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 사정
1.1. 대상자 정보
대상자는 M/71세의 남성으로 건설 일용직에 종사하고 있다"이다. 대상자는 위암 진단을 받았으며, 입원 전 하루에 세 번 이상 구토하였고 속쓰림 및 잦은 오심을 호소하였다. 빈번한 구토로 인해 입안이 헐어 있는 상태였으며, 오심으로 인해 식사량이 많이 줄어들어 최근 2개월 동안 체중이 5kg 감소하였다. 입원 당시 혈압은 145/100mmHg, 맥박은 84회/분, 호흡수는 20회/분, 체온은 36.6도였다. 위내시경 및 복부초음파 검사에서 소량의 출혈과 위암 진단이 확인되었으며, 상복부 통증(NRS 7점)을 호소하였다. 혈액 검사 결과, 혈색소 10.2g/dL, 혈소판 115,000/mm³, 백혈구 8,700/mm³, 알부민 3.1g/dL로 확인되었다. 현재 대상자는 "알마겔에프 현탁액"을 복용하고 있다"이다.
1.2. 건강 행위 및 습관
대상자는 매일 소주 2병씩을 마시고 하루에 한 갑 반 정도의 담배를 피우는 등 건강하지 않은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다"" 대상자는 소화 불편과 속쓰림을 경험하고 있지만, 자체적으로 제산제를 복용하면 문제가 해결된다고 생각하는 등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대상자는 나이가 많고 체력이 저하되어 있어 신체 활동을 거의 하지 않고 있으며, 식사량이 줄어들면서 영양 상태도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상자의 이러한 건강하지 않은 생활습관과 부족한 인식은 위암 진단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간호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3. 환경적 요인
대상자의 환경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대상자의 주거환경에 대해 살펴보면 고시원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시원의 경우 개인 주방 시설이 부족하여 대상자가 주로 라면이나 편의점 음식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된 공간이 부족하여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환경 측면에서는 대상자가 아들의 사망 이후 가족과의 연락이 끊겨 사회적 지지체계가 부족한 상황이다. 주변에는 술을 많이 마시는 친구들이 있어 음주 습관이 지속되고 있으며,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스트레스도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설 일용직으로 일하고 있지만 불규칙적인 일감으로 인해 경제적 불안정성을 겪고 있다.
마지막으로 치료 환경과 관련해서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입원 중인 병동 환경이 매우 좁고 소음이 많은 편이었다. 병동 내 보호자 및 면회객을 위한 휴게공간이 부족하여 대상자의 사생활 보호에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살 예방을 위한 안전장치가 미비한 상황이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대상자의 주거, 사회적, 치료 환경 모두가 대상자의 건강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가족 및 친구의 지지 부족, 경제적 불안정성, 협소하고 소음이 많은 병동 환경 등이 대상자의 건강 문제 악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4. 신체검진 및 검사 결과
대상자의 신체검진 및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원 전 하루에 3회 이상의 구토가 있었으며, 잦은 구토로 인해 입안이 헐어있는 상태였다"". 무기력하여 식사를 거부하였고, 최근 2개월 간 5kg의 체중 감소가 있었다"".
활력징후 검사에서 혈압이 145/100mmHg로 상승되어 있었고, 맥박이 84회/분, 호흡이 20회/분, 체온이 36.6℃로 확인되었다"".
상부위장관내시경(EGD)과 복부초음파 검사 결과, 소량의 출혈과 위암성 궤양이 관찰되었다"". 또한 혈액검사에서 헤모글로빈 10.2g/dL, 혈소판 115,000/mm³, 백혈구 8,700/mm³으로 나타나 빈혈과 혈소판 감소가 있었으며, 알부민 수치가 3.1g/dL로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대상자는 위암 진단을 받았으며, 복부 통증을 호소하였으나 진통제 투여 후 증상이 완화되었다"". 이와 같은 신체검진 및 검사 결과는 대상자의 위암 상태와 영양 및 혈액학적 이상 소견을 보여준다"".
1.5. 간호 진단
간호 진단은 "인식부족과 관련된 비효과적 건강관리"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진단은 대상자의 건강유지와 관리에 대한 무능력을 나타낸다"" 대상자의 부족한 지식과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건강관리 행동이 비효과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진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대상자가 자신의 건강 유지를 위한 행동을 확인하고 관리하며 도움을 요청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상자는 흡연, 음주, 부적절한 식습관 등 건강에 해로운 생활습관을 알면서도 이를 지속하고 있으며, 필요한 약물 복용도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 또한 정기적인 건강검진의 필요성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환경,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