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강강술래 단원 개관
1.1. 강강술래의 개요
강강술래는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와 도서지방에 전래하여 오는 부녀자들의 민속놀이로, 주로 추석날 밤에 부녀자들이 손에 손을 잡고 "강강술래" 라는 후렴이 있는 노래를 부르면서 원무를 추는 놀이이다. 강강술래는 노래와 춤, 놀이가 잘 어우러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놀이로, 원무인 '강강술래'와 함께 '청어 엮기', '문지기 놀이','고사리 꺾기' 등의 놀이가 함께 행해진다. 이러한 강강술래 놀이는 혼자가 아닌 여럿이 함께 모여 노래를 부르며 놀이와 춤을 즐기는 음악이다. 따라서 강강술래를 통하여 학생들은 친구와 함께 악곡을 외워서 노래 부르며 악곡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과 놀이를 하고 이를 통하여 음악의 쓰임새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1.2. 단원의 구성
단원의 구성은 크게 '음악 놀이 수업모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음악 놀이 수업모형은 음악 수업에 있어 놀이와 함께 전해지는 다양한 놀이요를 부르며 전래놀이를 함으로써 전통음악의 흥겨움과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재곡 익히기와 놀이 방법 익히기, 활동 과정에서의 음악적 표현력과 놀이 참여도를 평가하여 다음 단계의 음악 수행 과정에 피드백을 제공한다""
1.3. 교수ㆍ학습 차시별 흐름도
주제 강강술래 소주제 (차시) '강강술래','남생아 놀아라' 노래 익혀 놀이하기(1/3)
'강강술래'와 '남생아 놀아라' 노래를 부르고 놀이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차시의 학습목표이다. 해당 차시의 교수ㆍ학습 차시별 흐름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입 단계에서는 먼저 학생들이 강강술래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발표하고, 강강술래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며, 강강술래 전체 놀이 동영상을 감상한다. 그리고 자진모리장단과 중중모리장단에 맞추어 친구와 함께 걷는 활동을 진행한다.
활동1 단계에서는 '(중,자진)강강술래'와 '남생아 놀아라' 노래를 듣고 따라 부르며 가락을 익히고, 시김새도 표현해 본다. 또한 '청어엮자'와 '꼬리따기' 노래도 친구와 주고받으며 익히고 장단에 맞춰 부른다. 이 과정에서 엮음 강강술래 노래도 메기고 받으며 부르는 활동을 한다.
활동2 단계에서는 친구와 함께 '(중,자진)강강술래'와 '남생아 놀아라' 놀이를 하면서 구체적인 놀이 동작을 익히고, '청어엮자'와 '꼬리따기' 놀이도 메기고 받는 소리로 하며 즐긴다. 마지막으로 모든 노래와 놀이를 연결하여 강강술래 전체 놀이를 한다.
정리 단계에서는 강강술래 놀이의 특징과 장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놀이 인원수를 다르게 하여 경험해 볼 뿐만 아니라, 강강술래 전체 놀이를 한 후의 소감을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해 본다.""
1.4. 지도상의 유의점
가창 활동에서는 수동적으로 듣고 부르는 활동보다는 능동적으로 표현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며,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습방법을 유기적으로 조직한다""
노래 부르기 활동에 있어 시김새 표현에 치중하기보다 친구와 함께 어울려 노래 부르기에 초점을 둔다""
모둠 놀이를 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