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울산대학교 간호학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4차 산업혁명과 의료
1.1. 개인별 전자건강기록(EHR)
1.2.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1.3. 정밀의료
1.4. 사물인터넷과 웨어러블 센서, 로봇
1.5. 예시
2. 4차 산업혁명과 노인
2.1.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
3. 자궁근종
3.1. 자궁의 해부학적 위치 및 구조
3.2. 자궁의 기능
3.3. 자궁근종의 정의 및 원인
3.4. 병태생리
3.5. 진행단계
3.6. 증상
3.7. 진단/검사
3.8. 치료방법
3.9. 치료현황 및 예후
3.10. 치료의 부작용 및 간호
3.11. 재발 및 전이
4. 흉선암
4.1. 흉선의 해부학적 위치 및 구조
4.2. 흉선의 기능
4.3. 흉선암의 정의 및 원인
4.4. 병태생리
4.5. 진행단계
4.6. 증상
4.7. 진단/검사
4.8. 치료방법
4.9. 치료현황
4.10. 치료의 부작용 및 간호
4.11. 재발 및 전이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4차 산업혁명과 의료
1.1. 개인별 전자건강기록(EHR)
개인별 전자건강기록(EHR)은 개인의 생활 스타일 정보와 유전정보, 영양정보 등이 워어러블 디바이스와 SNS를 통해 수집되어 개인의 의료이용 기록과 결합된다.이 정보는 사람의 감독을 받는 학습 방식을 통해 개발된 알고리즘을 지닌 인공지능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개인에게 필요한 맞춤형 진단 및 처방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 진단과 처방은 다학제 의료팀을 통하여 개인에게 제공되고, 그 결과는 다시 개인건강기록에 추가된다. 이를 통해 개인별 전자건강기록(EHR)은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을 형성한다.
1.2.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빅데이터란 센서와 새로운 연구 방법, 그리고 보편적인 정보 기술을 통해서 수집되는 대량의 데이터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통상적인 분석방법으로는 분석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를 지닌 데이터 셋이다. 빅 데이터에는 숫자와 문자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리밍 비디오 또는 혈류 모니터링과 같은 연속적 흐름 데이터 등 매우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최근 의료 분야에서는 단백질체학, 유전체학, 대사체학과 같은 '오믹스분석, 사물 인터넷과 우리 몸에 부착되거나 주변에서 활용하는 여러 가지 물건에 부착된 센서를 통한 데이터 수집, 전자건강기록(EHR)의 사용, 의료기관의 보험청구 데이터와 공공 건강 데이터 셋 등 다양한 형태의 빅 데이터 활용이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진단과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의료계의 AI 적용은 영상 인식 기술, 예측 및 건강 관련 위험에 대한 맞춤형 지원 능력, 증상에 따른 환자 분류 등의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영상 인식 기술은 EKG, EEG, X-ray, MRI, CT 검사 등에서 얻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전문의들이 판독한 수백만 개의 결과와 비교하여 더 정확한 진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AI의 예측 능력은 인간의 능력보다 훨씬 뛰어나 IBM의 왓슨(Watson)이 세계 다수의 의료기관에 도입되어 효과적인 암 치료 방법을 조언하고 있다. 환자의 증상에 따라 분류하여 진단을 지원하는 기능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AI가 의사를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다. AI는 환자와의 상호작용 능력 및 공감 형성 능력의 부족, 물리적 접촉을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정보의 부족과 같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래의 의사는 인공지능과 협력하여 진료를 수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1.3. 정밀의료
빅 데이터와 인공지능이 오믹스와 연결되면 개인맞춤형 진료가 가능해진다.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의 유전 정보를 분석한 결과를 갖게 될 것이며, 이러한 유전 정보는 개인적인 EHR 기록과 통합될 것이다. 그 결과 유전자 수준의 진단과 치료가 개인의 병상 수준으로까지 나아가게 될 것이다. 유전적 정보까지 통합된 EHR을 활용하는 투약 처방은 정확한 진단과 처방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이뿐 아니라 어떤 약물에 대해서 개인의 유전적 변이로 인하여 다르게 나타나는 반응을 연구하는 의학 분야인 약물유전체학은 개인 맞춤형 접근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종양의 개인적 유전 표지자에 기초를 둔 정밀 치료는 현재 암 치료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과학적 진보에 따라서 임상 진료에 활용될 지평은 더욱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정밀의료의 실현가능성에 대해서 의문을 품는 학자들도 적지 않다. 개인맞춤형 진료가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밀한 진단과 치료가 가능해야 하는데, 인체에 대해서는 아직도 우리가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영역이 많아서 여전히 남아 있는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이다.
