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급성신부전 간호과정 4가지 간호계획 후 수행한 내용 평가까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필요성
1.2. 대상 및 방법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정의 및 원인
2.1.2. 병태생리
2.1.3. 증상
2.1.4. 진단
2.1.5. 치료 및 간호
2.2. 간호과정
2.2.1. 간호 사정
2.2.2. 간호 진단
2.2.3. 간호 계획
2.2.4. 간호 수행
2.2.5. 간호 평가
3. 결론 및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필요성
급성신부전은 신장의 기능이 갑작스럽게 상실되어 혈액 내 요소와 크레아티닌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는 질환이다. 수 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나타나며 소변배출량은 대부분 감소하지만 정상이거나 증가하기도 한다. 신체 내에 질소 노폐물이 축적되어 혈액 내에 고질소혈증이 일어나고, 체액 및 전해질 균형에 이상이 생긴다. 신기능 상실로 인한 증상이나 징후에 대한 신속하고도 적절한 중재와 함께 신기능 상실의 원인을 교정하지 않는 한 신기능 상실은 비가역적으로 되면서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한다.
급성 신부전은 빨리 원인을 찾아 치료하면 원래의 신장 기능을 회복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급격한 신장기능 저하로 심각한 합병증이 생기기도 한다. 폐부종에 의한 호흡곤란, 고칼륨혈증, 대사성산증 등이 동반되어 생명을 위협하기도 하며, 일시적으로 투석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투석이 필요할 만큼 심각한 신장 손상을 동반한 급성신부전의 빈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만큼 이번 간호사례 연구를 통해 급성신부전에 대한 지식을 넓히고 치료 중 간호문제를 확실히 파악하여 적절한 해결과정을 찾고 대상자에 맞는 적절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계기가 되고자 하는 것이 필요성이다.
1.2. 대상 및 방법
연구대상은 ㅇㅇ대학교병원 병동의 신장내과, 이비인후과병동 8865호 한OO님이다. 연구방법은 ㅇㅇ대학교병원 병동의 신장내과, 이비인후과병동에서 환자 관찰 및 EMR차트 등을 통해 연구하였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정의 및 원인
급성신부전은 신기능이 갑작스럽게 상실되어 혈액 내 요소와 크레아티닌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는 질환이다. 수 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나타나며 소변배출량은 대부분 감소하지만 정상이거나 증가하기도 한다. 신체 내에 질소 노폐물이 축적되어 혈액 내에 고질소혈증이 일어나고, 체액 및 전해질 균형에 이상이 생긴다. 신기능 상실로 인한 증상이나 징후에 대한 신속하고도 적절한 중재와 함께 신기능 상실의 원인을 교정하지 않는 한 신기능 상실은 비가역적으로 되면서 만성신부전으로 진행한다.
급성신부전의 원인은 신전성(prerenal), 신성(intrarenal), 신후성(postrenal)으로 구분된다. 신전성 신부전은 신혈류 감소가 원인이며, 전체 급성신부전의 55~7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하다. 가장 흔한 신혈류 감소 원인은 체액 부족(출혈, 탈수, 구토, 요붕증, 간경화증, 설사, 이뇨제의 과다투여, 심한 발한, 화상, 복막염, 췌장염)이다. 신성 신부전은 신장에 일어난 직접적인 손상이 원인이며, 전체 급성 신부전의 25~40%를 차지한다. 신성 신부전의 90% 정도는 허혈이나 신독성 물질로 인한 급성세뇨관괴사가 차지한다. 신후성 신부전은 폐색으로 인해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한 것이 원인이며 급성신부전의 5% 정도를 차지한다. 폐색으로 인해 소변이 신장으로 역류하고 신장 내 압력이 증가하다가 결국은 신장이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2.1.2. 병태생리
급성 신부전의 병태생리 과정은 원인과 침범받은 신장부위에 따라 다르다. 관류저하(Hypoperfusion), 세뇨관 허혈(tubular ischemia), 독성물질, 감염, 요로폐쇄 등은 신장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친다.
관류 저하와 허혈: 갑자기 관류가 줄어들면 자동조절 기전(예: 신혈관 수축, renin-angiotensin-aldosterone 체계의 활성화, 항이뇨호르몬(antidiuretic hormone, ADH)의 분비)이 작동하게 되고 aldosterone과 ADH의 작용으로 소변량이 감소하여 핍뇨(1일 소변 배설량 400ml 미만)를 야기한다. 관류저하로 인해 세뇨관의 허혈이 심해지면 세뇨관 세포는 더욱 손상된다.
독성물질: 독성물질은 신장에서 혈관수축 반응을 일으키며, 이로인해 신혈류가 감소하고 신허혈이 발생할 수 있다.
염증: 약물이나 감염으로 인한 간질성 염증변화(interstitial inflammantory changes)나 조직으로 침윤한 종양은 신장조직에 면역-매개성 변화를 가져온다. 세뇨관이 손상되고 세뇨관 세포가 괴사되면서 여러 고형 성분들이 세뇨관 내강을 막아 소변의 형성이나 배출을 방해할 수 있다.
...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1.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약학정보원
이미지. NAVER
황옥남 외(2021), 성인간호학 하권 제7판, 현문사, 142p~148p
서울아산병원, “급성신부전”,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71
간호사가 알려주는 홈케어, “신부전”, http://www.khna.or.kr/homecare_new/08_urino/kidney05.php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GKChopper blog https://blog.naver.com/slugtank/221272266205
건강사정의 필요성, 면담, “NRS통증척도 사정” 그림, http://contents2.kocw.or.kr/KOCW/data/document/2020/konyang/kimduri1211/3.pdf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엔클맛집 https://blog.naver.com/greatob/221627031703
이은희 외(2021),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21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