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응급실 실습 보고서
1.1.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1.1.1. KTAS의 정의 및 목적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는 2012년 캐나다 응급환자 분류도구인 CTAS(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우리나라 의료상황에 맞게 변형하여 개발된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의 영어 줄임말이다. KTAS는 단순히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진료 순서를 정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도 병원 전 단계를 아울러서 응급의료체계 전반을 개혁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KTAS는 환자를 평가할 때 증상을 중심으로(symptom-oriented) 분류하는 도구이다. 환자의 첫 인상을 평가한 후에 감염 여부에 대한 기본적인 문진과 진찰을 시행하고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에 따라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1차 고려사항과 증상에 따라 특별히 적용해야 할 2차 고려사항으로 환자의 중증, 긴급도를 결정한다. 이런 방법으로 분류된 병원 단계와 병원 전 단계의 KTAS 결과에 따라 환자는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되며, 병원에 도착한 후 분류 결과에 따라 진료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필요한 경우 안전한 대기 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1.1.2. KTAS 단계 분류
KTAS 단계 분류는 5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Level 1 - 소생 단계는 "생명이나 사지가 곧 악화될 위협이 있어 적극적인 처치를 필요로 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 단계의 환자들은 매우 불안정한 활력징후를 보이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위급한 상황에 처해 있다. 심장 질환으로 인한 심정지, 호흡 부전으로 인한 심정지, 중증 외상(쇼크), 중증 호흡곤란, 의식 장애 등이 이에 해당한다.
Level 2 - 긴급 단계는 "생명 혹은 사지에 잠재적인 위협이 있어 의사 혹은 의료 지시에 따라 빠른 처치가 필요한 상황"을 의미한다. 이 단계의 환자들은 빠르게 악화되어 소생을 필요로 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의료적 관심이 필요하다. 중등도 호흡부전, 토혈, 증상을 동반한 고혈압, 의식 장애, 발열, 비심인성 흉통, 중증 외상 등이 해당된다.
Level 3 - 응급 단계는 "응급 처치가 필요한 심각한 문제로 진행할 수 있는 잠재성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단계의 환자들은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고 일반적인 업무와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이지만, 응급실이 과밀화되는 상황에서 자주 대기실로 배정된다. 경한 호흡부전, 무증상의 고혈압, 구토와 오심, 중등도 복통 및 두통, 조절되지 않는 혈성 설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Level 4 - 준응급 단계는 "환자의 나이, 고통, 악화될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한 두 시간 안에 치료 혹은 재평가하면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만성적이거나 평상시 상태와 차이 없는 착란, 경한 요로감염 증상, 경한 변비 등이 이 단계에 해당한다.
Level 5 - 비응급 단계는 "급성기이지만 긴급하지 않은 상황이며 악화되었거나 변화 없는 만성적인 문제의 일부분일지도 모르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검사와 치료는 미룰 수 있으며, 다른 지역의 병원이나 건강관리 시스템으로 전원할 수 있다. 경증의 설사, 단순 외상, 단순 상처 소독, 단순 약 처방 등이 이에 해당한다.
종합하면, KTAS는 환자의 증상과 징후에 따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환자를 분류하여 적절한 치료와 이송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 체계이다.
1.2. CPR 약물
1.2.1. 약물의 효능과 부작용
norepinephrine은 각종 질환에 따르는 급성 저혈압 또는 쇼크의 보조치료에 사용되며, 심정지의 보조치료에도 사용된다. 부작용으로는 심계항진, 서맥, 심부정맥, 말초 허혈 등의 심혈관계 증상과 두통, 어리저움, 진전, 불안 등의 정신신경계 증상, 구역과 구토 등의 소화기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adenosine은 Wolff-Parkinson-Whito(WWP)증후군을 포함하는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의 정상적인 동율동으로 신속한 전환과 심전도로 진단되지 않는 복합형 상심실성 빈맥의 진단에 사용된다. 