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주산기 가사상태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케이스 선정이유와 필요성
1.2. 신생아 가사(Birth asphyxia) 정의 및 중요성
2. 본론
2.1. 신생아 가사 발생의 원인 및 증상
2.1.1. 원인
2.1.2. 증상 및 징후
2.2. 신생아 가사의 진단 및 치료
2.2.1. 진단
2.2.2. 치료와 간호
2.3. 신생아 가사의 합병증 및 예후
2.3.1. 합병증
2.3.2. 예후
3. 간호과정
3.1. 간호정보 조사
3.2. 신체검진 결과
3.3. 임상 검사
3.4. 약물 투여
3.5.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및 실습소감
4.1. 소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케이스 선정이유와 필요성
신생아 가사는 신생아에게 산소 공급과 탄산가스의 제거가 원활하지 않았을 시 발생한다. 신생아 가사는 산소 공급에 문제이기 때문에 발생할 시 여러 기관에 다양한 증상과 합병증을 발생시키고 몇몇 합병증은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기도 한다. 신생아 가사가 발생하였을 때 간호사와 의료인들은 빠른 판단을 통해 이 상황을 해결해야 하며 신생아 가사에서는 얼마나 빠르게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대응하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에 이 케이스를 통하여 신생아 가사를 학습하고 간호와 치료에 대해 학습하며 신생아 가사에 대응하는 것을 학습하기 위함이다. 또한, 케이스로 선정된 신생아는 신생아 가사문제뿐만 아니라 출생 시 태변을 흡인하였고 신생아 가사의 합병증인 저산소성 허혈성 뇌병증도 진단이 되었기 때문에 신생아 가사에 따른 합병증에 대한 간호와 치료를 탐구할 수 있어 선택하였다.
1.2. 신생아 가사(Birth asphyxia) 정의 및 중요성
신생아 가사(Birth asphyxia)는 태아나 신생아에게 산소 공급과 탄산가스의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생기는 저산소증, 산혈증 및 고탄산혈증으로 인해 뇌, 신장, 위장관, 간, 심혈관계, 폐 등의 여러 기관에 혈액 관류가 저하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태아기 가사를 태아 곤란증이라 하고, 출생 후 가사를 신생아 가사라고 하며 이 모두를 주산기 가사라고 한다. 태아 곤란증이 있는 경우 신생아 가사가 일어날 수 있다.
신생아 가사는 산소 공급에 문제이기 때문에 발생할 시 여러 기관에 다양한 증상과 합병증을 발생시키고 몇몇 합병증은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기도 한다. 신생아 가사가 발생하였을 때 간호사와 의료인들은 빠른 판단을 통해 이 상황을 해결해야 하며 신생아 가사에서는 얼마나 빠르게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대응하느냐가 중요하다.
2. 본론
2.1. 신생아 가사 발생의 원인 및 증상
2.1.1. 원인
신생아 가사의 원인은 크게 산모 요인과 태아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산모 요인으로는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임신 전 기존에 있던 고혈압이나 당뇨, 태반 조기 박리, 조기 양막 파수, 양수과소증 등이 있다. 임신성 고혈압이나 임신성 당뇨, 기존의 고혈압이나 당뇨는 태아의 성장을 저해하여 저체중아나 작은 신생아로 태어나게 할 수 있으며, 태반의 기능을 저하시켜 태아의 산소 공급을 방해한다. 태반 조기 박리나 조기 양막 파수는 태아의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가사를 유발할 수 있다. 양수과소증은 폐 발육을 저해하여 호흡곤란을 초래한다.
태아 요인으로는 태아 곤란증, 양수과다증, 태아 기형, 다태아 임신 등이 있다. 태아 곤란증은 분만 중에 태아의 산소 공급이 감소하여 태아 심박동 수 감소, 태변 착색, 태아 운동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양수과다증은 양수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 압박에 의해 태아의 활동성이 저하되어 가사를 유발할 수 있다. 태아 기형, 특히 신경계 기형이나 선천성 심장 기형은 태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여 가사를 초래한다. 다태아 임신의 경우에는 태아 간 경쟁, 태반 기능 저하, 조기 분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분만 과정에서 발생하는 요인들로는 제대 탈출, 제대 압박, 태아골반 불일치, 분만 지연, 난산 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분만 중 태아의 산소 공급을 감소시켜 가사를 유발할 수 있다.신생아 가사의 원인은 산모의 요인과 태아의 요인, 그리고 분만 과정에서 발생하는 요인들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산모의 질병이나 상태, 태아의 문제, 분만 과정의 합병증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신생아 가사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신생아 가사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전 관리, 분만 관리, 신생아 관리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다.
2.1.2. 증상 및 징후
태아나 출생 직후 신생아가 저산소증에 빠져 가사 상태가 되면 일차성 무호흡이 일어나고 이때 산소를 주면서 자극을 주면 곧 바로 자발적 호흡이 돌아오게 되지만 이런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이차성 무호흡으로 진행된다. 이차성 무호흡 상태에서는 양압환기 요법으로 소생술을 시행해야만, 자발적 호흡이 돌아오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뇌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가사 후에 중심 정맥압이 서서히 올라가며 심박출량은 거의 변하지 않으나 혈액의 재분배가 일어나 신장, 위장관, 피부, 간, 근육...
참고 자료
아동건강간호학 Ⅰ, 2020.08.24., 김효신 외,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신생아 가사]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028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 질환정보 [신생아과/신생아 가사]
-https://www.amc.seoul.kr/asan/depts/child/K/bbsDetail.do?menuId=4342&contentId=259855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김영혜 외 공저. (2018). 아동간호학 각론. 파주:현문사
김영혜 외 공저. (2018). 아동간호학 총론. 파주:현문사
성미혜 외 3명.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2019. 247-340
이윤미 외 공역.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2019
김자영, 박연준, 신소영, 김용구, 박선희. (2011), 국내 일개 병원에서의 E.meningoseptica 성인 감염 예, 대한임상미생물학회지, 14(4), 153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605 2021.11.08.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2021.11.08.
http://amccp.amc.seoul.kr/asan/depts/amccp/K/bbsDetail.do?menuId=558&contentId=11237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박순주. (2017). 간호사의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간호사와 환자의 인식 차이. 성인간호학회지, 29(2), 166-176.
이은희 외,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2019
신생아실 업무를 위한 일반 신생아 초기관리 지침, 대한산부인과의사회
신생아진료치침, 대한신생아학회
김창렬, 장지영, 김애란 and 김기수. (2010). 지속성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을 예측하게 하는 위험인자와 임상경과.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53(3), 349-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