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이보다더좋을순없다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강박장애의 이해
2.1. 정의
2.2. 원인
2.2.1. 생물학적 요인
2.2.2. 심리적 요인
2.3. 임상적 특징
2.3.1. 강박사고
2.3.2. 강박행동
2.4. 진단과 평가
3. 사례분석: 영화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3.1. 대상자 정보
3.2. 주요 증상
3.3. 정신상태 사정
4. 간호중재
4.1. 생물학적 중재
4.1.1. 약물치료
4.2. 심리사회적 중재
4.2.1. 반응차단
4.2.2. 사고정지
4.2.3. 이완요법
4.2.4. 인지 재구성
4.2.5. 단서카드
4.2.6. 정신교육
4.3. 간호과정
4.3.1. 간호진단
4.3.2. 간호목표 및 계획
4.3.3. 간호중재 및 평가
5. 결론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강박장애는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특정한 행동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병적인 상태이다. 강박장애 환자는 자신의 행동이 불합리한 줄 알면서도 계속 반복하며, 행동을 중단할 경우 불안을 느끼게 된다. 본 사례연구에서는 영화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의 주인공인 멜빈 유달을 대상으로 하여, 강박장애의 유형과 주요한 증상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간호진단을 발견해 나가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간호의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중재를 통해 환자가 자신의 강박 증상을 성공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환자에게 나을 수 있다는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이다.
2. 강박장애의 이해
2.1. 정의
강박장애는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을 포함하는 질환이다. 강박사고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생각, 충동 또는 심상이 침입적이고 원치 않는 방식으로 경험되며 대부분 현저한 불안이나 괴로움을 유발한다. 이러한 생각, 충동 및 심상을 경험하는 사람은 이를 무시하거나 억압하려고 시도하며, 또는 다른 생각이나 행동을 통해 이를 중화하려고 노력한다. 강박행동은 예를 들어, 손 씻기나 정리정돈하기, 확인하기와 같은 반복적 행동과 숫자세기 등과 같은 심리 내적인 행동을 개인이 경험하는 강박사고에 대한 반응으로 수행하거나 엄격한 규칙에 따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강박행동들은 불안감이나 괴로움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고, 또는 두려운 사건이나 상황의 발생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강박행동들은 그 행위의 대상과 현실적인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명백하게 과도한 것이다.
2.2. 원인
2.2.1. 생물학적 요인
강박장애의 생물학적 요인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 밝혀져 왔다.
강박장애의 발병에는 유전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직계가족 중에 강박장애나 틱장애가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 일반인에 비해 강박장애가 발병할 확률이 훨씬 높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또한 강박장애가 있는 가족에서는 불안장애와 기분장애의 발병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박장애의 발병에 유전적인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신경화학적으로는 세로토닌 체계의 이상이 강박장애의 주요 병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강박장애 환자의 뇌에서는 세로토닌의 활동이 저하되어 있으며,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같은 약물 치료가 강박증상의 호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로토닌 체계의 조절 장애가 강박장애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뇌영상 연구에서는 강박장애 환자들의 뇌에서 특정 부위의 과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주로 안와전두피질, 전대상피질, 기저핵의 미상핵 등이 과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뇌 부위들은 강박적 사고와 행동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들 뇌 부위의 병적인 활성화가 강박장애의 발병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종합해보면, 강박장애는 유전적 소인, 세로토닌 체계의 이상, 특정 뇌 부위의 기능 장애 등 다양한 생물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이해는 강박장애의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2.2.2. 심리적 요인
심리적 요인 측면에서 강박장애의 원인은 정신역동이론과 행동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정신역동이론에 따르면 강박장애 증상과 성격 특징은 격리, 취소, 반동 형성 등과 같은 3가지 무의식적인 방어기전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고전적인 정신분석 이론은 강박장애를 우이디푸스기에서 항문기 발달 단계로의 퇴행으로 기술한다. 항문기는 분노와 불결함에 집착하는 것과 관련되며, 환자가 보복이나 사랑의 상실에 대해 불안해할 때 이런 퇴행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행동이론에서는 강박장애에 대한 설명이 학습이론에서 유래한다. 강박사고는 조건화된 자극으로 간주되는데, 해로운 사건과 관련시킴으로써 중립적인 자극이 불안을 유발하게 된다. 개인은 불안을 회피하려고 강박행동에 참여하게 되며, 강박적 불안을 성공적으로 감소시키는 행동을 발견할 때 강박행동이 발생한다고 본다.
