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의 세계관이 넓어짐에 따라 중국 일변도의 관념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발해고』에서 일본 사료까지 인용할 수 있게 되었다. ... 국내 자료로서 눈에 뜨이는 것은 『영순태씨족보』인데, 아쉽게도 지금 남아 있는 족보는 여기에 거론된 것이 아니고 거꾸로 『발해고』를 바탕으로 재작성된 것이다. ... 이미 잘 알려진 바대로 그는 여기서 고려가 발해까지 우리 역사에 넣어 ‘南北國史’1에 渤海편을 두고 기술하였고, 발해고에서 로 정안국을 기록하고 있으나 여기에서는 世紀16에 정안국을
이 해 윤3월에는 『발해고』(渤海考)를 저술하였다. ... 그러므로 본문에서는 그의 역사인식과 저서인 『발해고』에 대하여 살펴본다. Ⅱ.柳得恭의 生涯와 時代的 상황 1. ... 그의 대표작인 『발해고』는 그가 규장각 검서로 있으면서 궁중에 비장된 우리 나라와 중국, 일본의 사료를 광범하게 섭렵하여 그 동안 매몰된 발해의 역사를 고증한 결실다.
안정복이 지은 동사강목은 우리나라 전체의 역사를 강목체로 서술을 하였고요 유득공이 지은 발해고는 발해의 역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조선후기의 역사서 조선후기에는 실학자들에 의하여 역사서의 편찬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데요 실학자들이 편찬한 역사서에는 안정복이 지은 동사강목을 비롯하여 유득공이 지은 발해고, 이동휘가 ... 동사강목 우리나라 전체의 역사를 강목체로 서 저자--- 안정복 발해고 발해의 역사를 종합적으로 정리 저자--- 유득공 동사 고구려의 역사를 정리 저자--- 이동휘 ●조선시대의 윤리서
편찬이 된 역사서에는 이익이 지은 성호사설을 비롯하여 안정복이 지은 동사강목, 유득공이 지은 발해고, 이긍익이 지은 연려실기술, 한치윤이 지은 해동역사가 있습니다. ... 유득공이 지은 발해고는 발해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했다는 데서 커다란 의미가 있습니다. 이긍익이 지은 연려실기술은 기존에 있던 역사서들을 다양하게 인용하여 저술한 것입니다. ... 조선 후기의 역사서 안정복이 지은 동사강목 유득공이 지은 발해고 이긍익이 지은 연려실기술 한치윤이 지은 해동역사 조선 후기에는 역사서의 편찬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는 데요 조선 후기에
중국의 동북공정이 노골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발해고」의 가치는 더더욱 빛나 보인다. ... 독후감 / 감상문 발해고 - 유득공 CONTENTS 1. 감상평 / 느낀점 2. 줄거리 내용분석 3. 인상깊은 구절 1. ... 그나마 유득공 선생의 발해고가 없었더라면 그 역사 왜곡은 더욱 심해졌을 거라는 상상을 하면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조선후기에 지어진 역사서인 발해고는 그동안 등한시 되었던 발해의 역사를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습니다. ... 조선시대의 역사서 조선시대의 역사서에는 조선전기에 편찬된 동국통감, 고려사, 고려사절요를 비롯하여 조선후기에 지어진 역사서인 발해고, 동사강목, 동사, 연려실기술등이 있습니다.
남북국시대라는 용어는 조선후기의 실학자인 유득공이 발해고라는 책에서 처음 표현을 하였습니다. 남북국시대는 통일신라와 발해가 양립하던 시대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 남북국시대 조선후기의 실학자인 유득공이 발해고라는 책에서 처음 표현 통일신라와 발해가 양립하던 시대 발해를 건국한 고왕에 이어 왕위에 오른 무왕은 인안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고요 당나라에
아마도 유득공이 중국의 사서를 주로 참고해『발해고』를 저술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 그런데 적어도『발해고』의 내용만 가지고는 내부 분열로 인해 멸망했다는 단서를 찾기가 어렵다. ... 발해사를 최초로 기술한 유득공의『발해고』를 살펴보도록 하자. 판본에 따라 조금 다르겠지만, 일단 분량 자체가 매우 적다.
우리 역사에 대한 강한 관심을 바탕으로 역사서를 저술한 인물로는 동사강목을 저술한 안정복과 발해고를 저술한 유득공이 있습니다. ... 택리지”를 편찬하여 우리나라의 전국 각지를 소개하였고 김정호는 우리나라의 전국지도인 ‘대동여지도’를 제작 하였습니다 안정복의 동사강목---- 우리나라의 역사를 강목체로 기록 유득공의 발해고
역사책에서 통일신라와 발해가 양립하던 시기를 남북국시대라고 하였습니다 유득공의 저서 [발해고] 통일신라와 발해가 양립하던 시기를 남북국시대라고 칭함 발해가 건국될 당시 당나라는 발해의 ... 정안국이 있는데요 정안국은 발해의 유민들이 압록강 유역에 세운 국가였습니다 발해의 역사는 조선후기의 실학자인 유득공에 의하여 다시 재조명이 되었는데요 조선후기의 실학자인 유득공은 발해고라는
발해고를 저술한 유득공의 역사의식과 발해고의 내용,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 사학사에서의 의의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 - 국립중앙도서관의 필사본에는 발해고자서와 바제가의 서문이 실려있고, 경희대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필사본에는 발해고자서로 유득공 자신의 서문만 있다. ... 발해고 내용 및 특징 발해고는 군고(君考) ·신고(臣考) ·지리고(地理考) ·직관고(職官考) ·의장고(儀章考) ·물산고(物産考) ·국어고(國語考) ·국서고(國書考) ·속국고(屬國考)
유득공이 저술한 역사서인 발해고는 그 동안 등한시 되던 발해의 역사를 다시 조명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를 찾을 수가 있습니다. ... 조선후기 실학자들이 저술한 역사서로는 한치윤의 해동역사를 비롯하여 안정복의 동사강목, 유득공의 발해고 등이 있습니다. 안정복의 동사강목은 강목체로 기술된 역사서입니다.
‘발해고’를 집필한 유득공. 박제가보다 아홉 살 아래인 유득공은 서자 출신답지 않게 성격이 밝았다. 좀처럼 어두운 그늘진 모습이 없었다. ... 이러한 긍정적이고 진취적인 성품이 ‘발해고’ 저술을 통해 우리 역사의 영역을 발해의 옛 땅까지 넓히게 한 것이다. 반면 박제가는 성미가 불같고, 입바른 소리를 잘한다.