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재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일상 재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일상생활에서 재난관리사례
1.1. 서론
1.2. 본론
1.2.1. 집 화재예방
1.2.2. 집 화재대비
1.2.3. 집 화재대응
1.2.4. 집 화재복구
1.3. 결론
1.4. 참고문헌

2. 재난안전사고 개선방안
2.1. 우리나라 재난안전사고
2.1.1. 코로나19 발생원인
2.1.2. 전파방법 및 경로
2.1.3. 국내 현황
2.1.4. 문제점
2.2. 우리나라와 해외 보건의료정책 비교분석
2.2.1. 2021 우리나라 보건의료정책
2.2.2. 2021 해외 보건의료정책
2.3. 현장 · 정책 내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
2.3.1. 1차 예방
2.3.2. 2차 예방
2.3.3. 3차 예방
2.4. 재난안전사고 개선방안
2.4.1. 미래 감염병에 대응하는 공공보건의료체계 강화
2.4.2. 환자중심 가치기반 보건의료 정책
2.4.3. 다음 세대를 위한 건강안전망 확대
2.4.4. 국민의 생명 · 안전을 보호하는 의료대응체계 구축
2.4.5. 일상 회복 과정에서의 건강불평등 대응
2.5. 참고문헌

3. 재난상황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
3.1. 서론
3.2. 재난 상황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 필요성
3.3. 재난 상황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향
3.4.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일상생활에서 재난관리사례
1.1. 서론

일상생활에서 재난을 만나게 되는 일은 의외로 자주 발생한다. 재난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기 때문에 이를 대비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집에서 마주치는 재난은 화재의 위험이 가장 높다. 요즘에는 대부분 사람들이 아파트에 거주하기 때문에 한 집이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옆이나 위아래로 번질 가능성이 있어 화재가 더 크게 발생할 수 있다.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먼저 알아야 하며, 화재를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물품을 구비해놓아야 한다.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당황하지 말고 어떤 행동을 먼저 해야 하는지 알고 있어야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화재가 발생한 후에는 대부분 소실되거나 검은 연기로 인하여 자국이 생겨 사용하지 못하는 물건들이 많다. 그러나 일부 물건의 경우 화재 이후에도 다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떻게 해야 복구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재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1.2. 본론
1.2.1. 집 화재예방

집에서 불이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전기가 누전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전기용품을 사용할 때 먼지가 쌓이는 것도 화재의 위험이 될 수 있으므로 먼지를 잘 닦아야 한다. 가스레인지는 화재나 화상이 자주 발생하는 곳으로, 펄펄 끓는 냄비를 방치하거나 가연성 물질을 가까이 두면 화재가 일어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조리 전 주방을 정리하고 가스레인지 사용 중에는 자리를 비워서는 안 된다.
최근 전자제품 사용이 늘면서 전기에 과부하가 걸려 화재가 더 자주 발생하고 있다. 멀티탭에 지나치게 전원을 많이 연결하면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쓰지 않는 콘센트는 분리시켜놓아야 한다. 또한 전기용품에 쌓인 먼지도 화재 위험을 높이므로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한다. 이처럼 전기 누전이나 과부하, 먼지 축적 등을 주의깊게 관리하여 화재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


1.2.2. 집 화재대비

집 화재대비를 위해서는 소화기와 소화 감지기의 구비가 필수적이다. 소화기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해두어야 한다. 아파트의 경우 별도의 소화기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지만 단독주택이나 다세대 주택에는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인이 소화기를 구비해두는 것이 좋다. 최근에는 불이 난 장소에 투척하면 바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투척용 소화기도 나왔으므로 여건에 따라 이러한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또한 화재 발생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도록 소화 감지기를 별도로 구비해두어야 한다. 자신의 집에 소화 감지기가 없다면 이를 설치하여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처럼 화재 대비를 위해 소화기와 소화 감지기를 구비해두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1.2.3. 집 화재대응

아파트에서 화재가 났을 때는 먼저 가족들과 이웃에게 알리고 119에 전화하여 화재 사실을 신고해야 한다. 이때 침착하게 행동하며 불이 난 건물의 위치와 동과 호수, 갇힌 사람의 유무 등을 119에 알려야 한다. 그리고 신속한 대피가 필요하다. 화재가 발생했는지 늦게 알았거나 초기 소화작업이 불가능할 정도로 불이 번진 경우에는 젖은 수건을 이용해서 코와 입을 먼저 막아야 한다.

아래층에서 불이 났을 때는 계단을 이용해서 밖으로 대피를 하도록 하고 아래층으로 내려가는게 불가능한 경우에는 아파트 옥상으로 올라간다. 아파트 계단에 연기가 너무 많아서 대피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베란다에 설치되어 있는 비상탈출구를 파괴한 다음 옆집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아파트에 설치되어 있는 소화기나 옥내소화전 등의 소방시설을 이용해서 초기소화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아파트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는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가 멈춘다. 그리고 실내가 유독가스로 차게 되기 때문에 굉장히 위험하다. 화재가 발생하면 복도와 계단을 이용하도록 하고 옥외의 안전한 곳으로 대피를 해야 한다.

