유제품, 주스, 차, 커피 등 식음료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음료 제품과 브랜드를 갖고 있는 글로벌 식음료 기업이다. 코카콜라는 핵심역량인 탄산음료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관련 식음료 제품군을 지속적으로 확장하여 다양한 음료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코카콜라는 기존 제품 및 시장에서의 위험을 분산하고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
농심은 주 제품인 라면이나 과자에 더하여 생수, 시리얼, 간편식 등 다양한 종류의 식품브랜드를 갖고 있는 식품기업이다. 농심은 라면이라는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관련 제품군인 다양한 종류의 식품으로 사업을 확장하였다. 이를 통해 농심은 기존 제품의 수요 변화에 따른 위험을 줄일 수 있었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처럼 코카콜라와 농심은 각자의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관련된 제품군으로 사업을 다각화함으로써 기존 시장에서의 위험을 분산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였다. 이는 관련다각화전략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1.1.2.2. 비관련다각화 사례: 소니, 아마존, 레고
소니는 전자제품 분야 외에도 오디오 및 가전, 모바일 제품, 게임, 음악, 영화, 엔터테인먼트 사업 등 주 사업과 관련되지 않은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소니는 미래를 대비하여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도 선보이며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이처럼 소니는 기존 사업과의 관련성이 낮은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여 비관련다각화 전략을 펼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아마존은 온라인 전자상거래 사업 외에도 클라우드 서비스와 음악 및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하드웨어와 모바일OS를 개발하고 eBook시장을 만드는 등 기존 종사 사업과 관련이 적은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아마존은 비관련 사업을 통해 새로운 시장영역과 다양한 영역으로 진출하고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레고는 주 사업인 블록 제품과 관련 없는 의류나 시계, 출판·미디어·게임, 레고 랜드 등 비관련 사업 영역에 진출하고 비관련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레고는 이러한 다각화 전략을 통해 블록 제품 이외에도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함으로써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