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신소재
1.1. 탄소동소체
1.1.1. 그래핀
그래핀은 탄소 원자로 만들어진 2차원 물질로, 벌집 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단층의 그래핀은 원자 한 층의 두께로 매우 얇은 물질이다. 연필심으로 사용되는 흑연은 탄소들이 육각모양의 벌집구조를 이루는 2차원 구조의 판들이 층층이 쌓인 3차원 결합구조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이 한 층의 2차원 탄소결합 판을 떼어낸 것이 그래핀이다.
그래핀은 투명하며 빛의 2.3%만을 흡수해도 상온에서 은보다 열전도성이 높으며, 전자가 마치 질량이 없는 것처럼 움직여 기존 반도체보다 전기의 흐름이 빨라질 수 있어 실리콘 기판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현존하는 소재 중 가장 얇은 물질로 구리보다 전류밀도가 높고 극저온에서만 관측되는 양자 홀효과를 상온에서 보이는 특성이 있다. 그래핀은 강도, 열전도율, 전자이동도 등 여러가지 특성이 현존하는 물질 중 가장 뛰어난 소재로 디스플레이, 2차전지, 태양전지, 자동차 및 조명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관련 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전략적인 핵심소재로 인정받고 있다.
그래핀은 연필심에 쓰이는 흑연의 구성 물질로, 흑연을 뜻하는 그래파이트(Graphite)와 탄소 이중결합을 가진 분자를 뜻하는 접미사 -ene를 결합하여 만들어진 용어이다. 그래핀의 종류로는 한 층 그래핀(Single-Layer Graphene), 두 층 그래핀(Two- Layer Graphene) 및 다층 그래핀(Multi- Layer Graphene)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순수한 2차원 그래핀은 한 층 구조이나 보통 최초 그래핀 공정 시 층의 개수에 따라 한 개 층부터 여러 층을 가진 그래핀이 관찰된다.
그래핀의 합성 방법으로는 기계적 박리법, 화학증착법, 에피텍셜 합성법, 화학적 박리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