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대용차
1.1. 삼지구엽초(음양곽차)
삼지구엽초(음양곽차)는 소나무과(Pin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30cm 정도이며 근경이 옆으로 뻗습니다. 잎은 호생으로 2회 3출복엽 구조를 가지며, 소엽은 9개로 구성되어 있고 난형의 형태를 띱니다. 잎의 길이는 5~14cm, 폭은 1~8cm 정도이며 첨두, 심장저, 털같은 거치연이 있습니다. 5월에 황백색 꽃이 피며 총상화서 형태로 하향으로 피어납니다. 꽃받침은 8개, 꽃잎은 4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긴 거가 있습니다. 열매는 삭과 형태로 방추형입니다.
삼지구엽초는 약용 및 차용으로 사용되는데, 잎과 뿌리에서 진해, 거담, 소염, 항균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차로 사용할 때는 말린 잎을 물에 넣고 끓여 마시며, 간혹 취향에 따라 꿀을 약간 넣어 먹기도 합니다. 특히 삼지구엽초의 말린 것이 음양곽이라고 합니다.
삼지구엽초는 강장제, 강정제, 식욕 돋움, 더위 극복 등의 효능이 있어 널리 이용되는 대용차 식물입니다. 그 외에도 항노화, 면역 증진, 혈압 강하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삼지구엽초는 다양한 약리적 활성을 가지고 있어 한방 및 민간요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2. 결명자(결명자차)
결명자(결명자차)는 콩과(Leguminosae) 식물인 결명자(Casssia tora L.)의 종자를 사용하여 만든 차이다. 결명자는 일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며 주로 재배되고 있다.
결명자 종자에는 chrysophanol, emodin, aloe-emodin, rhein, physcion, obutusin 등의 성분이 들어있다. 결명자 종자는 이뇨, 항균, 야맹증, 시신경위축 등의 효과가 있어 주로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결명자차는 이름 그대로 시력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있어 가성 근시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혈압을 내려주고 현기증, 만성변비, 노인성 변비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간장과 신장을 보호하고 부종을 없앤다고 한다.
결명자차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결명자 종자 20g을 물 600ml에 넣고 끓인다.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인 후 은근히 오랫동안 달인다. 건더기는 체로 걸러내고 국물만 찻잔에 따라낸 다음 기호에 맞춰 꿀을 타서 마시면 된다. 다만 혈압이 낮은 사람은 결명자차를 삼가는 것이 좋다.
1.3. 매실나무(매실차)
매실나무(Prunus mume S. et Z.)는 장미과에 속하는 외래식물로, 중국이 원산지이다. 매실나무는 낙엽활엽 소교목으로 높이가 5m 정도 자란다. 잎은 호생하고 난형이며 길이는 4~10cm, 폭은 3~5cm 정도이다. 잎의 표면은 무모이며 윤택한 반면, 뒷면은 연한 갈색의 면모가 밀생해 있다. 꽃은 4월에 연한 홍색으로 개화하며, 꽃받침은 둥근 형태이고 꽃잎은 도란형이다. 열매는 핵과로 7월에 황색으로 성숙하며 둥근 형태에 지름이 2~3cm 정도이다.
매실나무의 주요 용도는 약용과 식용이다. 열매는 지해, 지사, 항균 작용이 있어 약용으로 사용되며, 꽃은 소화불량 등에 사용된다. 또한 열매를 식용하기도 한다. 매실차 제조 시에는 청매실을 갈아 즙을 내어 햇볕에 건조시켜 물엿 상태의 매실 엑기스를 만든다. 이를 유리병에 넣어 보관하다가 필요할 때 물에 타서 마시면 된다. 매실 엑기스는 6~9년간 보관해도 변질되지 않는다고 한다.
매실차의 주요 효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로회복에 크게 효과적이다. 둘째, 전염병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셋째, 맹장염, 단독, 폐결핵, 늑막염, 기침 등에 효과적이다. 넷째, 과일 고유의 향과 함께 시원한 청량감을 주어 더위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매실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외래 식물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낙엽활엽 소교목이다. 매실의 약용 및 식용 가치가 크고, 특히 매실차는 피로회복, 전염병 예방, 각종 질병 치료, 더위 극복 등의 효능이 있어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는 차로 활용되고 있다.
1.4. 복숭아나무(도화차)
복숭아나무(도화차)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 소교목으로, 높이는 약 6m이다. 잎은 호생하며 피침형으로 길이가 8~15cm, 폭이 1.5~3.5cm 정도이다. 잎 끝은 점첨두, 기부는 넓은 예저를 보이며 소둔거치연이다. 4~5월에 연한 홍색의 꽃이 개화하며, 꽃받침과 꽃잎은 각 5개씩이다. 수술은 다수이며 자방은 밀모이다. 8~9월에 붉은색으로 성숙하는 열매는 핵과 형태이며 크기는 직경 약 5cm 정도이다.
복숭아나무의 다양한 부위가 약용으로 활용된다. 종자에는 amygdalin, 정유, 지방유, emulsio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지혈, 진해, 진통, 항염 효과가 있다. 가지 또한 치료 효능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복숭아나무의 다양한 부위가 약용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복숭아나무 꽃은 차(도화차)로 제조하여 마시기도 한다. 봄에 꽃이 활짝 필 무렵에 채집한 꽃을 그늘에서 말려 두고 사용한다. 꽃술은 버리고 말린 꽃을 1일 15-20g 정도를 물 500cc에 넣고 달인다. 달인 차는 하루 2-3회에 나누어 마시며, 벌꿀을 1스푼씩 타서 마시는 것이 좋다고 한다. 복숭아나무 꽃 차는 미용에 효과가 높으며, 변비, 각기, 결석, 해독 등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복숭아나무는 잎, 가지, 꽃 및 종자 등 다양한 부위가 약용 및 식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꽃을 이용한 도화차는 주로 미용과 부인병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1.5. 살구나무(행인차)
살구나무(행인차)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 소교목으로, 높이가 6m 정도 자랄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