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의 구조 가운데 체계로서의 가족에 대한 분류를 5가지로 나눠서 서술한 후 가족 내 과정과 가족외부 체계에 대하여 기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족의 의미와 기능
1.1. 가족에 대한 정의와 변화
1.2. 가족의 주요 기능
1.2.1. 응집성
1.2.2. 적응성
1.2.3. 의사소통
1.3.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서의 의사소통
1.4. 가족기능의 중요성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족의 의미와 기능
1.1. 가족에 대한 정의와 변화
가족에 대한 정의와 변화는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왔다. 전통적으로 가족은 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는 기본적 사회 단위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대사회로 진입하면서 가족의 개념과 형태가 점차 다양화되어 왔다.
과거에는 공동의 거주, 경제적 협력, 생식의 특성으로 가족을 정의하였으나, 이제는 그러한 전통적 기준만으로는 가족을 규정하기 어렵게 되었다. 가족구성원의 거주 형태나 관계의 범위가 다양해지면서 혈연관계나 동거 기준만으로는 가족의 범위를 한정할 수 없게 되었다.
핵가족의 등장과 더불어 비혼, 1인 가구, 무자녀 가족, 다문화 가족, 이혼·재혼 가족, 동거 가족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가족의 정의 또한 더 이상 혈연관계나 혼인 관계에 기반한 전통적 개념보다는 정서적·기능적 측면을 강조하게 되었다.
즉, 가족은 더 이상 특정한 혈연관계나 혼인 관계로 한정되지 않으며, 개인적 욕구와 선택에 따라 결합된 사회적 관계망으로 이해되고 있다. 가족 구성원 간의 정서적 유대와 사회적 기능을 중심으로 가족의 개념이 변화해 온 것이다. 이처럼 가족에 대한 정의와 형태는 현대사회의 변화에 따라 점점 다양해지고 유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1.2. 가족의 주요 기능
1.2.1. 응집성
응집성은 가족구성원간의 상호의존성 또는 정서적인 유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가족 기능을 설명하는 주요한 개념이다. 즉, 응집성이란 가족 간의 가까움, 하나됨, 상호헌신, 가족유대 등을 표현하는 말이며 가족 응집성은 가족들 간에 밀착되는 관계나 격리된 관계(disengaged relationship)인 극단의 끝을 갖는 하나의 연속체로 개념화할 수 있다.
응집성이 너무 강하면 가족들은 자신의 역할이 무엇인지 혼돈하게 되고 가족들끼리 정서적으로 밀착 되는 관계를 만들어내어 서로 적절한 관계를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서로 기능적으로 관계를 하지 못한다. 즉, 개인의 자율성이 무시되어 개인의 욕구와 목표추구보다는 가족에 대한 일치가 지나치게 강조된다. 반면 응집성이 너무 약하면 각자의 높은 수준의 자율성과 개성을 갖기...
참고 자료
이상복 저, 가족상담 및 치료, 공동체, 2022
유옥 저, 가족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2020
이성희 저, 가족상담 및 치료, 창지사, 2021
최규련 저, 가족상담 및 치료, 공동체, 2019
정성란 저, 가족상담 및 치료, 양서원, 2017
김나민 (2017) 가족다양성 관점에서의 중학교 가정교과서 가족단원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장원석 (2002) 가족생활주기 분석을 통한 가변형 아파트의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반신환·유옥. (2011). 결혼과 가족. 서울: 동문사.
김유숙(2010).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서울:학지사.
김보영(2010). 가족기능과 아동 소외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지은, 김희정(2012).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