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대학원 노인 및 치매간호전공 지원동기 및 연구계획조사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11.17
7,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임상대학원 노인 및 치매간호전공 지원동기 및 연구계획조사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전문간호사 및 진료지원인력 제도 개요
1.1. 전문간호사의 개념 및 역할
1.2. 전문간호사 제도의 도입 배경 및 현황
1.3. 국내외 전문간호사 제도의 정착 과정 및 활성화 방안
1.4. 진료협력간호사와 임상시험 연구간호사의 역할

2. 전문간호사 및 진료지원인력 제도의 쟁점과 문제점
2.1. 전문간호사 업무범위와 역할에 대한 법적 규정 미비
2.2. 전문간호행위에 대한 건강보험수가 부재
2.3. 상급 간호실무 및 진료지원 담당 인력 수요 증가와 인력관리 부재
2.4. 전문간호사와 진료지원인력의 정체성 및 역할 혼란

3. 전문간호사 제도 발전을 위한 대안 모색
3.1. 전문간호사 분류체계 재정비 및 자격관리
3.2. 전문간호행위에 대한 건강보험수가 인정
3.3. 전문간호사 배치 기준 마련과 의료기관 평가 반영
3.4. 전문간호사와 진료지원인력의 역할 정립 및 제도화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전문간호사 및 진료지원인력 제도 개요
1.1. 전문간호사의 개념 및 역할

전문간호사는 간호사 면허소지자로서 최근 10년 이내에 해당 분야의 간호실무 3년 이상의 경력자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는 전문간호사 교육기관의 교육과정(대학원 전문간호사 과정)을 마치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실시하는 전문간호사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와 외국의 해당 전문간호사 자격소지자로서 인증을 받은 자를 의미한다. 이들은 간호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대상자(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건강증진, 건강보호, 질병예방 및 질병치료를 위한 직접적인 실무를 제공하는 간호실무 제공자, 교육자, 연구자, 지도자, 자문가, 협동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대상자의 가족에 대한 교육, 건강 제공자의 훈련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타 분야와의 협진, 연구, 평가의 기능도 담당한다. 이처럼 전문간호사는 간호의 전문성과 권한을 바탕으로 대상자에게 상급수준의 간호를 제공하는 전문가적 역할을 하는 간호사를 의미한다.


1.2. 전문간호사 제도의 도입 배경 및 현황

우리나라의 전문간호사 제도는 국내외 보건의료분야의 간호전문화 추세, 간호의 전문적 성장에 대한 요구, 비용 효과적이고 전문적인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 등 의료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의료비 절감 기대, 전공의 부족현상의 해결책, 자원의 효율적 배분, 실무 표준화와 질적 수준의 유지 및 관리 등의 필요성에 의해 2003년 법제화되었다.

미국의 전문간호사 제도의 경우 60년간 많은 시행착오를 경험하며 법제도를 개선시켜 왔으나 국내 전문간호사 제도는 외국의 전문간호사 제도와는 다르게 처음부터 전문간호사 명칭과 자격요건, 전문간호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이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어 제도의 법제화 이후 의욕적으로 전문간호사를 양성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는 전문간호사 제도가 도입된 이후 2017년까지 13개 분야에서 총 14,996명의 전문간호사가 배출되었으나 건강보험체계의 특수성과 전문간호사 역할의 법적 명시 부재 등으로 인하여 배출된 전문간호사가 실제로 활동하는 사례가 점차 적어지면서 전문간호사의 수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1.3. 국내외 전문간호사 제도의 정착 과정 및 활성화 방안

국내외 전문간호사 제도의 정착 과정 및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미국의 경우 전문간호사 제도가 가장 발달했는데, 고령화 인구에 비하여 1차 의료를 제공할 인력이 부족하고 의사만으로는 부족한 인력을 단기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 전문간호사 제도 시행의 계기가 되었다. 1960년대 이후 교육과정과 자격제도를 갖추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1990년대 이후 석사학위 이상의 전문교육과정을 받은 간호사로 전문간호사의 개념과 제도가 정착되었고, 비용 효율적인 면에서 인정을 받으며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2004년 미국간호협회에서 개발한 전문간호 실무표준을 토대로 전문간호사의 역량 표준화를 도모하였고, 2011년까지 44개 주에서 간호사법에 전문간호사 관련 사항을 명시하고, 19개 주는 실무 영역에 의사 협력이나 감독을 지정하였다. 또한 전문적인 실무범위에서 전문간호사의 역할, 비용효율성, 입원률 감소, 약물사용 감소 등 환자 안전 측면과 만족도 향상에 대한 연구를 꾸준히 시행하며 전문간호사 제도의 효율성을 입증하고 있다.

대만도 1990년대 의료기관에서 운영하는 전문간호사 수가 증가하자 2000년 간호사법을 제정하여 전문간호사를 공식화하였다. 이후 국가와 대만간호협회가 공동으로 인증 프로그램, 교육과정, 업무범위 등을 개발하여 인증하였고, 2006년 최초의 자격시험을 통해 전문간호사를 배출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2014년 전문간호사의 법적 업무범위를 간호사법에 정확하게 명시하였다.