즉, 정신역동이론에서는 무의식적인 방어기제의 실패로 인해 강박증상이 발생하고, 행동이론에서는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학습된 강박행동이 나타난다고 설명하고 있다.
2.3. 임상적 특징
2.3.1. 강박사고
강박사고란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생각, 충동 또는 심상이 침입적이고 원치 않는 방식으로 경험되며 대부분 현저한 불안이나 괴로움을 유발하는 것이다. 강박사고를 경험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생각, 충동 및 심상을 무시하거나 억압하려고 시도하며, 또는 다른 생각이나 행동을 통해 이를 중화하려고 노력한다. 강박사고의 내용은 오염에 대한 공포, 병리적 의심, 균형과 완성욕구, 누군가를 다치게 한다는 생각, 성적 이미지에 대한 두려움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강박사고는 불안을 유발하며 대상자는 이를 억누르거나 회피하려 하지만, 결국 강박행동으로 이어지게 된다.
2.3.2. 강박행동
강박행동(compulsions)은 강박사고에서 비롯되며 불안을 없애려는 시도로 사용하는 반복적 행동이다. 일반적으로 손 씻기, 지나치게 청소하기, 확인하기, 물건 정리하기, 수 세기, 순서대로 하기, 비축하기 등이 흔한 강박행동의 예이다.
강박행동은 강박사고에 의해 발생하는 불안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오염에 대한 강박사고를 가진 대상자가 강박적으로 손을 씻는 행동은 오염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현실적으로 연결되지 않거나 명백히 과도한 것이다.
강박행동은 시간을 소모하고, 사회적·직업적·기능적 장애를 초래하는 등 삶의 여러 영역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오염에 대한 강박사고로 인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씻는 데 소비한다면 다른 일상적 ...
참고 자료
고려대학교안암병원 http://anam.kumc.or.kr/dept/main/index.do?DP_CODE=AAPY
김선아, 임숙빈, 김성재, 현명선 외(2020). 제8판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김수진 외(2016).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김은자, 김정호, 박경희, 오윤경(2020). 정신건강간호학실습지침서, 수문사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main/index.do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main.do
성미혜. 홍영혜. 정향미. 김영희(2018). 비판적 사고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이경희, 김은자, 주세진, 김영숙 외(2017). 정신건강간호학_수정판. JMK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영화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As Good As It Gets)’
최진우(2016), 「강박증의 치료적 변화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 영화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Meg Gulanick, Judith L. Myers(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가이드. 현문사
실무중심의 정신건강간호학/현문사/Mary Ann Boyd저, 반혁숙 외 편역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간호과정/수문사/성미혜, 정향미, 김영희, 양영옥
보건복지부 국립부곡병원 불안장애/강박증 http://www.bgnmh.go.kr/
약학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서울아산병원 강박장애 https://www.amc.seoul.kr/
사례연구 영화: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실무 중심의 정신간호학 현분사 제6판 수정판 p349~362
이민규,원호택. "강박장애의 인지적 특성." 심리학의 연구문제 -.3 (1988): 375-399.
권준수,이동우,윤대현. "강박장애의 임상양상-입원환자의 연구." 신경정신의학 37.2 (1998): 225-233)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강박장애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42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강박장애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711
세브란스 병원, 질환정보, 강박장애
https://yi.severance.healthcare/health/encyclopedia/disease/system.do?mode=view&articleNo=69768
보건복지부 국립부곡병원, 불안장애>강박증
https://www.bgnmh.go.kr:2448/bgnmh/board/bgnmhHtmlView.jsp?menu_cd=BM_02_05_00_03&no=323
세브란스병원 건강칼럼
https://health.severance.healthcare/health/encyclopedia/disease/disease.do?mode=view&articleNo=69768&article.offset=0&articleLimit=12&srSearchVal=%EA%B0%95%EB%B0%95%EC%9E%A5%EC%95%A0
의약품 사전 네이버 지식 백과-(내용 및 사진 참고)
https://terms.naver.com/medicineSearch.naver
강박장애 –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