또한, 아파트에서 화재가 났을 때는 유독 가스가 엘리베이터 수직통로나 계단을 통해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위험하다. 그러므로 평상시에 방화문을 꼭 닫아야 한다. 이렇게 화재대응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내에 소방시설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소방시설의 경우 오작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화재경보기가 울린다 하더라도 사람들이 이에 대한 심각성을 잘 느끼지 못한다. 소방시설을 임의로 정지를 해두는 곳도 있고 고장 난 상태로 오랫동안 방치를 해두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방시설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1.2.4. 집 화재복구

불이 발생한 후 이를 복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우선 식기구의 경우 비눗물을 이용해서 1차 헹굼을 해주고 나중에는 광택제를 이용해서 잘 닦아 둔다. 양은제나 동제의 경우 소금과 레몬조각을 이용하거나 헝겊에 식초를 묻혀서 소금을 뿌린 다음 씻으면 화재의 흔적이 잘 닦인다. 목재가구의 경우 세척을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솔로 문지르거나 전용 용제를 이용해서 닦아야 한다. 피해가 너무 큰 경우에는 목재가구를 복구하는게 더 힘들기 때문에 새로 구입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식품의 경우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다시 사용하기 힘든 것이 많다. 통조림이나 병조림의 경우 녹슬거나 찌그러져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것들은 다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우선 헹군 다음에 이용하면 된다. 냉장고의 경우는 악취를 제거해야 하므로 물과 식초를 이용해서 악취를 제거해야 한다. 냉장고는 최소 2-3일 정도는 격리시켜서 보관하도록 한다.

매트리스의 경우 화재가 발생했을 때 원상태로 되돌릴 수 없는 물건 중 하나다. 의류 또한 다시 되돌릴 수 없는 물건 중 하나다. 검은 연기가 얼룩만 진 상태라면 세탁을 해서 다시 입을 수는 있긴 하다.


1.3. 결론

집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재난 사고 중에는 화재가 있다. 불이라는 것은 언제 어디서든지 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이 부주의했을 때 금방 발생한다. 특히 최근에는 전자제품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에 과부하가 걸려 불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처럼 전기 누전이나 멀티탭에 지나치게 많은 콘센트가 꽂아져 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화재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집에 소화기를 가져다 두어야 하며 소화 감지기가 없는 경우 이를 설치해야 하나. 화재가 났을 때 대응하기 위해서는 매뉴얼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엘리베이터는 작동이 멈출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쓰지 말아야 하며 아래층으로 이동을 하거나 옥상으로 올라가야 한다. 그리고 신속하게 119에 신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재가 발생한 이후에는 대부분의 물건을 재사용할 수 없으며, 일부 물건의 경우 물과 식초를 이용해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화재에 대해 지식을 알고 있으면 대비하기도 쉽고 실제로 발생했을 때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1.4. 참고문헌

'가정 내 화재 사고 예방! 이렇게 체크하세요', 삼성화재 프로포즈 https://blog.samsungfire.com/3778, '아파트에서 화재 발생시', 파주시청 https://safe.paju.go.kr/safe/safe_03/safe_03_06/safe_03_06_08.jsp, 홍승헌, "아파트 화재 피해! 예방과 대응방법 소개!", 데일리대구경북뉴스, 2022.08.29. http://www.dailydgnews.com/news/article.html?no=133950이다. 문헌들은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예방, 대비, 대응, 복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


참고 자료

가정 내 화재 사고 예방! 이렇게 체크하세요, 삼성화재 프로포즈 https://blog.samsungfire.com/3778
아파트에서 화재 발생시, 파주시청 https://safe.paju.go.kr/safe/safe_03/safe_03_06/safe_03_06_08.jsp
홍승헌, “아파트 화재 피해! 예방과 대응방법 소개!”, 데일리대구경북뉴스, 2022.08.29. http://www.dailydgnews.com/news/article.html?no=133950
이영란 외 공저(2021), 지역사회간호학, 신광출판사
청소년의 비만 및 과체중에 영향을 주는 요인: COVID-19 이전과 이후 비교, 김혜지, 대한보건연구, 2022, p.73-86
강희정. "2022년 보건의료 정책 전망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vol. 303, 2022, p.6-24
“김동진. 2022년 건강정책 전망 과제”. 보건복지포럼, vol. 303, 2022, p.25-41
질병관리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http://ncov.mohw.go.kr/
코로나19 장기화로 혈액 수급 ‘비상’…개선을 위한 제언, 중앙일보, 2022.05.04. https://jhealthmedia.joins.com/article/article_view.asp?pno=25371
코로나 치료 현장에서 희생된 의료인들, 중앙일보, 2022.04.13.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62999
코로나19로 가족 모임 단절 탓 노인 우울증 위험 2배 증가, 중앙일보, 2022.03.29.https://jhealthmedia.joins.com/article/article_view.asp?pno=25234
코로나 19로 심해진 스마트폰 중독, 중앙일보, 2022.01.12. https://jhealthmedia.joins.com/article/article_view.asp?pno=24939
스마트폰만 보는 자녀 ‘소아근시 및 사시 촉발’, 베이비뉴스, 2022.05.13.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053
코로나 여파 소아청소년 비만 증가, 스포츠조선, 2022.04.26.https://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2204270100207150013526&servicedate=20220426
박희룡, 2022, 재난 상황에서의 경찰활동의 근거와 한계, 국내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p.15~17
오성호, 2018, 재난복지에 있어 사회복지협의회의 역할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p.12~17
한소정, 2018, 재난 관련 사회복지실천 구성 경험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p.193~196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