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건강진단
1.1. 지역사회 건강문제
1.1.1. 건강문제 8가지
치매는 ☆☆군 지역의 주요 건강문제 중 하나이다. 치매의 주요 원인으로는 첫째, 2017년 기준 ☆☆군의 고령자 비율이 전체 인구의 37.9%를 차지하여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점을 들 수 있다.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인구가 증가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75세 이상의 고령자 비율이 높아 치매 고위험군에 해당한다. 둘째, 치매 고위험군인 75세 이상 노인들의 치매조기검진 및 진단 검사율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건소(치매안심센터)에 대한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당뇨병성 합병증은 ☆☆군의 또 다른 주요 건강문제이다. 2017년 기준 ☆☆군의 당뇨병 환자 수는 2,712명으로 ☆☆도 내에서 비율로는 2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당뇨병 관리교육 이수율은 2014년을 기점으로 감소하다가 2017년 다소 증가하였지만, 여전히 ☆☆도 및 전국 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또한 ☆☆군 주민의 주요 건강문제로 파악된다. ☆☆군 주민들은 만성질환에 대한 관심은 많지만, 금연에 대해서는 크게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다. 또한 지속적인 금연 실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군 보건소의 금연클리닉을 통한 등록자들의 6개월 금연 성공률도 매년 10% 수준에 머물러 있다.
저출산은 ☆☆군이 직면한 또 다른 주요 건강문제이다. 산전 교육 참여율 저조와 보육시설 부족으로 인해 출산율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위험성 또한 ☆☆군의 주요 건강문제 중 하나이다. ☆☆군 65세 이상 고령자의 자살 생각률은 9.6%로 19-64세 연령층의 4.6%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65세 이상 고령자의 정신상담률은 10.8%로, 19-64세 연령층의 29.7%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비만 역시 ☆☆군 주민의 주요 건강문제에 해당한다. ☆☆군의 걷기 실천율과 체중조절 시도율이 지속적으로 전국 및 ☆☆도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고혈압은 ☆☆군 주민의 또 다른 주요 건강문제로 파악된다. ☆☆군의 혈압 수치 인지율과 고혈압 진단 경험자의 관리교육 이수율이 전국 및 ☆☆도 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생물(암)도 ☆☆군 주민의 주요 건강문제 중 하나이다. ☆☆군의 암 검진 수검률이 전국 및 ☆☆도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며, 암 검진이 가능한 의료시설도 부족한 실정이다.
1.1.2. 각 건강문제의 원인
치매의 원인은 의성군의 고령자 비율 증가와 치매 고위험군인 75세 이상 노인들의 치매조기검진 및 진단 검사율 저조이다.
의성군의 인구구성을 살펴보면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인구가 증가하는 형태를 띠고 있으며 65세 이상 고령자 비율이 전체인구의 37.9%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전국 행정구역과 비교했을 때 두 번째로 높은 고령자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치매 고위험군인 75세 이상 노인들의 교통수단 부재로 인한 보건소(치매안심센터)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치매조기검진 및 진단 검사율이 저조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의성군의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치매 유병률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당뇨병성 합병증의 원인은 의성군의 당뇨병 환자 수가 많고 당뇨병 관리교육 이수율이 낮기 때문이다.
2017년 기준 의성군의 당뇨병 환자 수는 2,712명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