부작용으로는 심차단, 정상적인 동율동으로 전환시 부정맥, 호흡감소와 호흡부진, 두통, 발한, 구역, 금속성미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magnesium sulfate는 경련, 자간, 전해질보급(저마그네슘혈증), 자궁경직(분만촉진)에 사용되며, 고용량 투여에 의해 마그네슘중독을 일으켜 열감, 칼증, 혈압저하, 중추신경억제, 심박동수억제, 호흡마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naloxone은 천연 · 합성마약, 프로폭시펜, 메타돈 및 마약길항진통제의 해독제로 사용되며, 마약등에 의한 호흡억제의 갑작스런 역전으로 인한 구역, 구토, 발한, 빈맥, 흉부고민감, 혈압증가, 진전, 발작, 심정지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calcium gluconate와 calcium chloride는 저 칼슘혈증에 의한 테타니 또는 그 관련 증상, 마그네슘 중독 등에 사용되며, 부작용으로 소화기계 증상, 순환기계 증상, 고칼슘혈증, 울혈성심부전,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etomidate는 전신마취 유도제로 사용되며, 부작용으로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의 생합성 억제, 간대성근경련, 오심과 구토증세, 후두경련, 단시간 호흡마비, 기관지 경련, 알러지 반응과 경련, 떨림, 심부정맥, 말초혈관 저항 감소로 인한 일시적인 혈압 강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atropine은 위장관의 경련성 동통, 담관·요관의 산통, 경련성 변비, 위·십이지장궤양에서의 분비 및 운동 항진, 방실전도장애, 미주신경성 서맥, 마취전투약, 유기인 살충제·부교감신경흥분제 중독에 사용된다. 부작용으로 눈, 정신신경계, 소화기계, 호흡·순환기계, 과민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flumazenil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의 중추진정작용을 역전시키는데 사용되며, 부작용으로 쇼크, 혈압상승, 빠른맥, 서맥, 인두이화감, 경련, 두통, 흥분, 어지러움, 환각, 불안감, 떨림, 권태감, 우울, 간기능 이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vasopressin은 하수체성 요붕증, 하수체성 또는 신성 요붕증의 감별진단, 장내가스제거, 식도정맥류출혈의 긴급처치 등에 사용된다. 부작용으로 쇼크, 심부전, 심박동정지, 심근허혈, 심실성기외수축, 관상동맥연축, 혈관연축, 흉통, 서맥, 부정맥, 심계항진, 체온강하, 혈압상승 등의 심혈관계 증상과 기관지경축, 호흡곤란, 천명 등의 호흡기계 증상, 두통, 어지러움, 실신, 불안, 정신착란, 기면, 혼수, 진전 등의 정신신경계 증상,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배변절박, 트림, 고창, 복명, 장관경련 등의 소화기계 증상, 자궁수축, 월경과다 등의 자궁 증상, 수분저류에 의한 저나트륨혈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lidocaine HCL은 마취용과 심실성 부정맥 치료제로 사용되며, 부작용으로 쇼크, 악성고열, 중독한 증상인 진전, 경련 등의 중추신경계 증상과 두드러기 등의 과민증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amiodarone은 생명을 위협하는 심실성 부정맥의 정맥주사 치료에 사용되며, 부작용으로 부정맥 유발, 간기능 이상, 간부전, 급성 폐렴, 저혈압, 서맥, 전도장애, 말초신경병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epinephrine은 기관지천식, 혈정병, 두드러기, 맥관신경증성부종, 약물쇼크, 심정지의 보조치료, 국소 마취제 효력의 지속 등에 사용되며, 부작용으로 불안, 공포, 두통, 무력감, 진전, 현기, 작열감, 오심, 구토, 창백, 호흡곤란, 호흡 미약, 변비, 사지냉감, 고혈당증, 발한, 빈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1.3. CV cath(중심정맥카테터) 삽입술
1.3.1. 목적 및 적응증
중심정맥카테터(中心靜脈カテーテル, central venous catheter, CVC)의 목적 및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중심정맥카테터는 신체의 중심에 위치한 큰 정맥에 삽입하는 카테터로, 쇄골하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등에 삽입하여 수액이나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중심정맥카테터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을 측정하여 순환혈량을 측정하고, 수분 상태를 사정하여 수분 공급량을 결정하며 순환부전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둘째, 말초혈관으로 주입시 정맥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고농도의 약물, 항생제, 항암제, 승압제 등을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
셋째, 응급환자나 중환자의 정맥주입로를 빠르게 확보할 수 있다.
넷째, 수액량의 기준을 산출할 수 있다.
다섯째, 울혈성 심부전의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여섯째, 쇼크 상태나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할 수 있다.
일곱째, TPN(total parenteral nutrition) 등의 영양제를 즉시 희석해서 주입할 수 있다.
여덟째, 말초정맥 확보가 어려운 경우 정맥주입로를 확보할 수 있다.
아홉째, 일시적 심장박동기를 삽입할 수 있다.
열째, 혈액투석을 시행할 수 있다.
이처럼 중심정맥카테터는 응급상황에서 정맥 확보가 필요하거나, 고농도 주입이 필요한 약물 투여, 영양공급, 혈액투석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는 의료기구라고 할 수 있다.
1.3.2. 삽입 부위 및 준비물품
중심정맥카테터 삽입술에서 삽입 부위 및 준비물품은 다음과 같다"
삽입 부위는 주로 내경정맥(internal jugular vein), 쇄골하정맥(subclavian vein), 요측피 정맥(basilic vein), 척측피 정맥(cephalic vein) 등이 사용된다. 내경정맥은 중심정맥관 삽입 시 성공률이 가장 높은 부위이며, 상대정맥과 우심방으로의 진행이 수월한 정맥이다. 쇄골하정맥은 카테터 삽입부위의 드레싱 유지가 쉽고, 환자의 자세에 따른 안정성 유지가 용이하지만 기흉, 혈흉, 쇄골하 동맥 천자 등의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