일본은 전문간호사 자격이 법률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일본간호협회에 의한 자격심사체계를 통한 인증전문간호사와 특정의료행위 간호사가 있다. 인증전문간호사는 5년 이상 임상경력과 석사과정을 거친 후 일본간호협회의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인정되는 11개 분야의 상급간호실무를 수행하는 간호사이며, 특정의료행위 간호사는 21개 영역, 38개 중재 내용으로 분류된 특정의료행위 수행을 위한 자격을 부여받은 간호사이다.

반면 우리나라의 전문간호사 제도는 2003년 법제화되었으나, 전문간호사 명칭과 자격요건, 전문간호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이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을 뿐 선진국과는 달리 전문간호사와 의사의 업무에 대한 법적 규정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즉, 전문간호사의 긍정적 미래를 예상했던 초기와 달리 보건의료현장의 전문간호사에 대한 수요 창출을 이루어내지 못하게 되었으며, 2017년까지 13개 분야에서 총 14,996명의 전문간호사가 배출되었음에도 건강보험체계의 특수성과 전문간호사 역할의 법적 명시 부재 등으로 인하여 배출된 전문간호사가 실제로 활동하는 사례가 점차 적어지면서 전문간호사의 수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문간호사의 분류체계 재정비와 자격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현재 가정, 감염, 보건, 산업, 정신, 중환자, 응급, 아동, 종양, 노인, 마취, 호스피스, 임상의 13개 분야를 급성, 만성, 특수 분야로 구분하여 전문간호사로 한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전문간호사, 전담간호사, PA, 코디네이터, SA, 진료지원 간호사 등의 혼재된 ...


참고 자료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안], 보건복지부
한국의 사회동향 2018. 통계청
설미이,신용애,임경춘,임초선,최정화,정재심(2017). 한국 전문간호사제도의 현황과 활성화 전략,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4(1), p.37-44.
김미정, 김영경, 신수진(2014). 한국 전문간호사의 업무 성과, 성인간호학회지, 26(6), p.630-641
김용순, 유문숙, 손연정, 박진(2013). 전문간호사를 위한 국내외 관련 법제도 분석 및 방향. 대한간호협회 2013년도 연구사업.
보건복지부(2017). 2017년 노인실태조사 보고서.
한국간호교육평가원(2017). 한국 전문간호사 현황. 2017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 Annual Report. 제2018-01-03
Suh SR, Gwon SH, Gwak WH, Gwon IG, Kim SH, Jang BH et al(2014). A study on the status and survey of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s: policy research report. 2014;24-
이경자외(2004). 노인전문간호사의 역할과 기능. 노인간호학회지. 6(1):125-133
김현주외(2014). 의사보조인력의 현황과 의료법적 문제법. 한국의료법학회지. 22(1):7-20
Julie Stanik-Hutt et al(2013).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care provided by nurse practitioners. The journal for nurse practitioners. 9(8):492-500
Lusine Pogbosyan et al(2015). Maximizing nurse practitioners' contributions to primary care through organizational changes. Journal of ambulatory care management.38(2):109-117
Hilary Barnes et al(2017). Effects of regulation and payment policies on nurse practitioners' clinicla practices. Med Care Res Rev. 74(4):431-451
이상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 서비스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효과, 2016, 지역사회간호학회지
변도화,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하에 제공되는 방문간호 서비스의 중요도 성과도, 2013, 지역사회간호학회지
변도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하에 제공되는 방문간호서비스 질 평가 및 개선방안, 2012, 박사학위논문
이지원, 초고령화사회에 따른 노인건강의료분야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017, 법학연구
윤은자(2018). 노인간호학. 경기도(수문사)
햇빛나눔: http://sunnanum.com/p19
한국재가노인복지협회: www.kacold.or.kr
보건복지부: www.mohw.go.kr
파주시 보건소: clinic.paju.go.kr/clinic/index.do
광주광역시 서구 보건소: www.seogu.gwangju.kr/health
성남시 보건소: https://www.seongnam.go.kr/health/1001388/10965/contents.do
보건복지포럼-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s://www.kihasa.re.kr/web/publication/research/view.do?menuId=45&tid=71&bid=12&division=001&ano=2387
한겨례 북서울복지센터: https://blog.naver.com/hopewelfare/100112684227
방문 간호 서비스 정의_다한다연구소: https://blog.naver.com/colorbinu?Redirect=Log&logNo=221747987729
사랑샘노인복지센터: https://blog.naver.com/bitnaeri2000/221041133834
JS통합재가복지센터: https://blog.naver.com/snh0601/221736068908
의협신문: http://www.doctorsnews.co.kr
미국 간호사 협회, https://international.aanp.org/Practice/APNRoles
서효정. 전담 간호사 제도개선 방향 고찰–유경험자에 대한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국제보건학과 국제보건전공, 2019
김슬기.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2018
송시은. 임상시험 연구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인하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2013
성영희⋅임난영⋅박광옥⋅정정희⋅권인각⋅김을순⋅황문숙(2009)진료협력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교육상담간호사와 진료코디네이터간호사 중심-.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5 No.2. 139~155
대한간호협회(http://www.koreanurse.or.kr/resources/be_specialist.php)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2313
병원간호인력실태조사, 2018, 병원간호사회
임상간호연구 제12권, 우리나라 PA (Physician Assistant)의 역할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한국 전문간호사제도의 현황과 활성화 전략
우리나라 전문간호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건강증진 대안으로서의 전문간호사
대한간호협회 보도자료
곽찬영, 박진아. 전담간호사 운영현황과 역할 실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14
이화진. 전담간호사의 역할적응 과정,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