1.4. 사물인터넷과 웨어러블 센서, 로봇
사물인터넷과 웨어러블 센서, 로봇은 의료서비스의 제공과 이용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사물인터넷과 웨어러블 기기의 결합은 효과적인 모니터링 수단이 되어 고령자의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된 약병을 통해 건망증 환자의 투약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넘어짐 감지 센서가 있어 고령자의 응급상황을 자동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어 질병 예방과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로봇은 의료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수술 현장에서 외과의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환자의 재활 치료나 투약 관리 등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다빈치 로봇 수술시스템은 인간의 움직임과 시야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어 정밀한 수술이 가능하다. 또한 케어봇은 인지기능이나 신체활동이 저하된 노인들의 일상생활을 지원할 수 있다.
이처럼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기기, 로봇 등의 기술은 의료 분야에서 질병 관리와 치료, 환자 모니터링, 돌봄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의료 서비스의 질과 효율성이 향상되고 있으며, 특히 고령 환자와 같은 취약 계층의 의료 접근성과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1.5. 예시
(예시) 서울아산병원은 이동형 인퓨전 펌프에 IoT 센서를 설치하여 기기 사용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약물 투여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은 "I-series 산업"에서 네트워크 기반 스마트 감염관리체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병원 내 감염 발생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졌다. 용인세브란스병원은 5G 방역로봇을 도입하여 체온측정, 자율적 소독 방역, 마스크 착용 여부 검사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감염 위험을 줄이고 병원 내 방역 활동을 효율화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울산대학교 병원에서는 항암제 이송로봇 "케로"를 운영하여 항암 주사 등 약물 배송을 자동화하고 있으며, 양산부산대학교병원에서는 국내 최초로 슬관절 인공관절 전치환술로봇 "ROSA"를 도입하여 개인 맞춤적인 시술을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 기술은 국내 의료기관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어 환자 안전 제고, 의료서비스 질 향상, 업무 효율화 등에 기여하고 있다."이다.
2. 4차 산업혁명과 노인
2.1.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을 활용하여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돌봄 서비스들을 말한다. 노인의 자기돌봄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복지서비스와 ICT 기술을 융합하여 노인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며, 대면 서비스의 제한으로 인한 노인들의 고독감과 외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 정부는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2019~2023)」을 통해 2023년까지 10개 지자체에 총 5,000대의 돌봄로봇을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혁신성장을 위한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I-KOREA 4.0)」에서는 독거노인과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응급안전알림서비스와 리본 스마트 케어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은 크게 세 가지 핵심요소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첫째, 노인 스스로 자신의 삶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 향상(Self-Care, 자기돌봄)이다. 둘째, 사회복지서비스(오프라인)와 ICT 기술(온라인)의 융합을 통한 노인의 디지털 정보 격차 해소(SocialWell-tech)이다. 셋째, 대면 서비스 제한에 따른 고독감, 외로움 해소를 위한 다양한 맞춤 콘텐츠 제공(마음방역)이다.
