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원격수업 설계하기
1.1. 주제 설정의 이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으로 '원격 수업'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수업 형태들이 도입되었지만, 소위 '온라인 수업'이라고 하는 새로운 수업은 학생들이 개별화 학습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간이 지속되자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과 학부모들에게도 어렵게 다가왔다"이다. 동료 및 교사의 피드백이 바로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온라인 수업의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유의미한 피드백이 가능할 수 있도록 '백워드 설계 모형'과 '블랜디드 러닝'을 활용하여 수업-평가를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1.2. 수업-평가 설계 및 운영
1.2.1.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학습 주제 설정
Key Concept와 Related Concept를 연결하여 학습 주제를 설정하였다. Key Concept는 "Connect(연결)"이고, Related Concept로는 "Character(인물)", "Intertextuality(상호텍스트성)"를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Global Context에서 "Identities and Relationships(정체성과 관계)"를 다루었다. 이러한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독자들은 여러 작품 속 인물들의 공통된 행동양식을 통해 자신의 삶의 방식을 성찰한다."라는 학습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 학습 주제는 국어과 성취기준 [9국05-10] "인간의 성장을 다룬 작품을 읽으며 삶을 성찰하는 태도를 지닌다."와 [12문학04-01] "문학을 통하여 자아를 성찰하고 타자를 이해하며 상호 소통하는 태도를 지닌다."와 연계된다.
1.2.2. 평가 설계
평가 설계는 '백워드(backward) 수업-평가'를 기반으로 하였다"이다. 백워드 수업-평가 설계를 통해 교육과정-평가와 수업의 일원성을 강화하고, 학생들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배움 중심 수업이 가능하며,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이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GRASPS(Goal, Role, Audience, Situation, Performance, Standard) 절차에 따라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먼저 '여러 작품 속 인물들의 공통된 행동양식을 파악하고 자신의 삶의 방식을 성찰하는 것'을 수업의 목표(Goal)로 설정하였다.
학생들은 '여러 작품을 읽고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독자'의 역할(Role)을 수행하며, '나와 지향하는 삶의 방식이 다른 같은 반 친구'가 그 글의 대상(Audience)이 된다. 학생들은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앞으로의 삶의 태도를 담은 수필'을 작성하는 상황(Situation)에 놓이게 되며, 이에 대한 평가 기준(Standard)은 내용, 형식, 표현으로 설정되었다.
백워드 교육과정 이해의 여섯 측면(설명, 해석, 적용, 관점, 공감, 자기지식)을 활용하여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를 들어 '인물의 삶의 방식을 이해한 것'(해석),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삶을 성찰한 것'(자기지식), '관련 작품을 적용한 것'(적용) 등을 평가한다.
또한 동교과 교사 간 교차채점을 원칙으로 하여 평가의 타당성을 높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작품을 깊이 있게 감상하고 주체적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었을 것이다.
1.2.3. 전체적인 수업 설계
전체적인 수업 설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학습 주제를 설정하였다. 중·고등학교에서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성취기준을 묶어 "독자들은 여러 작품 속 인물들의 공통된 행동양식을 통해 자신의 삶의 방식을 성찰한다"는 학습 주제를 설정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