이를 통해 노인들은 건강하고 편안하며 안전한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되며, 사회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노인복지 정책과 4차 산업 기술을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초고령 사회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3. 자궁근종
3.1. 자궁의 해부학적 위치 및 구조
자궁의 해부학적 위치 및 구조를 살펴보면, 자궁은 중앙부가 서양 배를 거꾸로 놓은 형태의 역삼각형으로 앞뒤로 납작하며 속이 빈 장기이다. 자궁의 가장 안쪽은 자궁내막으로 수정란이 착상되는 조직이며, 호르몬의 변화에 따라 증식·탈락을 반복한다. 자궁의 중간층은 많은 민무늬근 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진통 시 자궁을 수축시켜 태아를 밀어낸다. 자궁 바깥층은 장막층으로 복막과 연결되어 있다...
참고 자료
초고령 사회에 대비한 한국 노인복지정책의 방향에 관한 연구 : 4차 산업을 중심으로, 안 치 민, 2018.
스마트 노인 돌봄 기술과 더불어돌봄중심사회로 나아가기, 김우영, 2022
김광점. 2012. 병원 내 간호사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과제와 연구방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6(1): 247-258
최윤섭. 2018. 의료인공지능. 서울: 클라우드나인
마화텅·장샤오펑·위양·린융칭·두쥔·쉬즈빈·천위안위안·탕빈·차오인·리웨이닝·중후이보·탕자오시. 2015. 인터넷플러스혁명: 2025 중국의 미래를 결정할 국가전략리포트 (강영희·김근정, 역). 서울: 비즈니스북스.
신찬옥. 2017. 1인당 20명, 담당 환자수부터 줄여주세요. MK뉴스 2017년 11월 19일자 신문기사
Harari, Y. N. 2017. 호모데우스: 미래의 역사 (김명주, 역). 서울: 김영사. 2015
여성간호학 실습지침서 ‘양식’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서울아산병원 의학품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네이버 의약품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자궁,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8583&cid=51006&categoryId=51006
네이버 지식백과 집속 초음파 치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836&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지식백과 자궁근종,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58&cid=51007&categoryId=51007
네이버 지식백과 흉선암,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46418&cid=60406&categoryId=6040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095&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 아산병원 자궁 평활근종,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22
삼성서울병원 여성질환 자궁근종,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bv/disease/info/view.do?CONT_ID=3138&CONT_SRC_ID=09a4727a8000f315&CONT_SRC=CMS
진단검사와 임상적 의의(EDTA, Serum, Coagulation) 일반혈액검사(complete blood cell count , CBC), 혈액응고검사, 일반화학검사, 간기능검사, direct coomb's test, indirect coombs test, 적혈구 침강속도(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정상수치 모음, https://blog.naver.com/ey2y/220149675657
http://www.kimsonline.co.kr/ 의약정보센터
간호학과 실습 CASE 진단검사 임상적 의의 응급혈액 응급화학 임상적 의의, https://m.blog.naver.com/joom625/220951761787
성인간호학 Ⅰ 실습지침서 ‘양식’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서울아산병원 의학품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o
네이버 지식백과 종격,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42417&cid=40942&categoryId=32319
네이버 의약품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흉선,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51297&cid=61233&categoryId=61233
네이버 지식백과 흉선암,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46418&cid=60406&categoryId=6040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095&cid=51007&categoryId=51007
Thymus Cancer Disease, https://www.dreamstime.com/thymus-cancer-disease-thymus-cancer-disease-thymoma-thymic-carcinoma-illness-as-gland-anatomy-sickness-growing-image157501474
국가암정보센터 흉선암, https://cancer.go.kr/lay1/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154771
진단검사와 임상적 의의(EDTA, Serum, Coagulation) 일반혈액검사(complete blood cell count , CBC), 혈액응고검사, 일반화학검사, 간기능검사, direct coomb's test, indirect coombs test, 적혈구 침강속도(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정상수치 모음, https://blog.naver.com/ey2y/220149675657
http://www.kimsonline.co.kr/ 의약정보센터
간호학과 실습 CASE 진단검사 임상적 의의 응급혈액 응급화학 임상적 의의, https://m.blog.naver.com/joom625/220951761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